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고려대"(으)로 총 1,6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여름을 즐겨라~ 돌아온 ‘사이언스 바캉스’과학동아 l2016.07.08
- 얘기한다. 장병탁 서울대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국내외 AI 연구 현황을 설명하고, 이성환 고려대 뇌공학과 교수는 뇌공학의 관점에서 AI를 분석한다. 김선주 연세대 컴퓨터과학과 교수는 알파고의 ‘비밀 병기’인 딥러닝에 대해 쉽게 알릴 계획이며, 이상욱 한양대 철학과 교수는 AI를 둘러싼 철학적, ... ...
- 공포의 ‘지카 바이러스’ 백신 언제 나오나2016.06.29
- 적용 가능한 백신을 개발할 수 있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송대섭 고려대 약대 교수는 “신종 감염병인 지카 바이러스에 대해 백신 후보주를 신속하게 선발해 낸 것”이라며 “동물실험을 통해 지카 바이러스 감염을 백신으로 예방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고 ... ...
- 과학기술인들이 모여 ‘ESC’를 만들었다... ESC의 정체는? 2016.06.18
- 잔 씩하면서 대화하고 있었다. 파티처럼 자유로운 분위기의 행사장에서 윤태웅 ESC 대표(고려대 교수ㆍ사진)를 만났다. 윤태웅 ESC 대표 - 변지민 기자 ▲ESC가 무슨 뜻인가요? -'Engineers & Scientists for Change'의 첫 글자를 따서 ESC라 부르기로 했습니다. 법인의 이름은 '변화를 꿈꾸는 과학기술인 ... ...
- 韓, 신약 개발 첨병 간세포 中에 수출 쾌거2016.06.17
- 김종훈 고려대 생명공학부 교수 - 고려대 생명공학부 제공 국내 연구팀이 모든 장기로 분화할 수 있는 인간의 전분화능 줄기세포로 만든 간세포를 아시아 최초로 상용화해 ...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이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간세포를 배양하고 있다. - 고려대 생명공학부 ... ...
- “암흑물질이 6600만 년 전 공룡을 멸종시켰다”2016.06.15
- 교수(54)는 저서 ‘암흑물질과 공룡’ 한국어판 출간을 기념해 14일 서울 성북구 안암로 고려대에서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랜들 교수는 “우리가 볼 수도 만질 수도 없는 암흑물질이 우주의 역사는 물론 지구에 사는 생물의 흥망성쇠에까지 떼려야 뗄 수 없는 영향을 주고받았다는 ... ...
- 최대 8배까지 늘어나는 투명전극 개발2016.06.13
- 윤석구 고려대 기계공학부 교수(왼쪽)와 논문 제1저자로 참여한 안성필 연구원. - 고려대 기계공학부 제공 8배까지 쭉 늘려도 끄떡없이 전기가 흐르는 유연한 투명전극이 개발됐 ... '투명'하기 때문에 빛을 투과시킨다(왼쪽). 이 투명전극을 이용해 불을 밝힌 모습. - 고려대 기계공학부 ... ...
- 건물이 살짝 기울어졌네? 미세한 변화 감지하는 압력센서 개발2016.05.24
- 를 늘리자 보라빛으로 색이 변화하고(오른쪽), 압축시키면 보라빛이 줄어든다(왼쪽). - 고려대 제공 이 레이저는 격자 구조가 ―10%에서 12%까지 변형되는 동안 26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의 파장 변화를 보였다. 기존 레이저는 0.6nm 정도로 작은 파장 변화를 보이는 데 그쳤다. 연구진은 이 ... ...
- 종합병원 절반 중환자실 운영 “낙제점”동아일보 l2016.05.16
- 1등급으로 평가된 병원은 11곳에 불과했다. 1등급 기관 중 강북삼성병원, 경희대병원, 고려대구로병원, 삼성서울병원, 서울대병원, 서울아산병원, 세브란스병원 등 7곳이 서울에 있는 상급종합병원이었고, 그 밖에는 경기도의 분당서울대병원과 영남지방의 부산대병원, 양산부산대병원, ... ...
- 생강의 항생제 내성 저감 효과 밝혀져2016.05.15
- 억제제가 개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인체에 무해한 천연 억제제는 개발된 적이 없다. 고려대 제공 박 교수팀은 2013년 생강 주성분인 ‘6-진저롤’이 녹농균의 생물막 형성 저해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한 데 이어 천연 성분 ‘라피노스’ 역시 화학억제제와 비슷한 효능을 가진다는 사실을 ... ...
- “SNS에 친구 엽기사진 몰래 올려도 범죄?” 여중생들 ‘깜놀’동아일보 l2016.05.13
- 1%)가 가장 많았다. 반면 청소년은 ‘보복하기 위해서’(43.9%)가 가장 큰 이유였다. 임종인 고려대 사이버국방학과 교수는 “청소년은 단순히 재미를 위해서 악플을 달고 있어 잘못인 줄 모른다. 또 온라인과 현실을 구분 못해 충동적으로 반응하기도 한다. 성인들은 커뮤니티에서 집단을 만들어 함께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