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쓰는사람"(으)로 총 2,322건 검색되었습니다.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기하학은 수학에서 가장 오래된 분야다. 오래 전부터 기하학은 토지를 측량하거나 곡물의 양을 계산하는 일에 쓰였다. 요즘 학생들이 배우는 공간도형 역시 기하학에 속한다. 우리가 주변에서 흔히 보는 고층건물이나 다양한 모양의 물체를 보면서 공간도형을 떠올린다면 공간도형이 아주 친근하 ...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매년 2월 미국 캘리포니아 롱비치에서 열리는 ‘TED(테드) 컨퍼런스’는 세계 지성의 향연으로 불린다. TED는 테크놀로지, 엔터테인먼트, 디자인의 첫 글자로 과학, 기술, 경제, 예술 등 다양한 분야의 리더들이 연사로 나서 미래 세계에 대한 영감을 불러일으킨다. 올해에도 빌 게이츠, 제임스 캐머런, ...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과학동아 l2010년 05호
- ‘중동은 왜 세계의 화약고가 됐을까?’1950년대 이후 언제나 국제 뉴스의 중심에 있는 중동에 대한 이 고전적인 질문의 답과 해석은 여러 갈래로 나뉜다. 대개는 이슬람 내부의 종파 간 갈등,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영토 분쟁이 단골 메뉴로 꼽히지만, 미국을 비롯한 서구 각국의 끊임없는 개입 ...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과학동아 l2010년 05호
- 투명망토가 인간의 상상력을 자극하기 시작한 지는 꽤 오래됐다. 그리스 신화에는 저승을 지배하는 신 ‘하데스’가 나온다. 하데스란 희랍어로 ‘안 보이는 자’라는 뜻을 갖고 있다. 그런 이름을 갖게 된 이유는 그에게 특별한 뭔가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데스는 가끔 지상으로 나들이를 나왔다 ...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진화적으로 살아남은 종은 계속 진화하지만, 반대의 경우는 퇴화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수많은 답의 집합들이 한 세대에 존재하는 유전자들을 의미한다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답은 그 속에 존재하는 가장 우수한 형질의 유전자로 볼 수 있습니다.”서울대에 파란 눈의 남자가 출현했다. 양복 ... ...
- 빗자루 타고 하늘로 슝~!어린이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은 하늘을 나는 꿈을 꾼 적 없나요? 슈퍼맨처럼 빨간 망토를 걸치거나 빗자루를 타고 슝~하고 파란 하늘을 가로지르는 신나는 꿈 말이에요.조앤 롤링이라는 영국의 작가도 어린 시절, 이런 꿈을 꾼 적이 있나 봐요. 의 주인공 해리포터가 빗자루 ... ...
- 셈도사 베레미즈의 모험수학동아 l2010년 04호
- Prologue_ 페르시아의 한 작은 마을에 베레미즈 사미르라는 목동이 살고 있었습니다. 그는 매일같이 양의 수를 세느라 셈에 대단히 능숙했습니다. 어느 날 넉 달 동안의 휴가를 받은 그는 호화로운 도시 바그다드를 향해 여행을 떠납니다. 바그다드에서 베레미즈는 자신의 뛰어난 계산 능력을 발휘해 ... ...
- 수학자? 과학자?①수학동아 l2010년 04호
- 수학과 과학. 하나만 하기도 힘들어 보이는데 두 분야에서 모두 큰 업적을 남긴 사람들이 있다.그 대표 인물로 뽑힌 네 사람의 업적을 각각 알아보자. 먼저 탈레스와 데카르트를 소개한다~.탈레스(기원전 7세기~기원전 6세기) 수학최초의 수학자로 이름을 남긴 탈레스는 기하학에서 몇 가지 업적을 ... ...
- 왜 4를 싫어하나?수학동아 l2010년 04호
- 휴대전화 비밀번호를 4444로 하는 친구가 있어. 다들 그 친구를 신기하게 생각하더군. 1111, 3333은 괜찮은데 왜 4444라는 수는 이상하다는 거지? ✚ 사람들에게 가장 좋아하는 숫자를 물어 보면 1, 3, 7과 같이 여러 가지 숫자가 나오게 마련이야. 하지만 가장 싫어하는 숫자를 물어보면 다들 4라고 해. 죽 ... ...
- 수학은 과학에 어떻게 공헌할까? ①수학동아 l2010년 04호
- 지금부터 수학이 과학에 구체적으로 어떤 공헌을 했는지 알아보자.과학은 수학을 이용하면서 경험으로만 이해하던 자연을 객관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해 주었다. 실험을 해도 개인에 따라 다르게 보고 느끼던 것을 수학이라는 객관적인 도구로 기록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통계를 이용해 수많은 실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