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내포
후미
뉴스
"
작은 만
"(으)로 총 2,418건 검색되었습니다.
분자생물학의 선구자 시드니 브레너 박사 5일 타계
동아사이언스
l
2019.04.07
중에는 ‘타웅아기’라는 별명으로 유명한 280
만
년 전 아프리카 고인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 인류학자 레이먼드 다트도 있었다. 하지
만
브레너 박사는 세포보다
작은
생명 내부 작동에 관심을 갖고, 미국 UC버클리에서 박사후연구원을 거쳐 영국 케임브리지대 분자생물학연구소(MRC LMB)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냉매 안 쓰는 냉장고·에어컨 시대 열리나
2019.04.02
열전냉각은 비싸고 효율이 낮아 특수한 용도로
만
쓰이고 있다. 위키피디아 제공 학술지 ... 의정서에 서명한 이후 프레온 사용이 급감했지
만
이를 대체한 냉매도 여전히 문제가 많다. ... 때 나오는 양이다. 또 냉매를 쓰는 냉각기술은
작은
크기에는 적용할 수 없다. 따라서 냉매를 쓰지 않는 냉각 ... ...
칼 안대고 휜 코·각막·시력 교정 가능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4.02
대지 않고 전류
만
흘려보내는 것
만
으로도 콜라겐 조직을 변형시킬 수 있다. 사진은 ... 살아 있는 조직을 변형하는 방법을 개발했다.
작은
바늘과 전류, 3D 프린팅한 틀
만
있으면 간략한 시술이 가능하고 국소마취
만
해도 되기 때문에 치료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미국 어바인 ... ...
6600
만
년 전 그날 거대한 불덩어리가 떨어졌다…소행성 충돌 직후 분석
동아사이언스
l
2019.03.31
것. 로버트 드팔마 제공 미국 과학자들이 수천
만
년 전 대멸종의 원인이었던 소행성이 충돌한 ... 폭 12km로 거대했고 부딪칠 당시 충돌구의 크기
만
지름 약 100km, 깊이 30km에 이르렀을 것으로 ... 흘러나온 수액(호박) 등에 지름 5mm 정도로
작은
구슬 같은 돌이 박혀 있었다. 연구팀은 충돌 당시 수십억 ... ...
'야생동물 천국' 세렝게티, 인간 활동으로 몸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9
경계 바로 앞까지 이동하며 먹이를 먹었지
만
, 가축이 많은 경우에는 7km 떨어진 안쪽까지
만
먹이를 먹었다. 연구팀은 그 외에도 해당 지역의 ... 독일 호헨하임대 교수 역시 “세렝게티보다
작은
대부분의 세계 국립공원은 세렝게티 이상으로 주변의 인간 활동에 영향을 받는다”고 경고했다. 사이먼 ... ...
[강석기 과학카페] 사람도 지구자기장을 느낄 수 있을까
2019.03.26
12g에 불과한 철새 검은머리솔새가 연간 2
만
㎞를 이동한다는 사실을 밝혀졌다. 북미에서 살다 ... 날아가 지내다 이듬해 돌아온다는 것이다. 이
작은
새가 그 먼 거리를 날아갈 수 있다는 것도 놀랍지
만
어떻게 길을 알고 찾아가는지도 신기하다. 철새나 바다거북, 연어류 등 수천㎞를 이동해 정확히 ... ...
안경 없이도 스마트폰에서 홀로그램을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4
통해 빛의 세기와 진행 방향의 조절을 통해
만
들어진다. 공간광파면 조절기는 빛이 퍼져 나가는 ... 개발된 공간광파면 조절기 픽셀 수는 800
만
개로 명함 크기보다
작은
1cm 수준 크기의 3차원 홀로그램 이미지 밖에 구현하지 못한다. 컴퓨터 모니터와 같이 2차원 이미지를 표현하기엔 충분한 양이지
만
... ...
[애니멀리포트] 상어 가족은 엄마가 힘이 세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9.03.23
그러면 앞에 있던 플랑크톤과 새우,
작은
물고기가 물과 함께 들어간 뒤 ... ‘새파’라는 돌기에서 걸러지고 물
만
아가미로 빠져나옵니다. ... 고래상어의 경우 2.7로 나타나 식물
만
먹는 초식동물(2)과 동물플랑크톤을 먹는
작은
물고기(3) 사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연구팀은 포획한 ... ...
[이강운의 곤충記] 곤충의 속도 경쟁
2019.03.20
짓을 유도할 수 있다. 한 번 신경을 건드리기
만
하면 저절로 비행근육이 움직이기 시작해 ... 세상에서 가장 빠른 곤충은 1㎜ 정도로
작은
흡혈곤충인 포르시포미아(Forcipomyia·파리목 ... 움직이는 날개 짓을 볼 수는 없고 윙 소리
만
들을 수 있다. 속도
만
최고가 아니라 균형 감각도 일품이다. 뒷날개를 ... ...
포항지진은 촉발지진…진원 깊이 등 남은 쟁점들
동아사이언스
l
2019.03.20
주로 쓰이는 느린 S파보다 빠른 P파의 도착 시간
만
측정된 것이다. 지진이 너무 강했던 데다 지진계가 진앙 위치에서 가까워 지진계가 P파의
작은
진폭
만
으로도 측정 한계에 도달해버려 S파 도달을 측정하지 못했다. 본진 주변 지진계 측정자료에 따르면 P파가 가장 먼저 도달한 지진계와 가장 늦게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