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으)로 총 5,4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사탐 소식 1,2] 수청이 보금자리가 되살아났어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원을 받아 일월저수지 한쪽 구석에 인공서식지를 만들었어요. 그리고 7월, 8월 2차에 걸쳐 연구실에서 키운 수원청개구리의 어린 성체 150마리를 일월저수지에 풀어 줬지요. 이후 9개월이 지난 올해 5월 연구팀은 드디어 기다리던 수원청개구리 11마리의 울음소리를 확인할 수 있었답니다.아마엘 ... ...
- [소프트웨어로 세상을 지켜라! 코드마스터] 신발 먼저 신을래, 양말 먼저 신을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못해서 바퀴를 굴러가게 하는 전선에 엑셀 대신 브레이크를 연결해 버렸다고 해요. 그럼 차가 제대로 움직이지 않겠죠?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제작 공정을 정렬해 놓는 거랍니다.위상정렬 알고리즘은 게임에도 많이 쓰여요. 게임에서 캐릭터가 레벨 업을 하는 과정을 생각해 보세요. 보통 ... ...
- Part 6. 선물 나르는 보이지 않는 손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가방을 재빨리 찾아냈습니다. 이제 저들이 누구에게, 어떻게 선물을 전하는지 확인할 차례지요.그런데 이게 웬걸, 눈 깜짝할 사이에 빨간 양복을 입은 요원이 떼로 나타났습니다! 그러더니 순식간에 사방으로 흩어졌습니다. 우왕좌왕하던 저는 그만 요원을 놓치고 말았어요. 그냥 조직 ‘S’의 ... ...
- [News & Issue] 영하 20℃, 습도 40%… 이곳에서 씨앗이 겨울잠을 잔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종자의 수명이나 발아 조건 등 기본적인 특징조차 제대로 알지 못하는 것이 대부분이다. 김 연구관은 “해외에서 맡긴 종자를 연구해 경제적인 이윤을 얻을 수 있게 될 경우 합법적으로 이익을 공유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기업체에서 특정 ... ...
- [News & Issue] 슈퍼문, 또 떴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동물 환자 1만2102마리를 조사한 결과였죠(참고 논문 ➌). 역시 결론은 “별다른 차이가 보이지 않는다(no significant difference)”였습니다.달이 커 보이는 이유 또 있다?가끔 슈퍼문이 뜨는 날이 아닌데도, 달이 유난히 크고 가깝게 보일 때가 있습니다. 주로 달이 지평선 근처 건물들 사이에 걸려 있을 때 ... ...
- Part 4. 요원들이 억울하게 붙잡힌 이유수학동아 l2016년 12호
- 2차 보안 검색 대상자로 뽑힌 모양입니다.“따로 불려가면 더 심각하고 복잡한 검색 절차를 밟는대요. 속옷만 입은 채 수색을 당했다는 후기도읽었어요. 우리를 수상하게 본 사람이 있는 게 아닐까요?”키 작은 요원이 불안해하는 사이 공항 직원이 다가와 정말로 속옷만 입은 채 검색에 ... ...
- [소프트웨어] 꼬마 스티브 잡스 키운다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언어에 익숙해지고, ‘플래피 버드’ 같은 단순한 게임을 만들어 본다.5~6학년은 20차시 동안 캐릭터를 움직여 나만의 스토리를 만들거나 전자 자물쇠를 프로그래밍하는 등 좀 더 다양한 활동을 한다. 어려운 상황에서도 전교생에게 SW 교육을 해 나갈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일까?교장 선생님의 ... ...
- [과학뉴스] 우유주사 프로포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지정했습니다.우리나라에서만 유독 이렇게 분류한 이유는 의료 시스템에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미국, 유럽과 달리 1차 의료 기관, 즉 의원, 보건소 등 규모가 작은 병원에서도 독립적으로 수술이 가능합니다. 때문에 프로포폴을 마취 목적이 아닌 단순 투약하는 오남용 사례가 특히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신호로 지질구조를 알아내는 방법)나 전기비저항 탐사(땅에 전류를 흘려 발생하는 전위차를 측정, 특이한 전기적 물성을 보이는 지질구조를 알아내는 방법) 등을 통해 땅속 마그마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해야 하는데 중국 당국의 거부로 올해도 조사를 하지 못했다. 설상가상 지질연의 백두산 연구 ... ...
-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돌을 머리 위까지 치켜 들었다가 온 힘을 다해 내리친다. 이렇게 위험해 보이는 행동을 수차례 반복해 결국 견과류를 깨 먹는다. 고고학 연구에 따르면, 카푸친 원숭이는 약 700년 전부터 돌을 이렇게 썼다.2013년에 발표된 또 다른 연구 결과에 따르면, 카푸친원숭이는 돌을 이용해 사회적 메시지를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