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특이"(으)로 총 2,099건 검색되었습니다.
- 동굴 탐험가 어둥굴차스키의 실종어린이과학동아 l2005년 04호
- 중국 계림의 관암동굴 부근에 새로운 동굴을 발견하러 들어갔다가 실종되었다는 것. 특이한 것은 그 동굴은 이미 중국 고대인들이 발견한 동굴로, 동굴 안에는 여러 가지 시설이 되어 있다는 것이다. 실종된 어둥굴차자스키의 행방은 과연 어떻게 된 것일까? 국제동굴협회는 실종자를 찾기 위해 ... ...
- 인간 X염색체 해독과학동아 l2005년 04호
- 완전 해독됐다. 미국 영국 독일 공동연구팀은 ‘네이처’ 3월 17일자를 통해 ‘가장 특이한 유전자들의 집합체’로 불려온 X염색체가 1098개의 유전자로 이뤄졌음을 밝혀냈다.연구팀을 이끈 영국의 웰컴 트러스트 생어연구소의 마크 로스 박사는 “X염색체의 유전자는 인간 게놈의 4%에 불과하지만 ... ...
-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과학동아 l2005년 04호
- 때문에 사계절 기온변화가 매우 극심하다. 따라서 서식하는 식물들이 매우 다양하고 특이하다. 특히 4000종 가량의 식물 중 약 10%는 한국에만 자생하는 특산식물인데, 이는 좁은 면적에 비해서는 상당히 많은 수라고 할 수 있다.지금 세계는 새로운 식물자원을 확보하고 그 공급권을 독점하기 위한 ... ...
- 여자는 쓴맛 남자는 단맛에 민감과학동아 l2005년 04호
- 세곳에서 염기의 종류가 바뀔 수 있는데 그 결과 다섯가지의 수용체 분자가 만들어진다. 특이하게도 아프리카를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에서 쓴맛에 가장 민감한 PAV 타입과 가장 둔감한 AVI 타입만 존재한다. 아시아인의 경우 PAV 유전자가 58%, AVI 유전자가 42%다. 김 교수는 “AVI 타입인 사람은 쓴맛에 ... ...
- 우주는 여전히 출산 중과학동아 l2005년 03호
- 특성을 알려줄 자료를 쏟아내고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퀘이사나 활동성 은하와 같은 특이한 은하들이 제외됐고, 최종적으로 74개의 은하가 선택됐다. 이들 가운데 실제로 나이가 어린 은하들을 찾아내기 위해서는 슬로언 관측에서 얻은 중(重)원소의 함량을 비교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했다.앞에서 ... ...
- 신이 내린 선물 곰팡이과학동아 l2005년 03호
- (Fusarium) 과 스멋(Smut) 곰팡이 포자로 만든 음식이다.인간이 지혜가 늘면서 곰팡이에서 특이한 물질을 찾기 시작했다. 이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역시 페니실린 항생제다. 현대사에서 가장 위대한 약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소중한 페니실린은 1929년에 영국 과학자 알렉산더 플레밍이 처음 ... ...
- 1. 진화 고속으로 일어난다과학동아 l2005년 02호
- 극명하게 보여주는 대표적인 사례다. 핀치는 씨앗, 곤충, 과일, 나뭇잎 등을 먹는데, 특이하게도 먹이에 따라 부리의 높이나 폭, 모양이 제각각이다. 씨앗 중에도 크고 단단한 것을 먹는 핀치의 부리는 튼튼하고 뭉툭하며, 작고 연한 씨앗을 먹는 핀치의 부리는 작고 예리하다.1930년대에 갈라파고스를 ... ...
- 줄기세포 치료의 열쇠는 분화 기술과학동아 l2005년 02호
- 없다.조직특이줄기세포 : 조직특이줄기세포가 조혈줄기세포와 함께 있다는 가설. 조직특이줄기세포는 필요에 따라 정해진 장기로 이동해 성숙세포가 될 수 있지만, 다른 장기로는 분화되지 않는다. 골수의 일부 줄기세포가 심장이나 뇌에만 있는 유전자를 이미 발현하고 있다고 보고됐다. 하지만 ... ...
- 우리은하의 비밀 간직한 막대나선은하과학동아 l2005년 02호
- 성간구름이 많지 않기 때문이다. 대신 주로 불그스레한 늙은 별들이 많고 먼지 띠가 특이한 구조를 이루고 있다.마티니 은하의 ‘바’에서 나선형으로 뻗어나간 팔에는 성간구름이 많이 분포한다. 성간구름에는 알코올도 많겠지만 금방 탄생한 별이 많다. 실제 나선 팔 곳곳에 보이는 파란빛은 젊은 ... ...
- 2. 빛보다 빠른 것은 없을까?과학동아 l2005년 01호
- 이것을 에테르라고 생각했다. 물론 에테르는 만질 수도 없고 냄새도 없는 아주 특이한 물질이라고 가정했다.마이켈슨과 몰리는 바로 이 에테르의 존재를 확인하려고 했다. 하지만 에테르의 존재를 확인하는 대신 그들이 얻은 결론은 빛의 속도가 관측자에 관계없이 일정하다는 것이었다.내 시간과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