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SF 소설] 미래에게 가르치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어른이 아이를 때리면 폭력이다. 아이가 어른을 때리면 그것도 폭력이다. 나는 폭력일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하고 태그 버튼을 누르려고 캔맥주에서 손을 뗐다. 하지만 어른은 아이를 때릴 듯 몇 번 손을 들어올리다 가 버렸다. 아이는 우는 건지 고개를 푹 숙이고 연신 얼굴을 훔치고 있었다. 나는 ... ...
- [이달의 책] 당신이 선한 것은 본능이다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총 24종(149쪽의 8종을 제외한 16종은 YES24 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이벤트 기간 2021년 4월 1일~30일사은품 기획전 도서를 포함해 1만 5000원 이상 구매 시 퍼즐 증정(YES24 포인트 차감) ※ 사은품 소진 시 조기 마감될 수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6화. 펜로즈 타일링과 대칭수학동아 l2021년 04호
- 댄 셰흐트만 교수는 2011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이렇게 어마어마한 발견을 가능하게 한 펜로즈 타일링이지만, 정작 펜로즈 교수는 순전히 재미 삼아 펜로즈 타일링을 고안해냈다고 합니다.결국 펜로즈 교수가 수학을 즐기며 만들었던 아름다운 모양이 노벨 화학상에 이바지했다고 볼 수 ... ...
- [오일러프로젝터] 뭉쳐서쏠까수학동아 l2021년 04호
- 팩토리얼(factorial) 함수를 가져와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9!은 factorial(9)로 나타내죠. 2. 가능한 경우의 수를 고려해 100만 번째 순열 찾기이제 팩토리얼 값을 이용해 100만 번째 순열을 찾습니다. 예를 들어 0으로 시작하는 순열은 36만 2880(=9!)개입니다. 1 또는 2로 시작하는 순열 역시 각각 36만 2880 ...
- [기획] 음악으로 발견한 소통의 본질, 뮤지션 박새별과학동아 l2021년 04호
- 자연어 처리 알고리즘을 개발했다. 음악을 좀 더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연구였다. 지금은 음악을 좀 더 세밀한 단위로 나누는 연구에 집중하고 있다. 자연어 처리 기술을 활용하기 위한 전처리 과정에 해당한다. 자연어 처리를 포함한 딥러닝 기술을 언어에 적용할 때, ... ...
-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4화. 사라진 말캉 다이아몬드, 범인은 바로 삐뚤란?!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4호
- 숨어 버릴지도 몰랐습니다. 하지만 그렁그렁한 눈빛을 마주 본다면, 거짓말하는 게 불가능합니다. “이봐요. 이리 와봐요. 심문해야겠습니다.”경찰대장이 눈을 깜빡이자 다시 그렁그렁한 눈빛이 나타났습니다. 딱지는 어떻게 해야 할지 알 수 없었습니다.그때 누군가 큰소리로 외쳤습니다. “저 ... ...
- [기획] 엉뚱한 증명의 귀재, 수학 유튜브 크리에이터 로지컬수학동아 l2021년 03호
- 제가 만든 영상을 봤을 때, 잘 이해하지 못한 부분을 제대로 파악하기 위해 다시 돌려볼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여러 예상이 잘 맞아 떨어져 조횟수와 구독자 수,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었어요. Q 공학 분야 학과나 수학과를 졸업한 건가요?나이나 개인 정보는 철저히 비공개로 활동하고 ...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과학동아 l2021년 03호
- 미국 서던메소디스트대 기계공학부 교수가 이끄는 연구팀은 나노봇 제어에 새로운 가능성을 연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38/s41467-021-21322-0그동안 체액과 같은 유체에서 나노봇을 자기장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로봇의 형태가 비대칭적이거나 유연해야 한다는 것이 정설이었다. 구형 입자는 ... ...
- 현실로 다가온 위기, 변화로 맞서는 대학들과학동아 l2021년 03호
- 거두지 못한 온라인 공개수업(MOOC)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새로운 가능성을 얻기도 했습니다. 허준 연세대 건설환경공학과 교수는 저서 ‘대학의 과거와 미래’에서 “2013년과 2014년 국내외 주요대학들이 MOOC에 대한 환상과 두려움을 동시에 느꼈다”며 “한 학자는 MOOC로 인해 ...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지난해 11월 정부가 발표한 ‘국가 인공지능 윤리기준’에는 알고리즘 투명성과 설명 가능성이 강조돼 있습니다. 강제력은 없지만 윤리도 규범인 만큼 이를 근거로 회사에 채용 거절 근거에 관한 설명을 다시 한번 요청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올해 1월엔 한국도 유럽과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자는 ... ...
이전12712812913013113213313413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