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구분
일환
일부분
부문
조각
분류
스페셜
"
부분
"(으)로 총 1,932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짜게 먹으면 치매 걸릴 위험성 높다
2019.11.12
유형과 T형, G형 변이에 대해 알아보자. 전자는 APOE 유전자에서 아미노산으로 번역되는
부분
의 염기가 달라 그 산물인 단백질의 구조가 달라지는 변이다. APOE ε4 단백질은 기능이 떨어져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에 알츠하이머병 위험성이 커지는 것이다. 참고로 APOE 단백질은 지질 대사에 ... ...
[인류와 질병] 우등생일수록 근시 많다는 이야기 사실일까
2019.11.09
공감 등을 담당한다. 도덕과 가치 판단에 깊게 관여하는데, 놀랍게도 전전두엽은 상당
부분
을 잘라내도 일상생활에 큰 지장이 없다. 다만 우울증을 앓거나 행동 억제가 안 되고, 도덕이나 윤리 등의 판단력을 잃는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전두엽의 크기가 증가하면서 눈을 위아래로 눌러 안축이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발표를 앞둔 사람에게 도움될 조언 아홉가지
2019.11.09
몰라도 녹화하거나 녹음해서 들어보는 것도 큰 도움이 된다. 특히 부족하게 느껴지는
부분
은 반복해서 연습하고 그 이미지를 머리 속에 남겨두는 것이 중요하다. 발표나 인터뷰를 망칠까봐 긴장하게 될 때 ‘이 문제에 대해서는 이런저런 대비를 해두었지’하고 대처법을 구체적으로 떠올리면 ... ...
출연연 ‘블라인드 채용’ 2년 …만족도 낮고 효과 '글쎄'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선입견을 평가위원들이 배제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공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부분
은 긍정적인 측면이다. 자기 소개서나 연구성과 등을 발표하고 토론하는 실무면접에서도 어느 정도 실력을 검증받을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이런 과정을 거쳐 뽑힌 연구자들이 전형 ... ...
박성동 의장 “위성 연구 더 잘하게 KAIST 울타리 역할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9.11.04
해주며 연구를 밀어줬으면 어땠을까 아쉬움이 남는다”며 “당시 연구소는 소형위성
부분
에 있어 빠른 연구와 혁신을 가져올 수 있는 상황이었는데 그걸 하지 못했다”고 말했다. 박 의장은 “KAIST가 연구소를 보호해주고 연구를 할 수 있도록 바람막이 역할을 해줬으면 한다”는 의견을 ... ...
'알약 몇 개만 꿀꺽' 몸 속에서 병 찾아 공격하는 로봇의료팀 뜬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3
신호와 전기를 받기 위한 선이 없어 편리하다는 평가를 받고는 있었다. 하지만 병이 난
부분
을 치료하려면 별도로 내시경을 삽입해야 했다. 이번에 개발된 캡슐내시경은 이 모든 문제를 한번에 해결하는 기능이 들어 있다는 평가다. 김창세 한국마이크로의료로봇연구원(KIMIRO) 교수(전남대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한 수 가르쳐주마'라는 소셜 자경주의
2019.11.02
어떻게 생각하는지, 또 이 사람의 의견에 얼마나 일리가 있다고 생각하는지, 나름 설득된
부분
이 있는지에 대해 물었다. 그 결과 위와 같은 생각이 강한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신과 다른 의견을 보이는 사람에 대해 멍청하고 성격도 나쁠 거 같다고 응답하는 등 의견이 다른 사람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명상이 장수에도 도움이 될까
2019.10.29
쓰는 전체 에너지의 20%가 뇌에서 소모되는 이유다. 특별한 일이 없음에도 뇌의 상당
부분
이 켜져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예상치 못한 상황이 일어났을 때 빠르게 대응하기 위한 ‘예열’ 상태라는 설명에서 자아 성찰이나 창의성을 지원하는 회로라는 설명까지 다양하다. 아무튼 우리가 ... ...
[인류와 질병] 고기 먹는 국가에 비만이 오히려 적다? '식단의 진화'
2019.10.27
어렵다. 하지만 단백질은 포만감을 금세 느끼게 하는 효과가 있다. 사실 인간 외에도 대
부분
생물 종은 단백질의 섭취량을 스스로 조절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다. 남는 지방은 몸 안에 저장할 수 있지만, 단백질은 저장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탄수화물이나 지방이 많이 들어가 있고, 단백질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구분할 수 없다. 게놈(DNA) 분석을 통해 얻은 콜라겐 아미노산 서열 데이터를 보면 이
부분
이 똑같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구자들은 표지가 되는 특정 아미노산 서열의 존재 여부가 아니라 일단 얻을 수 있는 모든 펩티드의 아미노산 서열 정보를 얻은 뒤 이를 게놈 데이터에서 만든 단백질체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