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류
구별
분할
분리
부분
갈라내기
선별
d라이브러리
"
구분
"(으)로 총 3,361건 검색되었습니다.
성적표 사용 백서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중간 아래에 속한다. 이 경우 4등급으로 올리는 것은 쉽지 않다. 예를 들어 4등급
구분
점수가 75점 정도라도 이미 5점이나 뒤져 있기 때문에 기말고사 한번으로 성적을 뒤집기는 쉽지 않다. 다른 과목 공부할 양이 많거나 등급을 올릴 수 있는 과목이 있다면 물리I은 중간고사 정도로 준비하고 다른 ... ...
촉감만으로 물질을 구별하는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채웠다.피부 표면에는 진동도 느낄 수 있도록 지문을 새겨넣었다. 바이오택이 물질을
구분
하는 핵심 원리는 진동 감지와 수학적 모델인 ‘베이즈 정리’다. 우선 진동 감지는 손가락 안쪽에 설치된 청음기로 한다. 로봇 손가락이 물질을 스치면 피부가 다양한 형태로 진동하는데 이를 감지하는 ... ...
토끼풀vs괭이밥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괭이밥의 잎모양에 더 가까운 모습이지.꽃 모양은 서로 달라서 꽃이 피면 쉽게
구분
할 수 있지. 까리 까리 헤까리~. 하지만 붉은 토끼풀 꽃은 자운영과, 괭이밥은 꽃과 잎 모양이 사랑초와 아주 비슷해. 이제 더 헷갈리지~. 깔깔깔 ... ...
잡생각 많은 당신, 걱정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바쁘게 돌아가고 있다”고 밝혔다. 뇌영상만으로는 쉬고 있는지 머리를 쓰고 있는지
구분
할 수 없을 정도라고 한다. 놀랍게도 이런 명백한 사실이 1990년대 후반까지도 무시돼 왔다. 일을 하지 않을 때는 뇌도 쉴 거라는 ‘믿음’이 그만큼 강했기 때문이다.레이클 교수는 이처럼 우리가 빈둥거릴 ... ...
통합과학 - 빛을
구분
하는 능력, 분해능
과학동아
l
2012년 07호
먼 거리에 있는 여러 개의 별은 망원경으로 봤을 때 하나로 보이기 쉽다. 빛은 회절하고 간섭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잘
구분
해 볼 수 있는 분해능을 높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교과서 속에 답이 있다. 교과서 지문을 통해 알아보자. ...
식물을 품은 떡잎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7호
조그맣긴 해도 참 대단하지? ㅎㅎQuiz 어떤 것이 ‘떡잎’일까요?떡잎과 본잎은 모양으로
구분
할 수 있어요. 떡잎은 잎 주위에 톱니모양이 없고 본잎보다 둥글둥글하죠. 또 본잎 보다 조금 두꺼워요. 그럼 친구들, 한 번 떡잎을 직접 찾아볼까요? 아래 여러 식물 사진에서 각각 어떤 것이 떡잎이고 ... ...
별별 수학 올림픽, 최고의 수학자는 누구?
수학동아
l
2012년 07호
비해 한 단계 높은 차원에 속한다고 했지요. 타르스키는 두 언어를 계층적으로
구분
해야 모순이 생기지 않는다고 말했답니다.논리학의 기초를 세운 러셀의 역설어떤 마을에 단 한 명의 이발사가 있습니다. 이 이발사는 스스로 면도하지 않는 마을 사람들만 면도를 해 주지요. 그러면 이 이발사는 ... ...
괴물 탄도탄은 지그재그로 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개발해 배치한 최신형 ICBM 토폴-M은 미사일 기술의 극치로 불린다. 탄도미사일로
구분
하긴 하지만, 일반적인 타원형의 탄도궤도를 완벽하게 무시하고 있어서 유도미사일이라고 부르기에도 손색이 없다.이 신형 미사일은 ‘괴물 ICBM’ 이란 칭호까지 얻고 있다. 도대체 어떤 점이 괴물일까. 일반적인 ... ...
Part 3. 튜링의 마지막 도전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진짜 우주인가? 현재까지 정답률은 25%에 불과했다. 무작위로 찍었을 때의 확률이므로
구분
이 불가능하다는 뜻이다.이 시뮬레이션 기술이 발전해 현재 우리는 관측할 수 있는 우주보다 더 큰 우주의 지도를 컴퓨터로 만들어 내고 있다. 이런 방법론을 흔히 ‘N·바디(body)’ 시뮬레이션이라고 부른다. ... ...
아리랑 3호 세계와 겨룰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광학 관측위성 가운데 6번째 수준이다(정찰위성 제외). 아리랑 3호보다 뛰어난 공간
구분
능력을 지닌 다목적 관측위성을 만들고 보유한 나라는 미국과 유럽, 이스라엘뿐이다. 세계의 고성능 광학 위성의 현황을 인포그래픽으로 알아봤다 ... ...
이전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