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설"(으)로 총 1,401건 검색되었습니다.
- 인정하기엔 너무 약한 「제5의 힘」과학동아 l1990년 11호
- 몬타나 주립대학의 케네스 노르트벳(Kenneth Nordtvedt) 박사가 세운 가설에 근거하고 있다.이 가설은 아인슈타인의 등가원리(equivalence principle)를 이용해 제 5의 힘을 확인하려는 것이 핵심이다. 즉 달과 지구처럼 서로 다른 두 물체는 보다 무거운 태양에 당겨질 때 같은 가속도로 운동한다는 원리를 ... ...
- 운석과 혜성으로 지구에 접근하기도과학동아 l1990년 10호
- 확실하지는 않으나 천문학자들은 이것을 설명하기 위해 두가지의 가설을 세웠다. 첫번째 가설은 다음과 같다.태양계 초기에 행성의 모습을 거의 완벽하게 갖춘 목성은, 자신의 궤도에 남아 있던 비교적 큰 행성체들을 궤도 밖으로 밀어낸다. 목성궤도로부터 튀어나온 행성체들은 소행성 지역을 ... ...
- 사라진 태양 중성미자는 어디에?과학동아 l1990년 10호
- 가지고 나름대로 계산해 본 후 그 결과가 5년전 소련과학자들이 제시한 중성미자 부족의 가설과 일치하는 것이라고 결론지었다.만일 전자 중성미자가 질량이 없는 것이 아니라 아주 미세한 질량이라도 갖고 있다면 이 중성미자는 일반물질과 반응, 진동하게 될 것이다. 많은 경우 좀 더 무거운 타우 ... ...
-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책을 만들다과학동아 l1990년 09호
- 것은 널리 알려져 있는 사실이다. 반면 활자인쇄는 중국의 영향을 받았을 것이라는 가설 정도에 머무르고 있다. 따라서 그런 견해를 부정하는 버날의 글은 한발 더 나아간 것임에 틀림없다.고려에서 청동활자 인쇄가 시작된 시기는 13세기 초 또는 그 이전이다. 그러므로 그 기술과 아이디어가 ... ...
- Ⅱ 생명체의 사령탑─뇌하수체과학동아 l1990년 07호
- 전환이었다. 25만 마리에서 1mg을 추출해뇌하수체가 시상하부의 지배를 받고 있다는 가설이 지지를 받아감에 따라서 시상하부에서 합성·분비돼 뇌하수체에 영향을 미치는 물질을 밝히고자 하는 세기의 과학적 경쟁이 20세기 중반에 시작됐다. 이 경쟁의 승리자는 길레민(Guillemin)과 섈리(Schally)였다 ... ...
- 사람이 열쇠노릇한다과학동아 l1990년 07호
- 그 원리와 기능은?'신체의 일부분이 열쇠노릇을 한다.' 이 이론은 몇년 전까지만 해도 가설에 불과했다. SF영화 같은데서나 구경할 수 있던 한갓 사람들의 희망사항일 뿐이었다. 그러나 그것이 현실로 다가왔다. 비약적인 컴퓨터 산업의 발전 덕분이다.컴퓨터를 통해 사람의 특성 형태를 읽어내고 ... ...
- 쿼크와 렙톤의 세계과학동아 l1990년 07호
- 것으로 보아 이들이 몇 개의 기본입자(quark, 쿼크라고 부른다)들로 구성됐을 것이라는 가설을 제시했다.이는 19세기에 멘델레에프(Mendeleev)에 의해 원소들이 화학적 성질에 따라 규칙적으로 분류되고(주기율표), 이러한 규칙성이 20세기에 들어와서 원자의 구조가 밝혀짐에 따라 이해됐던 상황과 ... ...
- 우주의 형성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수십억, 수조개의 미립자들을 다루는 것이 좋다. 그리고 나아가서 그 프로그램을 조사, 가설이 타당했음을 확실히 증명해야 할 것이다.다른 천문학자들도 보다 크고 어쩌면 보다 타당한 모형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 결과로서 보다 크고 세밀한 우주가 창조돼 실제 우주와 비교·연구될 수 ... ...
- 기억의 메커니즘과학동아 l1990년 06호
- 맡고 있다고 생각했으나 1920년대에 들어서면서부터 기억이 뇌의 특정부위에 저장된다는 가설이 부정됐다. 심리학자들은 쥐의 뇌를 제거한 뒤 수술 전의 학습을 통해 얻어진 기억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관찰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뇌가 제거됨에 따라 기억이 약화되지만 기억이 모두 소거돼 ... ...
- 제6의 영양소 섬유질과학동아 l1990년 06호
- 점에 착안, 섬유질 식품의 섭취량과 성인병 발병률이 반비례한다는 가설을 발표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육식위주 식사를 하는 유럽인은 하루 배변량이 1백 g, 소화관 통과시간이 80시간인데 비해 채식 위주인 아프리카인은 하루 배변량이 5백 g, 장내 통과시간이 36시간에 불과했다는 것이다. 이때부터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