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무
부담
책무
담당
임무
가중
맡은이
뉴스
"
책임
"(으)로 총 5,327건 검색되었습니다.
학문의 대를 잇는다...'KAIST 초세대 협업연구실' 2곳 개소
동아사이언스
l
2023.01.11
연구의 독창성·차별성·탁월성, 학술·사회·경제적 효과, 초세대 연구의 필요성,
책임
교수의 학문적 우수성과 국제적 인지도, 참여교수의 비전과 연구계획 등을 따져 선정한다. 이번 선정으로 운영 중인 협업 연구실은 8개로 늘었다. ... ...
암세포와 싸우는 'NK세포' 작용 조절하는 새 면역관문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임상학적으로 예후가 나빠 환자의 생존에 위험률이 높아졌다. 연구
책임
자인 김태돈
책임
연구원은 “새롭게 밝혀진 면역관문이 NK세포의 활성 조절에 대한 이해와 항암 면역치료제 개발에 대한 신개념을 제공하고 다양한 형태의 융합기술 발전을 이끌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새롭게 ... ...
4000억 투입 혁신형 소형모듈원자로 사업단 신임 단장에 김한곤 원장
동아사이언스
l
2023.01.10
위한 과제의 총괄
책임
자를 역임했으며 국내 고유원전인 APR+시리즈의 핵심기술 개발 과제
책임
자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 특히 APR1400의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 설계인증, 유럽 사업자요건(EUR) 인증 프로젝트를 이끌어 최종 인증을 획득하는 등 성공적인 프로젝트 관리 경험을 가진 전문가로 ... ...
해양바이오 소재로 활용 가능한 와편모조류 신종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해양 생명자원에 대한 관리·활용의 중요성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신현호 KIOST
책임
연구원은 “곤얄록스 거문엔시스의 배양 가능성에 대한 평가가 완료됐고 현재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독소 생산 가능성과 유용성 평가는 이준 한국생명공학연구원 박사 연구팀과 진행 중”이라며 ... ...
아연·망간으로 수명 제약 없는 레독스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기존 바나듐 전지(1.3V)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효율도 10% 이상 향상됐다. 박
책임
연구원은 "저비용의 아연-망간 소재와 가역성을 높일 수 있는 금속 이온 촉매 기술이 결합된 신개념의 레독스흐름전지 기술"이라며 "이번 성과는 차세대 장주기 대용량 레독스흐름전지 보급 확대에 크게 ... ...
"지구인이 외계인 될 날 머지 않아...10년 뒤 우주자원 활용 현실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보낼 겁니다." 4일 대전 유성구 한국지질자원연구원(지질자원연) 본원에서 만난 김경자
책임
연구원의 포부다. 그는 지질자원연이 올해 신설한 우주자원개발센터장을 맡았다. 국내 최초 우주자원 개발 전담 연구조직인 우주자원개발센터는 달이나 화성 등 우주 현지 자원을 활용해 물, 산소, ... ...
英 버진오빗, 10일 영국 상공서 위성 첫 발사
동아사이언스
l
2023.01.08
있어 로켓의 중량을 키우기 어렵다는 한계도 있다. 일론머스크 스페이스X 최고경영
책임
자(CEO)는 공중 발사 방식에 대해 "비행기를 충분히 크게 만들 수 없어 적재 중량을 늘릴 수 없다"며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한 바 있다. ... ...
전염성 최강 변이 XBB.1.5 미국서 빠르게 확산
동아사이언스
l
2023.01.08
보인다. 중증으로 이어져 입원율과 사망률을 높인다는 보고도 아직 없다. 벤커코브 기술
책임
자는 "현재 XBB.1.5에 대한 위험 평가를 수행하고 있고 곧 발표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186년 전통 농업대기업이 위성 산업에 뛰어든 까닭
동아사이언스
l
2023.01.07
‘존디어’가 우주 위성 사업에 본격적으로 뛰어든다. 자니 힌드먼 존디어 최고기술
책임
자(CTO)는 4일 미국 CNBC와 인터뷰에서 “우주 위성 파트너와의 계약을 마무리하고 있다”며 “이번 계약이 농부들이 농작물을 모니터링하고 추적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지리 공간 지도를 만드는 데 도움이 될 ... ...
포유류 발모 관련 유전자 확인…"탈모 치료 단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6
성과가 당장 치료법에 응용되기는 어려울 것이라 내다봤다. 권병목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
연구원은 "질환과 관련한 유전자가 발견되고 이를 응용한 치료제들은 이전에도 많았지만 사람들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 실패한 사례가 많다"며 "치료법의 단서가 등장해도 실제 생활에 적용되기까지는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