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삭제
절제
말소
폐지
금지
소각
철거
d라이브러리
"
제거
"(으)로 총 2,417건 검색되었습니다.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F-I에 단백질 분해에 필요한 물질이 있음을 확신했다. F-I에 열을 가해 헤모글로빈을
제거
해도 이 가상의 물질은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ATP의존 단백질분해인자’라고 이름붙이고 1978년 논문으로 발표했다. 이 논문이 연구팀에 노벨상을 안겨준 최초의 보고가 된 셈.그 후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확산시킨 뒤 환원반응을 통해 은나노선을 만든다. 겉의 나노튜브는 단백질분해효소로
제거
하면 된다. 기존의 탑다운 방식으로는 도저히 만들 수 없었던 지름 20㎚의 전선도 나노구조를 써서 간단히 만들 수 있게 된 셈이다.역시 자기조립을 통해 만들어지는 지름 10㎚의 펩티드 나노섬유는 서로 얽혀 ... ...
태풍 오면 왜 영동지방에 폭우 내릴까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강릉에 폭우를 내린 원인이 된 것이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모의실험에서 태백산맥을
제거
하고 루사를 재현해봤다. 그랬더니 영동지방이 아니라 한반도 내륙에 동서로 넓은 강우대가 형성됐고, 지형성 구름도 생기지 않았다.태백산맥에 동풍 강하면 호우 위험이번에는 바람이 불어오는 방향이 ... ...
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결점이 있다간격이 초점거리보다 짧을수록 색소작용은 점점 감소되지만 위의 결점은
제거
되고, 십자선을 그 초점면에 놓기에 알맞다분광계·망원경 등에 널리 이용된다W 램지와 S 영이 발견했다반상(斑狀)의 자형조직(自形組織)을 가진 암색맥암(暗色脈岩)의 총칭 황반암(煌斑岩)이라고도 한다반정 ... ...
에어버스와 보잉의 에어쇼 수주전쟁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른다좌변의 카르보닐화합물보다 우변의 아세톤 쪽이 끓는점이 낮을 때는 아세톤을
제거
시키면 평형은 우변으로 이동해 알콕시화알루미늄이 얻어진다이것을 산성으로 하면 카르보닐화합물이 환원되어 알코올이 나온다메르센의 수 1512~1594 네덜란드의 지리학자 근대 지도학의 창시자 루뱅 ... ...
챔피언의 힘은 어디서 오는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자기장을 가하여 편극시킨 다음 물질과 외계의 열접촉을 끊은 상태에서 자기장을
제거
하는 과정을 말한다 어떤 반응의 원계(原系)와 주성계(主成系)에 상당하는 원자의 상태가 같은 곡면(曲面)상에 있는 반응 대부분의 열반응은 이에 속한다 분자를 구성하는 원자핵과 전자 운동을 근사적(보른 ... ...
고양이 복제, 세계 2번째로 성공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텍사스 A&M대 연구팀에 이어 두번째다. 체세포 복제는 난자에서 유전자가 들어 있는 핵을
제거
한 뒤 복제하고 싶은 동물의 신체 일부에서 떼어낸 세포의 핵을 난자에 집어넣는 방법.연구팀은 “1년생 애완고양이(터키산 앙골라)의 체세포를 떼어내 복제 수정란을 만든 뒤 대리모 8마리에 이식한 결과 ... ...
생명체가 컴퓨터 속으로 들어온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어떤 현상이 일어나는지를 실험하지 않고도 예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특정한 유전자를
제거
하거나 넣었을 때 세포가 어떤 반응을 보이는지, 세포 내 특정 물질을 어떻게 더 많이 만들 수 있는지, 병에 걸린 세포가 어떻게 사멸하거나 암세포로 변하는지를 예측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실제 실험의 ... ...
우리는 왜 잠을 자야할까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동안 여러가지 활동을 통해 뇌 안에 입력된 막대한 정보를 정리하고 필요없는 정보를
제거
할 시간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잠이 필요하다는 설명이 있다. 자는 동안 몸은 휴식을 취하지만 렘수면 기간 동안 학습이나 기억에 필요한 뇌 활동은 활발히 일어난다. 즉 렘수면은 뇌가 깨어있으면서 ... ...
30년만에 등장한 수성탐사선 메신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제출했다밀폐된 용기에 양초와 인(燐)을 태우고 남은 기체에서 이산화탄소를
제거
하기 위해 이것을 알칼리액(液)으로 처리했으나 여전히 유독기체가 남았다그는 이것을 연소(燃燒, phlogiston)라고 명명했다92년 질소를 발견했으며 94년에는 최고·최저온도계를 고안하는 등 화학사에 큰 업적을 남겼다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