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뉴스
"
불
"(으)로 총 1,442건 검색되었습니다.
佛 연구진 “투명망토로 지진파 돌려보낸다”
과학동아
l
2014.04.04
있는 새로운 길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메타물질은 흔히 ‘투명망토 기술’로
불
린다. 물체 주변을 특정 물질의 작은 원자를 촘촘하게 배열시켜 만든 물질(메타물질)로 둘러싸 빛이나 소리, 진동과 같은 ‘파동’의 흐름을 조작하는 기술이다. 메타물질을 통과하는 빛이 물체에 직접 닿지 ... ...
모유 수유, 두 돌까지 하라구요?
과학동아
l
2014.04.03
모유 수유가 산모와 아이의 건강에 좋다는 사실은 익히 알려졌다. 하지만 모유 수유를 오래 하면 아이에게 꼭 필요한 필수 영양분도 부족해지는 데다 아이 비만을 유발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에 고민하는 이들이 많다. 모유에는 영양소 중에서도 특히 지질의 양이 많아 열량이 높다. 때문에 ... ...
[채널A] 우주선 온 ‘농구공’…역대 최대 운석 발견
채널A
l
2014.03.31
[인터뷰 : 김만식/운석 최초 발견자]TV에서 보는 것처럼
불
에 탄 흔적도 보이면서 울퉁
불
퉁하고..그 당시는 운석이란 생각을 못했지만.. 진주에서 발견된 다른 세 운석과 마찬가지로 이번 운석 역시 강한 자성을 띠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표면에는 흰색 점처럼 보이는 철과 니켈 같은 광물이 ... ...
犬公, 목줄 훈련 효과 없어
과학동아
l
2014.03.30
목줄을 확 잡아채거나 큰 소리로 혼내면 간식과 칭찬을 이용해 교육할 때보다 개가 스트레스를 더 받는다. - 플리커 제공 애견을 교육하려고 사람들이 주로 쓰는 도구는 ‘목줄’이다. 애견이 사료가 아닌 것을 먹거나 신발을 물어뜯는 등 문제있는 행동을 하면 주인은 목줄을 휙 잡아채면서 ... ...
배산임수로 본 고택의 집터
동아사이언스
l
2014.03.28
막아낼 수 있어 난방에 유리하다. 이와 반대로 여름에는 북태평양기단의 영향으로
불
어오는 남동풍을 맞게 되어 별다른 냉방장치 없이 시원한 여름을 보낼 수 있다. 안채 뒷편으로 바로 노성산이 이어져 있다. 배산임수의 장점으로는 겨울에는 차가운 북풍을 막아주고 여름에는 시원한 람이 좀 더 ... ...
다문화학교로 찾아간 환경과학교실 ‘지멘스그린스쿨’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3.28
수소를 일으키는 방법으로 전기를 만들었다. 아이들은 과학키트와 연결된 스탠드에
불
이 들어오는 모습을 보고 탄성을 질렀다. 햇빛과 바람, 물, 에탄올로 전기를 어떻게 만드는지 원리를 눈앞에서 보았기 때문이었다. 이날 친환경에너지에 대해 이론 수업을 담당한 환경교육센터 김은구 교사는 ... ...
임신 스트레스가
불
임 부른다
과학동아
l
2014.03.24
의학계에서는 피임 없이 주기적인 부부관계를 가져도 1년 동안 아이가 생기지 않으면
불
임으로 진단하고 있다. 연구팀은 “아이가 빨리 생기지 않는 것에 대해 부부가 심각하게 고민하는 것 역시 스트레스로 작용해 임신 가능성을 낮출 수 있다”며 “요가나 명상 등으로 스트레스를 해소해야 ... ...
우유속 단백질로 화재 막는다
과학동아
l
2014.03.16
끼칠 가능성이 있더라도 내연성이 좋으면 쓰고 있는 상황이라는 점이다. 연구팀은
불
에 닿으면 고분자층을 형성해 열전달을 차단하는 인산염이 카제인에 많이 포함돼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카제인을 발라 코팅한 면과 폴리에스테르를 대상으로 연소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면은 15% ... ...
[기자의 눈] 논문조작, 또 줄기세포야?
과학동아
l
2014.03.12
그럼에도 줄기세포 관련 조작 사건은 다른 어떤 과학 이슈보다 대중들에게 큰 관심을
불
러 모으는 것만 같다. 이에 대해 한 전문가는 이렇게 답했다. “2005년 ‘황우석 사건’으로 인해 입은 트라우마가 치유되지 않고 있어 우리 국민들이 유독 더 줄기세포 조작 문제에 민감할 수도 있다”고 ... ...
일본판 황우석 사태?…자중지란 만능세포
동아사이언스
l
2014.03.11
의심에
불
을 붙였다. 현재는 태반 사진 외 여러 데이터와 사진에 대해서도 의혹이
불
거진 상태. 울산과학기술대 김정범 생명과학부 교수는 “STAP세포가 정말 존재했는지조차 의심스럽다”고 지적했다. 다른 줄기세포 전문가는 “2006년 신야 교수의 iPSC는 연구 재현이 어렵지 않았다”며 iPSC와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