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대량
최고
d라이브러리
"
최대
"(으)로 총 4,326건 검색되었습니다.
흥부가 제비를 만난 건 우연일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나비목의 곤충을 잘 잡아먹거든요. 둥지에서 새끼를 한창 기를 때는 제비 부모가 하루에
최대
400번 정도 먹이를 물어다 줘요. 제비는 곤충 여러 마리를 잡아서 이것을 으깨고 뭉쳐서 작은 덩어리를 만들어요. 이 덩어리를 한번 입 안에 넣고 둥지로 돌아오면, 곤충 여러 마리를 잡은 셈이지요. ... ...
광장에 몇 명 모였나? WIFI로 센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사람 수를 역으로 추정하는 수학 모델을 개발했다. 실내외에서 실험한 결과
최대
9명까지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었다. 모스토피 교수는 “별도의 전파 수신 장비가 없는 사람의 숫자도 셀 수 있는 게 장점”이라며 “집에 있는 사람 수에 따라 난방 세기를 조절하는 스마트 주택 기술이나, 재난 발생 ... ...
존 내쉬, 영화처럼 잠들다!
수학동아
l
2015년 07호
몇 달 전에 이탈리아 수학자 엔니오 드 기오르기도 같은 문제를 해결하는 바람에 내쉬의
최대
수학적 업적일 수도 있었던 이 결과는 크게 주목 받지 못했다.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극본을 쓴 실비아 나사르는 내쉬가 자신의 최고 업적이 묻히면서 큰 정신적 충격을 받았다고 추측한다. 당시 ... ...
[Life & Tech] 바이오(Bio) 화장품의 진실
과학동아
l
2015년 07호
단백질이다. 단백질은 크기가 크다. 하지만 우리 피부 세포를 통과할 수 있는 입자의
최대
크기는 500Da(달톤, 1달톤은 수소 원자 1개의 무게로 단백질의 크기를 표현할 때 이용됨.)정도다. 6.2kDa인 EGF는 피부를 통과하기엔 턱없이 큰 물질이다. 심동섭 이노진 대표이사는 “각질층을 통과한다는 건 ... ...
PART2. 지진과 빅데이터 - 빅데이터로 경보하고 대피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제공했다.분석 결과 쓰나미에 쓸려 간 차량은 17만 대. 미야기 현 이시노마키 시에서는
최대
4000명이 사망했다. 연 구팀은 내비게이션 정보를 분석한 결과 이시노마키 시 도로에서 문제를 발견했다. 이시노마키 시는 강과 바다에 둘러싸여 타도시에 비해 다리가 많았다. 다리 주변은 사고 전에도 차량 ... ...
가재처럼 걷는 해저로봇 크랩스터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발견되지 않은 2000만 종이 바닷속에 있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7800만km 떨어진 화성보다,
최대
깊이 11km에 불과한 해저에 대해 아는 게 더 없습니다. 이 세가지 이유 때문에 바다로 가야 하는 것 아닐까요."기자가 태안을 떠난 뒤, 연구팀은 바지선을 마도에 더 가까운 곳으로 옮겼다. 수심이 더 깊고 ... ...
달에서 씽씽 달려라~! 한국형 달 탐사 로버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상상해보세요.”이우섭(KIST 로봇·미디어연구소 선임연구원)Q . 로버는 거북이처럼
최대
한 달 표면에 바짝 엎드려 다니도록 만들어야 하나요?A . 아니요. 오히려 반대로 로버의 바닥이 달 표면과 멀리 떨어지도록 만들었어요. 돌처럼 크고 작은 장애물을 만나도 그대로 통과할 수 있게 한 거죠. 그래야 ... ...
PART2. 현실 닮아가는 가상현실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 없다. 사람의 시야각은 좌우 로 평균 120° 정도인데, 눈을 움직이면 같은 자세에서
최대
180°까지 볼 수 있다(사람은 눈이 앞쪽으로 몰 린 편이라 새나 초식동물에 비하면 시야각이 좁다).위아래로는 135°다. 위보다는 아래쪽으로 더 많이 볼 수 있다.초창기 HMD는 시야각이 형편없었다. 1968 년 미국의 ... ...
[과학뉴스] 수화 알아듣는 스마트 장갑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수 있는 스마트 장갑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태윤 연세대 전기전자공학과 교수팀은
최대
3.2배까지 늘어나면서 변형된 정도를 인식해서 센서로 활용할 수 있는 섬유를 개발해 국제학술지 ‘어드밴스트 펑셔널 머티리얼스’ 4월 20일자 온라인판에 발표했다. 기존 전도성 섬유는 신축성이 떨어져 ... ...
[과학뉴스] 세계 최고 해상도 양자점 LED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06호
어디에나 붙일 수 있으면서도, 해상도가 최신 스마트폰보다
최대
7배 뛰어난 신개념 디스플레이가 개발됐다. 현택환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입자연구단장 팀은 최근 주목받고 있는 양자점 LED 기술을 이용해 이같은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양자점 LED는 지름이 10나노미터(nm는 10억분의 1m) 수준인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