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제공"(으)로 총 48,822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수학은 예술'이라고 말할 것 같은 친구, 허준이2022.07.05
- 말할 것 같다. 필즈상 시상식에서 수상하고 있는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동아 제공 ※필자소개 박준택 님은 허준이 교수와 중학교 때부터 친구로, 허 교수가 직접 ‘자신을 가장 잘 아는 친구’라고 소개했다.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 인터뷰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얽매이지 않고 생각해야" 수학동아 l2022.07.05
- 국제수학연맹의 도움을 받아 6월 15일 허준이 교수와 3시간 동안 화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했다.수학동아DB 한국 수학의 역사가 새로 써졌다. 허준이 고등과학원 석학교수 및 미 ... 데 집중하고 싶다는 의미다. 필즈상 시상식에서 수상하고 있는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동아 제공 ... ...
- [특별기고]우리는 제2,제3의 허준이를 만날 준비가 되어 있는가2022.07.05
- 명의 수학자가 참가해 10일 동안 학술 교류를 했다. 2014 서울 세계수학자대회 조직위원회 제공 대한수학회는 2006년 9월 12일에 한국 국가 등급의 3군 또는 4군으로의 상향을 요청하는 요청서를 IMU측에 보냈다. IMU 역사상 한 번에 두 등급이 상향된 국가가 없었기 때문에 상당한 논란거리가 되었다. ... ...
- [엄상일 교수가 설명하는 허준이 교수 업적] 난제인 조합수학을 대수기하학이란 도구로 해결한 아이디어맨2022.07.05
- 이끌고 있다. 필즈상 시상식에서 수상하고 있는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수학동아 제공 ※필자소개 엄상일 기초과학연구원(IBS) 이산수학그룹 CI · KAIST 수리과학과 교수. KAIST 수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현재 기초과학연구원과 KAIST에서 연구와 강의를 하고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한국 수학계 겹경사…단시간 최고등급 달성, IMU위원 선정·필즈상 배출까지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집행위원회 위원으로 선출된 금종해 대한수학회장. 사진 브레이크스루·고등과학원 제공 수학계의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 수상자로 한국계 미국인인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가 5일 선정됐다. 수학계의 오랜 난제였던 ‘로타 추측’의 부분 문제인 ‘리드 추측’을 해결한 공로를 ... ...
- [김영훈 교수가 설명하는 허준이 교수 업적] 허준이, 조합 대수기하학의 새 장을 열다 2022.07.05
- 김영훈 교수의 지도아래 서울대에서 대수기하학을 공부해 석사 학위를 받았다. 김영훈 제공 ※필자소개 김영훈 서울대 수리과학부교수. 1993년 서울대 수학과를 졸업하고, 2000년 미국 예일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2000년부터 2002년까지 미국 스탠퍼드대에서 연구과 강의를 했으며, 2002년부터 ... ...
- [2022 필즈상]사상 두 번째 여성 필즈상 수상자 배출…다른 세 명의 수상자들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프랑스 고등과학원 교수, 제임스 메이나드 영국 옥스퍼드대 교수. 국제수학연맹 제공 국제수학연맹(IMU)은 5일 오전 10시 20분(현지시간) 핀란드 헬싱키 알토대에서 필즈상 수상자로 2012년 수학계의 오랜 난제였던 ‘로타 추측’의 부분 문제 ‘리드 추측’를 해결한 허준이 프린스턴대 교수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 허준이 교수는 누구인가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2020년 8월 4일 이산 수학 세미나에서 발표 중인 모습이다. 기초과학연구원 이산수학그룹 제공 ○허준이(June Huh) 교수는 △1983년 미국 캘리포니아 출생 △2007년 서울대 물리천문학과 졸업 △2009년 서울대 수학과 석사 졸업 △2012년 ‘리드 추측’ 해결 △2014년 미국 미시간대학교 수학과 박사 졸업 △2 ... ...
- [한국계 첫 필즈상 수상]시와 소설 즐겨쓰던 수학자 필즈상 수상 영예 안았다동아사이언스 l2022.07.05
- 초청강연자로 초대됐을 때 고등과학원에서 인터뷰하고 있는 모습. 동아사이언스 제공 5일 수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필즈상’ 수상자로 선정된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 교수(고등과학원 교수)는 중학생 시절 소설 쓰기를 좋아하는 학생이었다. 중학교 때부터 허 교수와 막역지우로 지내온 박준택 ... ...
- 코로나 걸리면 지방으로 에너지 잘 못 만든다연합뉴스 l2022.07.05
- 적색)의 주사형 전자현미경 이미지. [미국 국립 알레르기 감염병 연구소(NIAID) 제공 바이러스가 숙주 내에서 증식하려면 계속 에너지를 구해야 한다. 코로나 팬데믹(대유행)을 일으킨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도 예외는 아니다. 그런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가 인체의 지방 처리 시스템을 ... ...
이전131113121313131413151316131713181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