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규모
범위
한계
스케일
d라이브러리
"
넓은
"(으)로 총 2,124건 검색되었습니다.
애완용 고양이도 사스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전망이다. 이번 연구에서 보면 고양이는 바이러스에 감염되더라도 멀쩡한데, 행동반경이
넓은
동물이므로 오히려 더 위험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아늑한 집에서 주인의 사랑을 받으며 유유자적하던 고양이들이 하루아침에 대문밖으로 쫓겨나는 신세가 될지도 모르겠다. 혹시나 인정 많은 주인이라면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심하게 왜곡시키는데, 이를 ‘지자기 폭풍’이라고 한다. 지자기 폭풍이 일어나면 좀더
넓은
지역에서도 오로라를 관찰할 수 있다. 1909년 대규모 지자기 폭풍이 일어났을 때는 지자기의 적도에 가까운 싱가폴에서도 오로라를 목격했다고 한다. 지난 10월 30일 한반도 상공에서 오로라 관측이 가능했던 ... ...
공기·물·땅, 어느 것이 좋은가?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열교환이 쉽지 않다. 이런 까닭에 땅으로부터 열을 얻으려면 공기나 물의 열펌프보다
넓은
면적으로 열교환이 이뤄져야 한다. 따라서 지열을 활용한 열펌프 시스템은 다른 열펌프 시스템에 비해 초기 설치비용이 클 수밖에 없다 ... ...
최첨단 시스템 장착된 2004년 렉서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극대화된다좁은 의미로는 석탄을 건류(乾溜)했을 때 얻는 콜타르를 말하며,
넓은
의미로는 석탄·석유·목재 기타 유기물을 건조·열분해했을 때에 생성되는 갈색 내지 흑색의 유상(油狀)물질 일반적으로 타르의 조성과 성상은 원료마다 다르다지구 표면을 약 10개 부분(이것을 판이라 하는데, 두께는 ... ...
4 개는 인간의 생각을 가장 잘 읽는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비교연구에 따라 중국 늑대가 개의 선조라는 설에 무게가 더 실리고 있다. 서식 범위가
넓은
늑대가 세계적으로 분포돼 있었을 당시 각 지역 늑대들이 사람에 의해 길들여져 다양한 개의 조상이 됐다는 주장도 무시할 수 없다.하지만 한가지 분명한 사실은 개로 가축화되면서 많은 변화가 수반됐다는 ... ...
푸른빛의 환상! 플레아데스성단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있어 성운이 존재함을 쉽게 알 수 있지만 실상 눈으로 보이는 것보다 그 성운들은 더
넓은
지역에 걸쳐 있다. 플레아데스에서 가장 잘 확인되는 성운은 플레아데스 내부의 가장 밝은 별인 황소자리 에타별, 즉 알키오네 부근의 성운들이다. 반면 성운이 가장 넓게 퍼져 있는 곳은 플레아데스의 남쪽 ... ...
괴물처럼 거대한 태양 폭발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1개씩 일정방향으로 소사(掃射)하여 광학적인 강약을 전기적인 강약으로 변환한다 결국
넓은
화면을 먼저 많은 선, 즉 주사선으로 나누고 다시 각각의 선을 많은 점의 집합으로 나누어 전체를 아주 작은 화소(畫素)로 분해하여 보낸다 이론적으로는 주사선의 수가 많을수록 그림의 분해능 혹은 ... ...
법정에 오른 커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가져다주려고? 물론 카페인을 만드는 능력 때문에 커피나무는 인류의 도움으로 지구상의
넓은
지역에 광범위하게 자손을 퍼뜨린 성공적인 종에 속한다. 그러나 인류가 카페인의 맛에 취한 것은 기껏해야 2천-3천년 정도다.커피하면 남미의 콜롬비아나 브라질이 연상되지만 커피나무의 원산지는 ... ...
이공계가 과학기술 강대국 中國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이념논쟁을 벌일 때 중국은 아시아 변방의 맹주에 지나지 않았다. 세계에서 세번째로
넓은
9백60만km2의 국토와 세계 인구의 5분의 1에 이르는 13억 인구는 수치적으로만 거대한 중국을 수식하는 말들이었다. 그러나 1991년 옛소련이 붕괴하면서 세계 패권을 주도하는 미국에 맞설 수 있는 유일한 나라로 ... ...
뭉클뭉클, 이 느낌이야!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운동복 차림의 학생들이 뛰어다닌다. 권동수 교수의 실험실이 있는 건물 내부의
넓은
공간은 기계공학과답게 거대하고 복잡한 기계들이 마치 찰리 채플린의 ‘모던 타임스’의 장면처럼 가득 들어차 있다. 4층에 있는 권 교수의 실험실에 들어서자 박사과정을 밟고 있는 김상연씨가 반갑게 맞이한다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