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범위
경계
테두리
한도
영역
극한
범주
d라이브러리
"
한계
"(으)로 총 2,895건 검색되었습니다.
끼고 자기만 해도 눈이 좋아진다?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근시는 대부분 안구의 길이가 급격히 길어지면서 발생하기 때문에 착용효과에
한계
가 있다.과거에 각막굴절교정술을 받았던 사람은 현재는 렌즈를 끼지 않더라도 시술을 받지 않은 사람에 비해 근시나 난시가 더디게 진행하는 경향이 있다 ... ...
세상을 바꾸는 학생 발명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당시만 해도 대규모 파일을 일일이 CD에 담아서 전하거나 e메일로 주고받았는데, 이에
한계
가 있었다. 패닝은 MP3파일을 찾기 위해 인터넷을 헤매는 친구를 위해 방법을 찾던 중 컴퓨터 간에 직접 파일을 주고받는 개인 간 파일 공유(P2P) 기술에 주목했다. 그중에서도 많은 사람이 즐기는 ... ...
아미노산 수백 가지 읽는 인공 리보솜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여 가지나 된다.그럼에도 변이 tRNA와 변형 mRNA만으로 새로운 아미노산을 도입하는 방법은
한계
가 있다. 정상 리보솜이 변이 tRNA를 인식하는 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앰버 코돈을 만났을 때 번역을 종결시키는 역할을 하는 해리인자에게 경쟁에서 밀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즉 앰버 코돈 자리에 ... ...
불가능에 도전하는 투명망토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범위나
한계
를 넘어서다’라는 뜻이다. 그러니까 메타물질은 말 그대로 자연 물질의
한계
를 넘어선 물질이나 다름없다. 실제 자연의 물질이 절대 해내지 못하는 수준까지 빛을 심하게 꺾을 수 있다. 빛을 물질 주위로 에돌아가게 해서 투명망토 옷감으로 손색이 없는 수준까지 가능할 정도라고 ... ...
발명자도 놀랄 21세기 생활 속 레이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동안 이 실험은 뇌운의 정전기를 방전시킬 만큼 강력한 레이저를 만들어낼 수 없다는
한계
때문에 진전이 없었다.그런데 2008년 4월 유럽 과학자들이 매우 강하고 짧은 펄스의 레이저 사용해 뇌운 속에 전기 활동을 일으키는 데 성공했다. 비록 펄스 레이저가 만든 플라스마 통로가 너무 짧아 ... ...
동북아 철새의 쉼터 홍도, 흑산도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쪽으로도 이동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은 처음이다. 하지만 GPS를 이용한 연구 역시
한계
는 있다. 위치추적을 할 때마다 줄어드는 배터리 수명 때문에 연구할 수 있는 기간이 1년을 넘기기 힘들다. GPS단말기를 묶었던 끈이 중간에 풀리거나 천적에게 잡아먹혀 사라지는 경우도 허다하다.홍도와 ... ...
석유 대체할 궁극의 에너지는 무엇일까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높다. 다만 설치 공간이 많이 필요하고 발전 지역이 일조량이 아주 높아야 한다는 점은
한계
로 지적된다.지열발전소는 지하 시추 기술이 발전할 경우 강력한 후보로 거론된다. 하지만 건설 과정에서 온실가스 발생량이 많고, 지하에서 끌어올린 물에 오염물질이 녹아 있을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셈이다.그런데 우리나라 과학자들이 전달매개체를 이용한 미생물연료전지의 근본적
한계
를 극복하는 데 성공했다. 1990년대 중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김병홍 박사팀은 철이나 망간 같은 금속의 산화물을 환원시키면서 생장할 수 있는 금속염환원세균을 미생물연료전지의 바이오촉매로 ... ...
특명 미래 레이저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과정에서 광학 장비들이 견디지 못하고 깨져버렸기 때문이다.이때 광학 장비의 기술적인
한계
를 일거에 극복한 아이디어가 CPA 방법이다. 무루 박사는 펄스를 최대출력을 낮춰(펄스폭을 늘려) 증폭시킨 다음, 발진시키기 직전에 증폭시킨 빛의 최대출력을 다시 높이는(펄스폭을 좁히는) 방법을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상당수가 한글(훈민정음) 대신 한문으로 적힌 탓에 생화학자인 그가 문헌을 해석하는 데
한계
가 있었다. 또 옛 문헌들이 여기저기 흩어진 채 보관된 것도 문제였다. 그러나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계기가 생겼다. 1998년 옛 문헌 데이터베이스화 작업이 이뤄지면서 아주 오래된 자료도 쉽게 검색할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