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편"(으)로 총 4,0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인류의 얼굴은 왜 점점 작아졌을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눈두덩이 굵고 튀어나왔으며, 턱은 뾰족하 지 않고 밋밋하다. 하지만 대신 눈이 큰 편이다. 종합하면, 생김새 자체는현생인류와 상당히 닮았다. 코뼈는 발굴 당시 깨져서 없어졌기 때문에 코가 어떻게 생겼는지는 알 수 없다. 전세계로 퍼져나간 인류는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다른 얼굴 모습을 보인 다.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월드컵 맞이 송종국FC 건강한 축구교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흐르는 속도가 달라지는데, 공이 돌아가는 방향에서 흐르는 공기는 빨라지지만 반대편 공기는 느려지지요. 공은 공기가 빨리 흐르는 쪽으로 휘면서 날아간답니다. 공기가 느리게 흐르는 쪽보다 압력이 낮아 힘이 이동하기 때문이에요.자아, 간다~. 으랏찻차!와아, 골인~! 드디어 골이 들어갔어!얏호! ... ...
- [특별인터뷰 1] “수학 배워서 뭐 하냐고 묻는 친구들에게 수학동아 소개해 줄래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열혈독자인 영남이는 수학을 어떻게 생각하고 있을까?“저는 수학공부를 많이 하는 편은 아니에요. 그런데 주변에서는 저를 수학을 아주 잘하는 학생으로 알고 있어요. 수학동아에서 꾸준히 접해 온 수학 개념과 상식들 덕분에 수학공부를 즐겁게 할 수 있는 것 같아요.”스스로 수학을 ... ...
- [체험] 서울대 컴퓨터공학과 운동연구실 생명체의 움직임을 재현한다!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수술을 시뮬레이션해서, 수술 후 경과를 미리 알아보는 데 활용하기 위해서다.한편 애니메이션 주인공들과 휴머노이드 로봇들도 생체운동 분석 연구 덕분에 더욱 발전하고 있다. 모션캡처를 좀 더 보완해서 사람의 표정이나 눈동자, 모공 등 사람의 섬세한 움직임까지 가상 캐릭터에 표현하는 ... ...
- 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중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말에 참석자들이 술렁거렸다. 그도 그럴 것이 우리나라는 생물자원이 가난한 편이다. 산업에서 중요한 식물만 봐도 우리가 가진 자원은 약 5000종으로, 브라질(5만6000종)이나 콜롬비아(5만1000종), 중국(3만5000종) 같은 자원부국에 비해 훨씬 적다. 하지만 나고야 의정서는 그 자체로는 옳은 방향이다. 200 ... ...
- PART 2. 광대뼈가 높을수록 진실한 사람이라고?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한다). fMRI를 이용 해 관련된 뇌 부위도 찾았는데, 사회적, 감정적 행동과 연관이 많은 편도체였다. ‘믿음직하게 생겼다’는 말이 신 경과학적으로도 의미가 있었던 것이다.여기까지만 보면 얼굴은 더없이 정직하게 감정과 의도 를 표출하고, 뇌는 정확하게 그 의도와 뜻을 읽어내는 것 같다. 세상이 ... ...
- 2014 가을 달이 빛나는 밤에수학동아 l2014년 09호
- 이번 토성 엄폐처럼 달에 의한 행성의 엄폐는 행성 간 엄폐에 비해서는 자주 일어나는 편이다. 달은 지구와 비교적 가까운 거리에서 지구를 공전하고 있기 때문에, 달과 행성이 일렬로 늘어서면 가까이 있는 달이 멀리 있는 행성의 앞을 지나가며 가릴 수밖에 없다.이번 토성 엄폐 현상은 9월 28일 낮 1 ... ...
- [시사] 역사를 바꾼 가장 위대한 전쟁 명량수학동아 l2014년 09호
- 거세 균형 잡기도 쉽지 않은 상태에서 이리저리 움직이는 조선군함을 따라가다가 자기편끼리 부딪히고 말았다. 조선군은 이를 기회로 삼아 일본군을 향해 화포로 무차별 공격을 했고 결국 승리했다. 이순신 장군이 쓴 날개 접은 학익진이 가능했던 이유에는 수학이 있다. 원래 화포를 쏘기 위해서는 ... ...
- ‘답정너’ 위로하는 방법 있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개인적인 경험으로도 정말 힘들어서 자존감이 바닥일 때는 괜찮다는 이야기를 듣는 게 불편했던 기억이 난다. ‘내 상황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걸까? 그냥 예의상 가볍게 응대하는 거 아닐까?’라며 되려 우울해졌던 기억이 있다. 심지어는 감정이 더 극단적으로 치달아 ‘이렇게 힘들어하는 내가 ...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과학동아 l2014년 09호
- 작다)의 화석을 함께 발굴하며 그의 발굴용 망치를 빌려 썼다. 그런데 망치가 무디고 불편했다. 알고 보니 대학 1학년 때 산 망치를 24년째 쓰고 있었다. 24년 동안 남들이 가지 않은 외길을 간 뚝심이 망치에서 묻어났다.고생물학자에게 뚝심과 끈기는 기본 덕목일 것이다. 9000만 년을 한결같이 유지해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