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변화
변천
변고
이변
변전
변형
이상
스페셜
"
변이
"(으)로 총 1,531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졸중 후유증 치료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08
밝혔다. 기능해리는 뇌졸중이 발생한 뇌 부위 뿐 아니라 멀리 있는 다른 부위에도 기능적
변이
를 일으키는 현상을 말한다. 뇌졸중 후유증 치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창준 기초과학연구원(IBS) 인지및사회성연구단장과 김형일 광주과학기술원(GIST) 의생명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뇌에서 ... ...
국내 유행 코로나19는 '전파력 6배 높다'는 GH 그룹 바이러스
연합뉴스
l
2020.07.06
그룹의 바이러스가 주로 유행 중"이라며 "GH 그룹 바이러스는 S(그룹 바이러스) 유전자의
변이
로 세포에서 증식이 보다 잘되고, 인체세포 감염 부위와 결합을 잘해 전파력이 높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말했다. [표] 국내 코로나19 확진자 유래 바이러스 분류 ... ...
코로나19 사태 반년 '풀리지 않는 5가지 미스터리'
동아사이언스
l
2020.07.06
처음 발견됐고 현재 전세계 모든 지역에서 발견되고 있지만 아직 임상적으로 영향력있는
변이
인지는 불분명하다. 백신이 개발된다면 얼마나 효과가 있을까 팬데믹 종식의 유일한 길은 백신 개발이다. 현재 전세계에서 약 200개의 백신이 개발중이며 20여건은 이미 임상시험이 진행되고 있다. ... ...
"코로나19 감염력 더 강해진다" vs "근거 없다" …'
변이
' 논란 오리무중
동아사이언스
l
2020.07.03
비슷한 주장을 펼쳤다. 지난달 12일 최혜련 미국 스크립스연구소 교수팀은 이
변이
가 스파이크 단백질의 수를 5배 증가시키고, 이 단백질이 ACE2와 결합할 때 관여하는 부위(S1)의 이탈을 줄여 인체 세포 침투력을 높였다고 주장했다 ... ...
"팬데믹 잠재성 있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중국 돼지 농장에 널리 퍼져"
동아사이언스
l
2020.06.30
아형을 유전자 특성에 따라 세분화했다. 6개의 유전자를 ‘마커’로 선정한 뒤 이들의
변이
여부를 바탕으로 서로 다른 6가지 '유전형'을 분류했다. 조사 기간 초기인 2011~2013년 돼지 사이에서 널리 유행한 유형을 ‘G1’ 유전형으로 분류한 뒤, 이와 차이가 나는 유형을 찾아 G1~G6까지 총 6개로 ... ...
中 베이징 코로나19 집단감염 12일째…전염성 높은 변종 가능성 제기
동아사이언스
l
2020.06.23
여러 달 전부터 존재가 알려져 전세계의 바이러스 학자들이 실시간으로 감시를 해왔던
변이
로, 여러 차례 비슷한 주장이 나왔지만 아직까지 확실한 감염력 차이가 증명되지 않았다. 전문가들 아직 일부의 연구로 일반화시키기엔 이르다고 추가 연구를 기다릴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는 상황이다. 中 ... ...
'천랩' 감염 10분만에 확인하는 코로나19 신속 진단키트 출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9
전장 게놈 기반 세균 감염 진단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현재 이를 바탕으로 세균의
변이
와 역학조사에 활용할 수 있는 체외진단의료기기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미국 식품의약국(FDA) 의료용 소프트웨어 인허가를 진행 중이다 ... ...
혈액형별 코로나19 걸리면…A형 중증·O형 경증 가능성↑
연합뉴스
l
2020.06.18
나타낼 가능성이 크다는 선행 연구가 사실이라고 결론 내렸다. 연구진은 6종의 유전자
변이
와 혈액형을 코로나19가 중증으로 악화할 가능성과 연계해 분석한 결과, 이런 결론에 이르렀다. 이번 연구에는 이탈리아, 스페인, 덴마크, 독일 등의 연구진이 참여했다. 앞서 중국 연구진은 지난 3월 ... ...
코로나19 회복 환자서 얻은 수천 종 '항체 칵테일' 치료 효과 쏠쏠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7
그 결과 아무리 효과가 뛰어난 항체치료제도 하나만 투여했을 때엔 항체를 회피하는
변이
가 발생했다. 바움 연구원은 “이런 현상을 막을 방법은 서로 같은 RBD에 결합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같은 RBD에 결합하는 항체 두 종을 짝 지워 칵테일 치료제로 사용했을 때뿐”이라고 말했다. 현재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이를 받아들이는 TMPRSS2 발현 등 인체세포의 수용체도 중요하다”며 “바이러스
변이
가 일정 부분 영향을 줄 수 있지만 인체 세포까지 종합적으로 작용해야 한다. 바이러스 병독성이 약해지고 감염력이 높아졌다는 보고가 있는데 일부 사례이므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