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꿈"(으)로 총 2,98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으로 극뽁~!수학동아 l2011년 08호
- 수 있다는 가르침을 받았어요. 여러분도 아직 무한한 가능성이 있다는 걸 잊지 마시고, 꿈을 이루기 위해 최선을 다하길 바랄게요.”노력하고 변화하는 배우 임지규, 더욱 단단해져 우리 곁에서 이름을 날릴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강수량의 18%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평화로운 추석 연휴를 만끽하려던 서울 시민들의 꿈은 빗물에 휩쓸려 버렸다.수치예보 전문가의 이유 있는 변명‘좁은 지역에 수 시간 동안 집중적으로 강하게 내리는 비’ 집중호우는 그야말로 잊을만하면 우리나라를 찾는 불청객이다. 우리나라는 지형이 ...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조종사’만 직업으로 생각하는 것이 안타깝다고 했다. 그 자신도 어릴 적엔 조종사를 꿈꾸며 공군사관학교에 지원했다. 미국에까지 가서 비행기를 운전할 수 있는 자격증을 따기도 했다. 하지만 우연한 기회에 비행기 설계 제작 분야를 접한 뒤 그 길로 들어섰다. 2008년에는 ‘림스플라이’라는 ... ...
- “20년 꿈을 달나라로 쏘겠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벗어난 탐사선이 달까지 한번에 날아가게 된다.1990년 첫 과학로켓 개발… 20년 이어진 꿈한국 우주로켓 개발의 역사는 1990년대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정부와 항우연은 3년간의 개발기간을 거쳐 한국최초의 연구용 로켓인 ‘과학로켓1호(KSR-I)’ 개발에 성공했다.KSR-I은 1단 뿐이고, 오존층 높이(25~3 ... ...
- “끈끈한 동기애로 큰 목표 이룬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실무능력을 쌓고, 국가기술 자격증도 서너개 갖고 졸업해요.” 일찌감치 항공기술자의 꿈을 갖고 입학한 그들의 미래는 지난 3년간 더욱 구체화됐다. 김지열 학생은 공군사관학교 진학을 목표로 준비하고 있다. 김다혜 학생은 항공부사관으로서 최고의 자리에 오르겠다는 다짐을 했다. “진로가 ... ...
- Part 3. 과학이 만든 '착한 토네이도'과학동아 l2011년 07호
- 그는 발전기 10개를 돌릴 수 있는 거대한 토네이도(지름 200m, 높이 20km)를 만들려는 꿈을 꾼다. 이미 지름 1m의 발전기용 토네이도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그렇다면 세계에서 가장 큰 인공토네이도는 어디에 있을까. 독일 슈투트가르트의 메르세데스 벤츠 박물관에 있는 인공토네이도는 높이 34.43m로 ... ...
- [hot science] 내년 여름휴가는 우주로 간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우주여행을 떠날 준비를 하고 있다는 기사를 봤다. 이들은 상업적 목적없이 오로지 꿈을 위해 이 일을 하는 것이다. 필자도 이들과 같은 아마추어 로켓 연구가로서, 이들이 꼭 우주에 다녀오기를 기원하고 있다. 우주, 그곳은 우리가 결코 도달하지 못할 곳이 아니란 것을 보여주기 위해서… ... ...
- 아이언맨이 뛰쳐나왔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옷’은 특히 인기가 있어서, 아직까지도 만화나 영화의 단골소재로 등장한다. 이 작은(?) 꿈을 현실로 만드는 방법은 없을까. 과학자들이 한 가지 방법을 제시했다. 로봇을 몸에 입으면 된다.인간의 팔다리 힘을 키워주는 로봇 장치를 ‘입는 로봇(wearable robot)’ 또는 ‘외골격로봇(robot exoskeleton ... ...
- “전문 항공기술의 꿈에 도전하라”과학동아 l2011년 07호
- 마친 후에 다른 진로를 선택할 수도 있다. 학생들이 항공기술 부사관이 되고자 하는 꿈을 명확히 갖고 입학하지만, 전문인력으로서 스스로 진로를 개척하는 비전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이를 고민하고 선택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적성개발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있다.항공관련 업체로 진출할 경우 어떤 ... ...
- 꿈이 있어야 구체적인 길이 보인다과학동아 l2011년 07호
- 하지만 지금은 자신의 꿈에 대해 처음부터 돌아보는 시간이 필요하다. 일단 의사에 대한 꿈부터 점검한 후에 원하는 전공을 생각하고, 그에 맞는 계획을 세워나가기로 했다. 그 사이에 내신성적을 성실히 관리하고 의미있는 활동을 하는 건 기본이다. 그 후에 다시 구체적인 진학, 진로 고민을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