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고려"(으)로 총 3,948건 검색되었습니다.
- 다람쥐원숭이 수컷은 왜 빨간 색을 보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전자는 붉은색 계통의 잘 익은 과일이나 어린잎을 찾는 능력, 교미상대를 찾는 능력 등을 고려했을 때 3원색 구분 능력이 우월한 형질이라고 주장합니다. 반면, 보호색으로 위장한 곤충 같은 먹이를 찾는 데에는 오히려 3원색 구분 능력이 방해가 된다고 반박하는 학자들도 있지요.올해만 해도 결론이 ... ...
- Part 1 알아두면 더 재밌는 월드컵 이야기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때문에 대륙별 ‘가중치’를 둔다. FIFA에서는 월드컵 2년 전에 각 나라의 FIFA 순위 등을 고려해 대륙별 본선 티켓의 수를 정한다. 2014년 월드컵에서 대륙별로 배정된 본선 티켓의 수는 왼쪽 아래 표와 같다. 개최국인 브라질은 예선과 상관없이 본선에 진출한다.그런데 표를 살펴보면 아프리카와 ... ...
- 선택 2014, 무한도시 시장을 뽑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비확률추출법 중 할당추출법을 사용하는데, 주로 나이, 성별, 지역 이 세가지를 고려합니다. 조사 기관에서는 각 주제 별로 할당량을 정해 놓고 그 수가 채워지면 더 이상 조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저, 유재숙 후보를 좋아하는 사람만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할 가능성은 없습니다.오해입니다. 신뢰할 ... ...
- 세계 최초 개인 인공위성을 발사한 송호준 작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예술가 송호준의 앞으로 행보가 기대된다. Q&A 송호준 작가의 학창시절은 어땠을까?고려대와 카이스트 출신의 공학도시니 수학도 잘하셨을 것 같아요. 수포자에게 한 마디 하신다면? 학생 때 내가 왜 공부를 해야 하는지 동기가 있으면 잘 할 수 있어요. 하지만 학교에서는 이런 동기를 잘 만들어 ... ...
- [Career]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흔한 현상이지만, 양자역학에는 카오스가 없다. 중시계는 양자역학과 고전역학 모두를 고려해야 하는 영역이기에 카오스는 피할 수 없는 문제였다.고전역학으로 생각하면 도체 내의 자유전자는 여러 다른 입자들과 부딪히며 카오스적으로 운동한다.마치 물에 떨어진 잉크방울의 확산운동과 ... ...
- 태초에 빅뱅이 없었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제안했던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은 국소성의 틀 안에서 발전시켰다”라며 “국소성을 고려해 다시 계산하면 아마 이집트 연구진이 생각하지 못했던 수학적 오류가 나타날 것”이라고 말했다.빅뱅 앞에 거대한 막이 있다결론적으로 레인보우 그래비티 이론에 대한 검증은 아직 어렵다는 의견이 ... ...
- 운석은 진주에만 떨어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이보다 훨씬 많다. 선조들의 천문기록을 보면 유성과 운석 기록이 풍부하다. 삼국사기, 고려사, 조선왕조실록 등에 기록된 밝은 유성의 관측기록은 무려 4000건에 달한다. ‘운석이 발견됐다’는 기사도 50건이 넘는다. 우리 현대천문학의 역량이 수백 년 전 선조들에게도 미치지 못하고 있으니 정말 ... ...
- 그녀는 왜 물탱크를 버렸을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눈높이를 맞추고 공손하게 줘야 하는데, 저는 한 손으로 휙 던져준 셈이었죠.” 최의소 고려대 명예교수는 하수처리에 주목했다. 최 교수는 1970~1980년대 한국의 경험을 통해 물 문제를 해결하도록 한국국제협력단(KOICA) 중장기 자문단으로 에콰도르에 파견됐다. 거기에서 최 교수는 하수처리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있다. 암은 크기뿐 아니라 종류와 형태, 모양, 위치, 퍼져있는 상태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 0.6~1cm 크기의 암이라도 림프절에 전이됐거나 갑상샘 막을 뚫고 나왔으면 수술해야 한다. 이보다 작더라도 키큰세포, 섬모양세포, 수질암, 미분화암 등은 즉시 수술해야 한다. 그리고 갑상샘암을 일찍 ... ...
- 우주 급팽창 첫 증거 발견, 그 이후 - 초끈이론이 흔들린다?과학동아 l2014년 05호
- 방향을 갖는 물리량이다. 텐서는 각운동량처럼 크기와 방향을 갖는데, 제3의 방향성도 고려해야 하는 것이다. 이 중 벡터 섭동량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소멸돼 현재 우주 관측량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수많은 급팽창 모델들을 세울 때 사용하는 것이 텐서와 스칼라 섭동의 비율이다. 바로 이 값이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