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지함
정색
중대함
d라이브러리
"
심각함
"(으)로 총 2,228건 검색되었습니다.
1 개인별 맞춤약물 제조시대 개막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알약 하나로 수명의 시계를 거꾸로 돌리고 삶의 질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키는 꿈의 신약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기존의 약과는 달리 환자의 유전적 특성과 환경에 꼭 들어맞는 맞춤약물이다. 세상에 하나뿐인 나만의 약이 약속하는 미래의 패러다이스로 함께 가보자.올해 고3이 된 화정(18, 가명)은 ... ...
디지털 시대의 인체 적신호 VDT 증후군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눈이 따갑다, 목과 어깨가 뻐근하다, 손목과 손가락이 저리다. 만일 당신이 이 중 한가지 증상이라도 느끼고 있다면 VDT 증후군이 아닌지 의심해볼 필요가 있다. 영상매체 없이는 단 하루도 살 수 없는 현대인. 디지털 시대에 길들여져야 하는 우리의 신체는 안전할까.회사원 김씨(34세)는 요즘 눈 때 ... ...
3. 과학한국 토대 다질 처방전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현재 정부는 청소년의 이공계 진학을 독려하기 위한 다양한 시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공계 기피 문제의 진정한 해결책은 무엇일까. 우리 사회 저변에 깔려있는 이공계에 대한 잘못된 인식부터 제도적으로 개선해야 할 문제까지 꼼꼼히 살펴보자. 청소년들의 이공계 기피 현상에 대한 논의가 대학 ... ...
ET vs 에어리언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이후 지구가 우주의 중심이라던 중세 기독교적 세계관이 무너졌다. 그리고 필연적인 의문이 제기됐다. 이 넓은 우주에 인간만이 유일한 지적 생명체일까. 은하계에는 태양과 같은 항성이 수천억개 이상 존재한다. 그리고 우주에는 수천억개 이상의 은하계가 존재한다. 이렇 ... ...
3. 한국인 식생활 이대로 좋은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체력은 국력’이라는 말이 있듯 국가 경쟁력을 가늠하는 주요 지표로 국민이 얼마나 건강한가를 삼을 수 있다. 건강과 직결되는 음식과 영양. 현재 한국인의 영양 실태와 식생활 패턴은 어떤 양상을 띠고 있는지 살펴보자. 경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식생활에 많은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우선 ... ...
하수에서 금맥 캐는 전천후 기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홍수와 가뭄을 극복하고 원하는 시기에 원하는 만큼 양질의 물을 확보하기 위한 노력은 인류 역사가 시작된 이래 계속됐다. 하지만 물문제는 해결되지 않고, 오히려 더 심각해지는 상황이다. 우리나라가 처한 물부족 국가의 운명을 극복하기 위해 등장한 새로운 개념의 치수, 통합수자원관리를 만 ... ...
1. 첨단 고무로 무장한 움직이는 댐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하천은 인간에게 필요한 물을 공급해줄 뿐 아니라 문화를 만드는 공간이다. 그런데 비가 조금만 오지 않으면 중소규모의 하천은 금새 바닥을 드러내 문제가 된다. 언제라도 물이 흐르는 하천을 만들기 위해 진행되는 다양한 연구를 살펴보자. 하천에서 물을 구경하기가 힘들다! 한강과 같은 큰 하 ... ...
4. 10년 후 커다란 강 하나를 만든다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물부족 문제 해결의 중임을 부여받고 탄생한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단. 사업단은 지표수와 지하수, 그리고 대체수자원을 모두 활용하는 신개념 수자원관리 기술을 제시했다. 21세기형 첨단 수자원관리기술을 만나보자.2001년 봄을 기억하는가. 개인마다 다사다난한 일이 있었겠지만, 이 ... ...
인간의 체온은 왜 37℃일까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사람은 항온동물에 속한다. 내 곁의 사람이든 나든 인간이라면 37℃라는 특정 온도를 띠고 있다.그런데 왜 하필 37℃일까. 36.5 또는 37.굳이 설명하지 않아도 이 숫자가 인간의 체온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우리는 잘 안다. 그러나 이 숫자만큼이나 인간의 체온이 단순할까.때때로 자신의 팔을 만져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기상이 물문제에 밀접하게 관련돼 있다는 사실은 쉽게 짐작할 수 있다. 하지만 기상 예측이 쉽지 않기 때문에 최근에서야 두 분야의 결합이 가능해졌다. 물을 가장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탄생한 기상을 이용하는 첨단 수자원 관리 기술을 만나보자. 매년 연중행사처럼 홍수로 하천이 범람하고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