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빛"(으)로 총 5,67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와 ‘사람 인(人)’이 합쳐진 한자예요. 사람이 횃불을 들고 밝게 비춘다는 뜻에서 ‘빛’이란 뜻을 갖게 됐지요.‘합할 합(合)’은 ‘입 구(口)’와 ‘삼합 집(亼)’으로 이루어졌어요. ‘입 구(口)’는 그릇, ‘삼합 집(亼)’은 뚜껑이란 의미를 담고 있어 그릇과 뚜껑이 합해졌다는 뜻이지요.한편, ... ...
- Part 2. AI, 인공신경망으로 뇌 뛰어넘나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얼굴 표면에서 반사되는 빛의 스펙트럼을 분석해 실제 피부색을 제외한 조명 등 다른 빛을 제거하는 기술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中, 3초 만에 13억 얼굴 인식 시도페이스ID처럼 얼굴 인식 기술의 발달이 가져올 부작용은 없을까. 닮은 사람이 정보를 도용하는 신종 범죄가 생기지는 않을까. 윤 ... ...
- [Future] 남극 펭귄 ‘제니’ 관찰카메라 24시과학동아 l2017년 12호
- 할 수 있지만, 밤에는 얕은 곳에서 먹이를 찾지. 고래처럼 초음파라도 쓸 수 있다면 빛이 없는 깊은 곳에서도 먹이를 찾을 수 있겠지만 안타깝게도 우리에게는 그런 능력이 없어. 그래서 카메라 로거는 우리가 주로 사냥하는 밝은 지역의 다양한 생태 정보를 기록해 줄 수 있대. 물론 우리 눈에는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온도가 떨어지고, 약 3000K(절대온도)에 도달했을 때 빛(복사)이 물질과 분리돼 나온다. 이 빛은 현재 우주 공간을 가득 채우고 있고, 물리학자들은 이를 우주배경복사라고 불렀다. 우주배경복사를 관측하면 우주 생성 초기 단계의 흔적을 확인한 것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그러던 중 1964년 아노 ... ...
- [Culture] 지옥구더기의 분류학적 위치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수 있다. 일단 적응하기만 한다면 박테리아가 살지 못할 환경이 아닌 것이다. 태양빛이 없는 환경에서, 어떤 박테리아는 황화수소와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유기물질을 만든다. 이러한 유기물질은 다른 생명체의 먹이가 될 수 있다. 그래서 황화수소가 뿜어져 나오는 열수분출공 근처의 관벌레가 ... ...
-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2017년 5월 10일, 프랑스 몽펠리에대학교는 그동안 베일에 싸여있던 그로텐디크의 노트를 모두가볼 수 있도록 온라인에 공개했다. 노트를 쓴 장 ...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 ...
- 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수학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는 직관력과 지성이 20세기 최고의 물리학자인 아인슈타인에 비견될정도의 인물이다. 아쉽게도 일반 대중에게는 ...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 ...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말구아르 교수와 함께 몽펠리에 알렉산더 그로텐디크 연구소에서 프로젝트 리더를 맡고 있는 장미셸 마랭 몽펠리에대 교수를 만나 그로텐디 ... 계속 보시려면? Intro. 새로운 기하학의 탄생, 그로텐디크의 노트Part 1. 26년 만에 세상의 빛을 본 연구노트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 ...
- [과학뉴스] 스스로 빛을 내는 버섯의 비밀!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생물이 스스로 빛을 내는 현상을 ‘생물 발광’이라고 해요. 주로 바다 생물들에게서 많이 발견되지만, 버섯과 같은 균류에서도 생물 발광 현상이 일어 ... 이용해 루시페린의 양을 조절하면 초록뿐만 아니라 노랑, 빨강, 파랑 등 다양한 색깔의 빛을 내는 버섯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어요 ... ...
- Part 5. 플래시 스피드포스 초소형 가속기 기술로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우주의 기원을 연구하거나 물질의 속살을 파헤친다. 또 X선과 같이 파장이 매우 짧은 빛을 발생시켜 기존의 현미경으로는 도저히 볼 수 없는 극미의 세계도 열었다. ‘노벨상을 수상한 연구 5개 중 1개는 가속기를 이용한 연구’라는 말이 괜히 나오는 것이 아니다. 앞으로 가속기가 책상 위에 올릴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