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의 비밀] 오줌은 절대 안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3호
- 수영장 물을 깨끗하게 만드는 염소는 우리 몸에 해로운 독성물질로 변해 버려요.지난 2010년, 미국 퍼듀대학교 어니스트 블래츨리 교수팀은 오줌이 염소와 반응해 몸에 해로운 물질이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확인했어요. 오줌에는 요소, 아미노산, 크레아티닌, 요산 같은 질소화합물이 들어 있어요. ... ...
- ‘나노영챌린지 2017’ 6개월 대장정 막 내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신물질을 이용해 양자컴퓨터에 필요한 큐비트(Qbit) 구현 가능성을 확인했다. 큐비트는 0과 1의 디지털 신호가 아니라 둘이 섞여 있는 중첩 상태로 양자컴퓨터에서 정보를 저장하는 단위다. 우수상 두 팀 가운데 나노기술연구협의회장상은 대학원생들로 구성된 부산대 팀이 차지했다. 부산대 팀은 ... ...
- [매스미디어] 듣다보면 공부하고 싶어지는 이그뮤직상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전달하고 싶다면 ‘111000’을 보내는 겁니다. 만약 데이터를 받았는데, ‘111111’, ‘101000’이라면 어딘가 잘못된 메시지가 왔다는 사실을 알 수 있겠지요? 이렇게 오류를 확인하기 위해 원래 데이터에 덧붙이는 비트를 ‘패리티 비트’라고 합니다. 섀넌과 같은 시기에 살았던 수학자 리처드 해밍은 ... ...
- 이 상자의 주인은 나야! 도트 앤 박스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블루는 맨 아래 오른쪽 상자를 완성한 뒤 이웃한 상자 4개를 연달아 완성할 겁니다. 4-0이었던 점수가 순식간에 4-5가 돼서 레드가 집니다. 두 번째 전략을 선택하면 어떨까요? 그림➋처럼 상자 2개를 완성한 블루는 반드시 어딘가에 선분을 추가로 그려야 합니다(파란색 점선). 레드는 그림➌처럼 ... ...
- [과학뉴스] 네이처 지구과학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알려진 녹는점보다 실제 녹는점이 200∼350도 낮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는 규모가 7.0∼8.0인 거대지진이 예상보다 자주 발생하는 이유를 풀 실마리가 됐다. 낮은 온도에서 녹은 석영이 단층면에서 윤활제 역할을 해서 지진의 규모를 키운다는 것이다. 네이처 지구과학의 2016년 기준 임팩트팩터 ...
- 다~ 드루와! 다트의 세계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던졌을 때보다 오히려 낮은 점수를 받은 거지요. 연구팀은 먼저 다트의 중앙을 겨냥해 50발을 던졌을 때 퍼지는 모양을 관찰한 뒤, 모양별로 어디를 겨냥해야 가장 높은 점수를 얻을 수 있는지 시뮬레이션했어요. 그 결과 다트가 사방으로 퍼지는 사람은 19점 더블 영역을, 원 모양으로 퍼지는 ... ...
- [Focus News] 피내용과 경피용 뭘 맞아야 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피내용과 경피용 모두 이상 반응으로 치료를 받아야 할 경우 진료비 중 본인부담금이 30만원이 넘을 때에는 신고를 하면 심의를 거쳐 보상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신고 기관이 다르다. 피내용의 경우 보건소와 예방접종도우미 홈페이지에서 국가예방접종 피해보상을 신청할 수 있다. 경피용은 ... ...
- [긴급진단] 전국이 흔들, 가슴이 철렁, 포항 지진 5대 이슈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추정되는 지진 기록이 있다”며 “규모 6.0이 넘는 지진까지 포함하면 어림잡아 500년을 주기로 강진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1643년 조선시대 울산에서는 규모 6.5~7.4로 추정되는 강진이 발생했다. 그러나 손 교수는 “국내에서는 7.0 이상의 대형 지진은 발생하기 어려울 것”이라며 “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름 모름. 여성. 32.1세. 행복과 약간의 공포(fear).” 10월 말, 대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인지로보틱스연구부의 한 실험실. 얼굴 인식 인공지능 ...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Infographic] 사람 vs. AI, 얼굴 인식 능력 비교Part 3. 40년 전 실종자 찾는 3D몽타주Part 4. ...
- [Future] 알파고 제로, 공식을 깨다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알파고 제로는 16만 기보를 사용해 F1을 만드는 과정을 생략하고 무작위로 설정된 함수 F0으로부터 최종 함수 F*를 만들었다. 아무것도 모르는 두 개의 알파고 제로 프로그램이 대국을 반복하면서 그 결과를 가지고 최종 함수를 도출해 기존 알파고를 모두 패배시켰다. 상식적으로 기본 데이터로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