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논의"(으)로 총 1,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게시판] AI 국제컨퍼런스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20
- 연구데이터의 가치 및 공동 활용 가능성 제고를 데이터관리계획 도입 방안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한국전기연구원은 20일부터 22일까지 일본 센다이에서 ‘2018년 동아시아 전력연구기관 기술회의’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에는 공동주관 기관인 중국전력과학원(CEPRI)과 ... ...
- [과학게시판] 제13회 미래유망기술 세미나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12
- 세미나를 개최한다. KISTI가 선정한 주요 기술이 발표되고 중소기업 사업화전략도 논의되는 자리다. 이번에 선정된 10대 기술은 뇌신경지도(커넥토믹스), 뇌인지과학, 공생미생물(휴먼 마이크로바이옴), 웨어러블 모바일 헬스케어, 셀프프로그래밍 인공지능, 차세대 밀리미터퍼 무선통신, ... ...
- [과학 게시판]한약자원연구센터 문열어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07
- 15개국 과학관 전문가들이 한자리에 모여 4차 산업혁명 시대 과학관의 역할에 대해 논의한다. 두바이 미래박물관의 개념설계자인 노아 래퍼드(Noah Raford)박사가 ‘최신기술의 반영 미래과학관’을 주제로 기조 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오는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 ...
- [과학게시판] KAIST 중소기업 사업화 유망기술 설명회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06
- 넘어선 ‘핫하우스(고온실)’로 나아가고 있는 지구의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설립 25주년을 맞아 오는 8일부터 이틀간 기념식과 연구·창업 성과 전시회, 지역민과 함께 즐기는 축제 등 다양한 행사를 개최한다고 6일 밝혔다. GIST는 1993년 설립돼 ... ...
- [과학게시판] 제6기 산기협 꿈나무 장학증서 수여식 外동아사이언스 l2018.11.05
- 따른 위해성 구하는 식이다. 평가 결과 나온 위해성을 과학적으로 관리할 방법도 논의된다. ■ 서울대 공대는 2일 서울대 의대, 서울대병원과 공동으로 제6회 서울대공대의대병원 의료기기 포럼을 개최했다. 공대와 의대, 병원이 의대와 병원에서 필요한 기술에 대한 정보를 나누고 융합연구를 ... ...
- [과학게시판] 상표디자인 선진5개국 회의 外동아사이언스 l2018.10.29
- 국내 식량안보 정책 전문가들이 모여 안정적인 식량 안보 확보 방안과 연구 방향을 논의했다. 1부에서는 국내와 일본 등 국외의 식량안보 정책이 발표됐고, 2부에서는 유전자변형작물(GMO)과 유전자 가위 크리스퍼 등을 통한 식량 안보 확보 방안과 사례 등이 발표됐다 ... ...
- [우주로 가는 기업들]②신뢰성의 상징 아리안스페이스가 세대교체 감행하는 이유동아사이언스 l2018.10.27
- 아리안스페이스 부사장 등 유럽 발사체 분야의 리더들이 미래 발사체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고 있다. 이들은 공통적으로 '시장'에 맞춰 발사체 기업과 우주기구도 변해야 한다고 말했다. - 독일 브레멘=윤신영 ... ...
- [과학게시판] 미래 원자력기술 아이디어 공모전 外동아사이언스 l2018.10.22
-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스마트시티 서울'의 추진 방향과 세부 과제, 전략을 논의한다. 김묵한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임희지 서울연구원 선임연구위원, 구본권 한겨레신문 사람과디지털연구소장 등이 발표와 토론에 참여한다. ■ 서울대 공대는 BMW 그룹 코리아와 함께 3월부터 개최한 'SNU&BMW ... ...
- ‘대중화’ 갈길 먼 수소車동아사이언스 l2018.10.12
- 때 꺼내 쓰는 방법, 암모니아 등 다른 화합물과 결합시켜서 운반하는 등 새로운 방법도 논의되고 있다”며 “아직은 안전하고 싸게 운반하는 방법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한 게 현실”이라고 말했다. ‘폐기물로 물만 나오는 깨끗한 이미지’가 아직은 환상이라는 비판도 있다. 수소 반응으로 물만 ... ...
- 멸종위기종의 천국 DMZ, 생태공원으로 거듭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2018.06.22
- 때 독일 정부는 이에 대한 계획이 전혀 없었다. 하지만 한국은 정부 차원에서 이런 논의를 하고 있다. 이런 점에서 한국의 DMZ 생태공원이 독일의 그뤼네스 반트보다 훨씬 빨리 발전할 수 있을 거라 생각한다. 하지만 독일은 분단 중에 전혀 군사적 충돌이 없었던 반면, 한국은 DMZ 설정 이후에도 몇몇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