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넷에 생중계되는 개인 사생활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인터넷의 새로운 가능성에 도전하는 네티즌들 사이에 ‘웹캠’(webcam)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웹캠이란 웹과 카메라, 또는 캠코더의 합성어로, 일정한 장소에 ... 심리학자들은, 올 여름 내내 미국 언론에 오르내린 ‘제니캠 현상’이 과연 어떤
결과
를 가져올지 예의 주시하고 있다 ... ...
투명과학은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옷을 훔쳐 입거나 붕대로 몸을 칭칭 감는 것뿐이다. 비록 그리핀은 전력을 기울여 얻은
결과
로 투명인간이 됨으로써 인간 이상의 존재가 됐지만, 그는 동시에 스스로를 감옥에 가둔 인간 이하의 존재가 되고 만 것이다.작가 웰스가 녹녹지 않은 과학적 식견을 가지고 있음은 소설 곳곳에서 나타난다.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정남을 따라 천구에 상상으로 그은 선)과 일치하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실제로 측정한
결과
각 천문대는 자오선 방향에 대해 6호분과9호분씩 틀어져 있었다. 이에 비해 대피라미드는 3호분 남짓 어긋나 있을 뿐이다.또 오늘날 레이저빔을 이용한 초정밀 수준기(평면의 수평 정도를 측정하는 ... ...
에디슨 전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쉽게 기화하기 때문에 전구 내부가 더러워지고 필라멘트도 쉽게 끊어진다. 그
결과
전구 속에서 필라멘트와 반응하지 않는 아르곤기체가 사용되기 시작했다.액체질소 전구■왜 그럴까?공기를 차단시키는 방법으로 질소를 사용했다. 질소는 공기 중에 80%가 있으나 질소만 모으기는 어렵기 때문에 ... ...
2. 수능연구위원에게 듣는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연구의 계획)탐구상황:사회적 상황이 문제는 탐구의 설계를 어떻게 해야 원하는 실험
결과
를 얻을 수 있는지 묻는 문항이다.황산 때문에 물고기가 죽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ㄷ'을 수행해야 한다.온도 때문에 물고기가 죽는지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험ㄹ'을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실험ㄴ'을 ... ...
머리감을 때 발작이 올 수 있다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뻣뻣해지고 걷기가 힘들더니 다음날에는 안면 근육과 팔까지 쓸 수 없게 됐다. 진단
결과
경동맥 일부가 찢겨 두뇌로 가는 혈액이 공급되지 않았던 것이다. 6개월의 치료 끝에 거의 회복했지만 손과 팔에는 아직도 약간의 마비 증세가 남았다.이러한 위험을 피하기 위해 머리를 감겨줄 때는 목을 너무 ... ...
2. 에피소드로 본 우주시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부정맥이 발생하는 가벼운 병)을 가지고 있음이 밝혀져 우주비행이 취소됐다. 그
결과
슬레이튼은 존 글렌에 이어 미국인으로는 두번째로 지구궤도를 비행할 기회를 놓친 것이다. 슬레이튼의 병은 머큐리계획과 아폴로계획이 끝날 때까지 회복되지 않았다.그러나 그는 NASA를 떠나지 않고 우주비행사 ... ...
Ⅱ. 피라미드에 담긴 수치의 의미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사전에 알고 있던 기하학적 지식을 활용한 것인지, 아니면 우연하게 적용한
결과
인지는 아직 단정할 수 없다. 피라미드의 경사각을 예로 들어보면 그 이유를 알 수 있다. 이집트에서 건설된 거의 모든 피라미드들의 경사각은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측정된 다양한 경사각을 삼각함수로 ... ...
Ⅳ. 금도금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방법이다. 이 경우 아무래도 금박의 두께가 두껍고 균일하지도 않았다.그런데 정밀분석
결과
대피라미드 근처에서 발견된 금도금 장식물은 전기 도금을 통해서만 실현될 수 있는 얇은 두께와 광택을 지닌 것으로 판명됐다. 그렇다면 이집트 구왕국 시대에 이미 전기 도금이 이루어졌다는 말인가 ... ...
성은 왜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이론과 붉은 여왕 이론을 제시한다. 분자생물학자들은 생물의 다양성은 성의 기능이자
결과
일 따름이며 성이 시작된 이유를 설명한 것은 유전자 수복이론뿐이라고 주장한다. 유전학자들은 성교하는 동안에 유전자에서 일어나는 일을 연구하면서 오늘날 성이 이루어놓은 것은 돌연변이 이론에 의해 ... ...
이전
1315
1316
1317
1318
1319
1320
1321
1322
132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