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촉진
진행
조장
증진
충격
충동
여세
d라이브러리
"
추진
"(으)로 총 2,345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미국에서 주변국가들과 공동으로 연구하듯이 우리도 중국이나 일본과 공동연구를
추진
하는 것이 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극지는 마지막 남은 인류자원의 보고이자 지구환경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자연 실험장이다. 세계 각국에서 너나할 것 없이 엄청난 시간과 예산을 투자하고 있는 이유다.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몸을 굽히면 회전 관성이 작아져 회전 속도는 그만큼 커진다는 말이다.또 우주선에서
추진
연료를 사용하지 않고 방향을 바꾸는데도 각운동량 보존이 이용된다. 물론 이 경우는 아주 미세한 방향 전환에만 쓰인다. 외부의 어떤 힘도 작용하지 않는 우주선 내부에서 바퀴형태의 기계장치인 리액션 휠 ... ...
혜성 탐사 우주선 발진 준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프로젝트 매니저인 제임스 그라프 박사는 밝혔다. 이 프로젝트는 NASA내의 제트
추진
연구소에서 수행할 예정이다.‘딥임팩트’호는 2004년 1월에 발사돼 2005년 7월 4일 템펠1 혜성에 도착하고, 우주선에서 발사한 미사일은 시속 22.3km의 속도로 혜성과 충돌한다. 충돌 직후 우주선은 혜성에 4.8km까지 ... ...
산업설비안전성평가연구센터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산업설비에 비해 각별한 안전대책이 요구된다.하지만 한국은 성장 위주의 정책을 강력히
추진
해온데 비해 안전성 확보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관심을 적게 기울인게 사실이다. 그래서 산업설비에서 조금이라도 사고의 조짐이 보일 때 국내의 인력과 기술만으로 대처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특히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전혀 돼있지 않은 상황이었다. 방법은 하나, 우주선 설계와 우주비행사 선발을 동시에
추진
하는 것.오히려 우주비행사 선발이 빨랐다. 먼저 3천명의 조종사 중에서 서류전형과 면담을 통해 1백2명을 선발한 다음 모스크바 중앙항공연구병원에서 정밀검사와 심리테스트를 거쳐 1960년 2월 최종 12명 ... ...
3. 미래의 달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마스크는 지하터널을 뚫고 전기코일을 감아 강력한 자기장을 만들면 엄청난
추진
력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게다가 가속거리가 길기 때문에 승객들이 받는 충격은 거의 없다. 문제는 진공 상태의 지하터널에서 나와 대기층을 지나야한다는 것. 그래서 지상으로 나올 때 대기와의 마찰로 ... ...
우주시대 연 스푸트니크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개량한 것)을 이용해 최초의 인공위성을 쏠 수밖에 없었다. 캘리포니아대학 소속의 제트
추진
연구소(JPL)가 만든 익스플로러 1호는 1958년 1월 31일 지구궤도에 올랐다. 익스플로러 1호의 성과라면 지구 밖에 있는 방사선띠인 밴 앨런대를 발견했다는 것.익스플로러 1호가 지구궤도에 오르자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폐기될 운명에 놓였다. 이후 NASA는 이 장비들을 개조해 우주정거장인 스카이랩계획을
추진
한다.러시아는 또 다른 N1 발사계획을 가지고 있었으나 1974년 코롤료프의 후임 바실리 미신이 물러나고 코롤료프의 경쟁자였던 발렌틴 글루슈코가 책임자로 임명되자마자 N1계획을 전면 중단시킨다. 제작 ... ...
[비교] 미국과 러시아의 달정복 전략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대기하게 된다. 임무가 끝나면 귀환모듈만 대기권으로 들어오는데 낙하산과 역
추진
로켓을 이용해 러시아의 영토에 착륙한다. 1969년부터 1972년까지 3번에 걸친 소유즈LOK 시험발사가 있었다. 러시아의 달계획 포기로 달여행의 꿈을 접은 소유즈는 지구궤도에 마련된 우주정거장에 사람을 나르는 ... ...
한국야쿠르트 이은선 사장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쉽게 내팽개쳐버리는 것이 우리네 환경이다. 사실 한국야쿠르트가 국내에서 드문 일을
추진
해온 예는 한두가지가 안니다. 국내 최초로 발효유 사업에 진추랗면서 일본과 합작을 이뤄낸 것, 기술 독립을 위해 식품관련분야에서는 드물게 25년전 자체연구소를 설립해 연구개발에 투자한 점, 소유자와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