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일치
격차
다름
어긋남
부적합
차등
차별
스페셜
"
차이
"(으)로 총 1,666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뱃살의 과학
2018.08.28
OECD) 평균보다 꽤 낮다. 그런데 2000년대 이후는 한국이나 미국이나 영양과잉에서 별
차이
가 없다. 그 결과 우리나라 남자 아동/청소년 비만율은 26%까지 치솟아 OECD의 평균(25.6%)을 추월하기에 이르렀다. 리버먼 교수의 이론에 따르면 ‘한국인의 다음 세대는 부모보다 더 오래 살지 못하는 첫 번째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진짜와 가짜를 구분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2018.08.11
의하면 아무 말을 구분할 줄 아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사이에는 다음과 같은
차이
가 있었다. 비교적 나이가 많고, 교육수준이 높고, 수학 계산 능력이 좋으며, 사고력이 좋고(테스트 예시: 야구공과 배트의 총 가격이 $1.10이고 배트의 가격은 공의 가격보다 $1더 비싸다. 공의 가격은?), 글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갈색지방 속 ‘숙신산’서 다이어트 효과 찾았다
2018.08.07
같은 호에 실린 해설에서 이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무엇보다도 생쥐와 사람은 덩치
차이
가 크다. 즉 몸이 작은 생쥐는 부피 대비 표면적의 비가 사람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체온을 쉽게 빼앗길 수 있고 따라서 갈색지방조직이 잘 발달해 있다. 반면 사람은 갈색지방조직이 상대적으로 적어 물 대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정자에 왜 후각수용체가 있을까?
2018.07.31
맡게 해 냄새 강도를 평가하게 했다. 그 결과 헬리오날(helional)과 PEA는 두 그룹에서
차이
가 없었지만 유독 부르지오날은 불임 남성들이 냄새를 잘 못 맡았다. 즉 OR1D2에 문제가 생겨 정자의 활동력이 떨어진 게 불임으로 이어졌다는 말이다. 후각상피에 존재하는 OR1D2는 숨을 들이쉴 때 콧구멍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왼쪽은 가공육 섭취량과 대장암 위험성 그래프로 매일 80그램 이상 먹어야 1.5배가 돼
차이
가 느껴진다. 오른쪽 심혈관질환으로 인한 사망 위험성 데이터도 비슷하다. - ‘사이언스’ 제공 예를 들어 암 위험성을 보면 가공육을 현재 유럽인 평균 수준으로 섭취할 경우 대장암 위험성이 9% 늘어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유전자는 발현량이 낮았다. 12~16단계, 즉 태반류의 등장에서 호모 사피엔스까지는 별
차이
가 없었다. 정상세포에 비해 단세포성이 커진 게 암세포라는 걸 증명하는 실험 데이터다. 사람 유전자를 진화 역사에 따라 16단계로 분류한 뒤 각각의 유전자 발현패턴을 비교해보면 암세포에서 단세포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내향적 사람도 행복할 수 있나요
2018.07.07
예컨대 티비를 보거나 책을 읽는 시간에서도 내향적인 사람들과 외향적인 사람들 간
차이
가 나타나지 않았다. 음악을 듣는 시간은 외향적인 사람들이 더 많았다. 사람들이 흔히 생각하는 내향적인 사람들 = 조용하고 혼자 하는 취미만 좋아하는 음침한 사람들이란 생각은 편견에 가깝다는 것이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아픔까지 느껴지는 의수(義手) 개발했다!
2018.06.26
손가락으로 무심코 끝이 날카로운 물건을 집었을 때 손가락을 떼는데 걸리는 시간과
차이
가 없었다. 동영상으로 이 장면을 보면 실감이 난다. 해당 동영상에서 끝이 뾰족한 물체를 집을 때 아픔을 느껴 반사적으로 얼른 놓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사이언스 로봇공학 제공 비싼 가격이 걸림돌 ... ...
남북한은 면역력도 다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6.21
우리 몸이 서로 다른 종류의 침입자를 겪으며 살고 있기 때문에 면역 체계에도
차이
가 있을 거라는 말이다. 따라서 1953년 휴전으로 분단된 이후 65년간 교류가 없던 남북 사람들이 갑자기 교류를 시작하면, 바이러스성 질환을 많이 겪어보지 않은 북한 사람들은 바이러스성 질환에 감염되기 쉽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천재에게 좋은 인간성까지 바라지는 마세요”...아인슈타인을 위한 변명
2018.06.19
오른쪽은 3만여 년 전 현생인류가 남긴 사자 그림으로 사실적 묘사의 측면에서 현격한
차이
가 난다. 기억만으로 이런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건 비범한 재능이다. - ‘사이언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림 솜씨가 꽤 좋은 사람이라도 기억만으로 이처럼 디테일이 살아 있는 사실적 묘사를 하기란 특정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