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공동"(으)로 총 10,14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기원NOW] GIST 학부생들, 캠퍼스의 청춘과 열정 담은 '지스트의 온도' 출간 外동아사이언스 l2024.03.19
- 및 반도체공학과 교수와 양세정 연세대 정밀의학과 및 보건대학원 교수가 이끈 국내 공동연구팀이 딥러닝으로 소재의 '점 결함'을 자동으로 분석하는 공정을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19일 발표했다. 점 결함은 소재의 결정 구조에서 원자가 하나 비어있거나 더 있는 0차원 결함이다. 반도체 소자 제조 ... ...
- [과기원NOW] 포스텍·RIST 공동 연구팀, 이차전지 수명 높였다동아사이언스 l2024.03.18
- 교수, 최고권 신소재공학과 통합과정생, 정우철 포항산업과학연구원(RIST) 박사 공동 연구팀은 덜 정제된 리튬 원료를 이용해 전지 제작 공정 효율과 전지의 양극 성능을 높임과 동시에 탄소 발자국을 극적으로 낮출 수 있다는 연구결과를 18일 발표했다. 일반적으로 리튬 원료 내에 있는 불순물은 ... ...
- [사이언스게시판] ETRI, 모바일 협동로봇 'iF 디자인 어워드' 수상 外동아사이언스 l2024.03.18
- 전체 UX 설계와 개발을 담당하고 뉴로메카와 유승헌 고려대 디자인조형학부 교수팀이 공동 개발한 앱으로, 사용자 친화적이고 직관적 디자인이 호평을 받았다. ETRI가 개발한 티치펜던트를 이용하면 모바일로봇의 자율주행 목적지 및 이동경로 설정과 매니퓰레이터가 물체를 조작하기 위한 작업 ... ...
- 신변종 호흡기 바이러스 수십초만에 선별 바이오센서 개발동아사이언스 l2024.03.18
- 책임연구원과 권오석 성균관대 교수, 송현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공동연구팀이 다종의 호흡기 바이러스를 현장에서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플랫폼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신종 호흡기 감염병이 발생하면 빠르고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진단기기가 ... ...
- 암 유발 대사물질, 컴퓨터로 예측한다동아사이언스 l2024.03.18
- 대사물질-대사경로’ 조합을 완성해 컴퓨터 방법론 결과를 도출한다. 이번 논문의 공동 제1저자인 이가령 하버드대 의대 박사후연구원과 이상미 박사후연구원은 “이번에 개발된 방법론은 암 환자 코호트의 돌연변이 및 전사체 데이터를 토대로 다른 암종에도 쉽게 적용할 수 있다”며 ... ...
- 올해는 암컷, 내년엔 수컷? 동물의 '이유 있는' 성전환과학동아 l2024.03.16
- 발표됐습니다. 에리카 토드 뉴질랜드 오타고대 해부학과 연구원과 미국, 호주 등 국제 공동연구팀이 함께 진행한 연구입니다. (doi: 10.1126/sciadv.aaw7006) 암컷 블루헤드놀래기의 성전환 과정 - 블루헤드놀래기의 집단에서는 수컷이 리더를 맡는다. 대장 수컷이 사라지면 암컷들 중 가장 큰 개체가 ... ...
- 수중에서도 스스로 손상 복원하는 '전자 피부'동아사이언스 l2024.03.15
-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양대는 김도환 교수와 영우빈 KAIST 교수 공동연구팀이 수중 환경에서도 물리적 손상과 촉각을 스스로 복원하는 '자연모사형 압전 이온형 엘라스토머(탄성 플라스틱)'와 이에 기반한 전자 피부를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연구팀은 해양 무척추동물이 ... ...
- IBS, 일본 이화학연구소와 '핵물리 공동연구' 본격 추진동아사이언스 l2024.03.14
- 'RIBF' 기반 공동연구에 참여하는 방식으로 진행돼 왔다"며 "이번 방문을 계기로 라온 기반 공동연구 주제 발굴 등으로 교류가 한층 더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 ...
- "한국인 정신건강, 국가 존망 논할 정도로 심각…치료도 안받아"동아사이언스 l2024.03.14
- 간단하게 사람들의 정신건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으로 우울증 및 자살 충동이 공동체 전체적으로 61%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났다. 한국도 이런 비슷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는 얘기다. 일본 사례도 참조할 수 있을 것으로 보았다. 김 전 총재는 ”일본은 한국보다 자살률이 2배 ... ...
- [과기원NOW] GIST 연구진 "지구온난화, 대규모 대기 흐름 증폭시켜" 外동아사이언스 l2024.03.13
- 있다. GIST 제공. ■ 광주과학기술원(GIST)은 윤진호 지구‧환경공학부 교수가 주도한 국제공동연구팀이 1951~2020년 기후자료와 온실가스 및 에어로졸 강제력에 의한 기후모델 모의결과를 종합해 인간이 유발한 지구온난화가 겨울철 대기의 대규모 흐름을 증폭시킨다는 점을 확인했다고 13일 밝혔다.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