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길이"(으)로 총 4,932건 검색되었습니다.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어떤 일에 기준을 만들고 그 기준을 따르는 것을 뜻해요. 예를 들어 우리가 1cm의 길이를 정해 놓고 그 기준을 따르듯이 말이에요. 블록에도 이런 규칙이 적용돼요. 서로 다른 블록끼리 쉽게 끼울 수 있도록 요철의 모양과 크기에 기준을 만들어 두었거든요.레고를 생각하면 쉬워요. 레고의 윗면에 ... ...
- [과학뉴스] 한국 노인에 꼭 맞는 표준 뇌 모형 개발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한국 노인의 표준 뇌 모형은 좌우 폭이 13.6cm로 서양 노인(13.4cm)보다 넓었다. 반면 앞뒤 길이는 16.0cm로 서양인(17.3cm)보다 짧았다. 상하 높이도 한국 노인은 11.5cm, 서양 노인은 12.4cm로 0.9cm의 차이를 보였다.김 교수는 “그동안 한국 노인의 표준 뇌가 없어 정확한 연구결과를 내는 데 어려움이 ... ...
- [Knowledge] 뼈의 말에 귀 기울이는 사람들(上)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머리다. 예컨대 아시아인에 비해 서양인은 눈이 움푹 들어가 있다든가, 머리의 앞뒤 길이가 길다든가 하는 특징들이 있다.법의인류학자들도 주로 머리뼈를 본다. 머리뼈가 앞뒤로 긴지 좌우로 긴지, 머리 높이가 높은지 낮은지, 얼굴 크기는 얼마나 크고 광대뼈와 입은 얼마나 튀어 나왔는지, 눈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단순히 생존을 위한 먹이라고 보는지 아니면 ‘달콤한’ 먹이라고 느끼는지 인간은 알 길이 없다. 추론만 할 수 있을 뿐이다. 한가지 방법은 곤충이 의식을 가진 존재인지 검증하는 것. 의식이란, 감각을 비롯해 깨어 있는 상태에서 경험하는 모든 심리적 현상을 말한다. 만약 곤충에게도 의식이 ... ...
- [Knowledge] 뛰지 못하는 작은 원숭이의 생존법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눈만 보고 그 동물이 몸집이 무척 크다고 짐작할 것이다(참고로 느림보원숭이의 실제 몸 길이는 30cm에 불과하다).피부도 느림보원숭이의 방어를 돕는다. 특히 목 뒷부분의 피부가 두꺼워서, 포식자는 느림보원숭이의 목을 물어 한번에 즉사시킬 수 없다. 게다가 아주 얇고 날카로운 송곳니도 가졌다. ... ...
- [가상인터뷰] 팝콘 냄새가 나는 동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말레이시아 등의 동남아시아 지역에 주로 서식하는 사향고양이과 동물이지요. 전체 몸길이는 60~95cm 정도로, 사향고양이과 동물 중에선 몸집이 큰 편이에요.저는 나무 위에서 사는 것을 좋아해요. 꼬리의 힘이 강해 꼬리를 이용해 나무에 매달리거나 물건을 감아쥘 수도 있지요. 귀여운 외모를 ... ...
- [출동! 섭섭박사] 밀가루 반죽에서 전구가 반짝! 전도성 반죽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수 있어야 전기회로가 문제없이 작동할 수 있지요. 특히 LED 전구의 경우, 두 다리의 길이를 다르게 만드는 것으로 양극을 구분해 놓았어요. 긴 다리는 (+)극에, 짧은 다리는 (-)극에 연결해야 LED가 빛을 낼 수 있답니다.소금물을 넣은 밀가루 반죽과 마찬가지로 컬러점토 역시 전기가 통해요. 컬러점토 ... ...
- [Knowledge] 협력자 끼리끼리과학동아 l2016년 09호
- 알려주는척도다. 근연도가 0보다 크다면, 해밀턴의 규칙에 따라 이타성이 진화할 수 있는 길이 열린다. 족보를 따지는 혈연 관계는 근연도를 0보다 크게 만드는 여러 요인 중의 하나일 뿐이다 ... ...
- PART 3. 거대 도시가 사라지려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개 중 16곳이 재활용되고 있다(2015년 ‘매일경제’ 조사 결과). 재활용되는 터널은 자전거 길이나 조명건축물을 전시하는 용도로도 쓰이지만, 무엇보다 와인저장고로 많이 쓰인다. 터널의 서늘한 기온을 이용한 것이다. 1905년 경부선 철도로 개통됐지만 급한 경사 때문에 1937년 폐 터널이 된 경북 ... ...
- [수학뉴스] 안전하게 떨어진다고?수학동아 l2016년 08호
- 늘어날 수 있는 탄력성 등을 변수로 방정식을 만들었습니다.그 결과 로프가 늘어나는 길이에 따른 탄력에너지와 로프가 늘어날 때 사람에게 가해지는 힘을 예측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떨어지는 속도가 천천히 줄어드는 로프를 설계할 수 있었던 것이지요.교수팀은 이론적으로 완벽한 이 로프를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