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키"(으)로 총 1,9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절대 뚫리지 않는 철벽 암호시스템과학동아 l2001년 06호
- 바탕으로 개발한 공개키 암호시스템 덕분에 우리나라는 미국 외에 독자적인 공개키 암호 시스템의 원천기술을 가진 유일한 나라가 됐다. 정보보호 분야에서 우리나라가 선도적인 위치에설 좋은 기회를 잡은 셈인데, 앞으로 차세대 암호시스템의 표준으로 만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한편 ... ...
- 다이어트의 새로운 돌풍 비만약과학동아 l2001년 06호
- NO약물의 여러 작용 중에는 식욕을 줄여주고 에너지 대사를 빠르게 하며, 지방을 연소시키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약들을 그 사람에게 맞게 용량과 투약기간을 조절하고 함부로 남용하지 않는다면 별다른 문제는 없다. 오히려 출처도 확실하지 않은 선전용 약을 함부로 사용하는 것이 더 위험하다 ... ...
- 로봇 개념 창시한 신 헤파이스토스과학동아 l2001년 06호
- 결정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입니다. 그리스어로 ‘키잡이’라는 뜻이지요.신전이 남아있기는 합니다만 고대 그리스에 실제로 헤파이스토스라는 신이 살고 있었던 것은 아닐 것입니다. 그렇다면 헤파이스토스의 정체는 무엇일까요. 기술에 대한 고대인들의 상상력 ... ...
- 긴급진단, 안락사 논란 핵심 쟁점과학동아 l2001년 05호
- 부모들은 다운증후군이라는 이유로 신생아들을 안락사 시키려 했다. 그러나 안락사 시키기 위해서는 독극물을 주입하거나 젖을 먹이지 않는 등의 적극적인 안락사를 택할 수밖에 없었으므로, 그 뜻을 이루지는 못했다. 그러나 질병을 지니고 태어난 다운증후군 신생아의 경우, 부모들 대다수가 ... ...
- 중·고생 마라톤 풀코스 완주하지 마라과학동아 l2001년 05호
- 뼈도 버드나무처럼 단단하지 못할 나이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반드시 제한된 거리를 지키면서 앞서 기술한 여러가지 기본상식을 몸에 익히도록 노력해야 한다.목표를 오늘 한번의 달리기에 두기보다 어른이 돼서 멋지게 풀코스를 완주하겠다는 생각을 갖자. 기본기가 잘된 성적 나쁜 어린 ... ...
- 내가 타본 일본의 하이브리드자동차, 프리우스과학동아 l2001년 05호
- 담당하고, 고속주행은 휘발유엔진과 함께 맡아서 하는 시스템이다.이 차에 올라앉아 키를 돌려 시동을 걸면 음악과 함께 ‘Welcome to Prius’라는 자막이 나타난다. 운전자는 차 안에서 기분 좋은 하루를 맞이할 수 있을 것이다.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갖춘 이 화면은 차가 발진함과 동시에 차의 위치와 ... ...
- 로봇공학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로봇에 감정을 이입시키는 연구는 상당히 미흡하다. 예를 들면 미국 MIT대에서 개발한 키스멧(Kismet)이라는 로봇이 슬픔 분노 놀람 흥미 행복 등의 감정을 단순한 정도로 표현할 수 있다. 한편 일본의 기계연구소에서는 쓰다듬으면 좋아하는 감정을 표현하는 감정로봇을 연구중이다. 이런 로봇은 ... ...
- 유전자 차별시대 펼쳐지는 디스토피아 가타카과학동아 l2001년 04호
- 능력을 소유했지만, 학계에서 인정받지 못하고 혼자서 효소체로 구성된 곤충 한마리를 키우고 있다. 효소체가 필요한 칼 웨싱어 박사는 애쉬 매들리를 찾아가 그의 곤충을 강탈해서 사라지는데.. ... ...
- 왜 인간게놈 연구에 통계학이 동원될까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연구결과를 평가하고 수용하는 업계의 자세 또한 국내 데이터마이닝의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지금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질적 수준을 평가할 수 없어 막강한 마케팅 능력을 갖춘 해외기업들에 의해 데이터마이닝의 방향이 설정되고, 기업가치높이기에혈안이된CRM, 데이터마이닝 ... ...
- 복제된 인간에 머리 옮겨 붙이기과학동아 l2001년 04호
- 얻는 일이 가능하게 돼 장기이식에 획기적인 전기가 마련될 것이라는 기대를 불러일으키기도 했다.세상이 정말로 무섭게 변하고 있다. 지난 4년간 인간복제의 윤리∙종교∙철학의 관점에서 찬반양론을논의하는 동안 복제를 넘어서 몸을 바꾸거나 인체 일부를 실험동물에서 얻어내는 일들이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