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책"(으)로 총 3,538건 검색되었습니다.
- 공부의 적❷ 스마트폰 공부를 잘하려면 스마트폰을 버려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밤에는 다시 쌩쌩해져 스마트폰을 하며 잠을 못자는 악순환을 만들거든.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2013년 조사에 따르면 초등학생 10명 중 3명은 잠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어.스마트폰에 왜 중독되는 걸까?스마트폰이 공부만 방해하는 게 아니라 친구들을 중독시키고 있어서 더 큰 문제야. 지난해 1 ... ...
- 팔방미인 삼각비 삼총사, sin, cos, tan!수학동아 l2014년 06호
- 같은 삼각비 용어는 물론 사인함수 공식을 소개했다. sin, cos, tan의 탄생알 바타니는 그의 책에서 사인을 ‘jiba’라고 불렀다. 사실 jiba는 별 뜻이 없는 아랍어였지만, 이것이 라틴어로 번역되는 과정에서 잘못 번역돼 ‘길의 커브나 옷의 주름, 꼬불꼬불한 길’ 등 다양한 의미를 갖는 라틴어 ... ...
- 6회 캠퍼스에서 수지의 흔적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빌린 책도 모두 쇼팽과 관련된 책인 걸 보면 말이에요.”박 형사가 수지가 빌린 책을 보며 말했다. 바로 그때, 박 형사의 말을 들은 왕 반장은 뭔가가 떠올랐다.“쇼팽! 맞아. 수지가 유독 쇼팽을 좋아했었어. 그러고 보니 C1849가 뭔지도 알 것 같군. C는 쇼팽의 이니셜 첫 글자이고, 1849는 바로 쇼팽이 ... ...
- 미술 작품이 된 수학 공식수학동아 l2014년 06호
- , , . 책에서만 보던 수학 공식과 기호들을 미술관에서도 만날 수 있다. 바로 세계적인 조각가이자 개념미술가로 알려진 베르나르 브네의 작품들이다. 개념미술이란, 완성된 작품 자체보다는 작품을 제작 ...
- [시사] 김민형 옥스퍼드대 교수의수학 산책 마이클 아티야의 수학 세계수학동아 l2014년 06호
- 독일의 수학자 히르쩨부르크가 ‘수학에서 가장 깊이 있고 어려운 정리’라고 어느 책에서 언급한 것을 읽은 기억도 난다.많은 젊은 수학자들이 그렇듯이 나 역시 그렇게 어려운 정리라면 이해해 봐야겠다는 도전정신을 다분히 갖게 되었다. 그런데 지표정리는 증명까지 가기도 전에 정확히 ... ...
- 말레피센트 사악한 요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4년 06호
- ‘avversiera’라는 단어도 줄여서 ‘vertere’라고 한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콜슨이 번역한 책을 본 영국의 수학자들은 아녜시의 직업이 마녀기 때문에 그녀의 연구에 이 같은 이름이 붙었다고 오해했다. 그녀가 마녀라는 소문은 영국을 넘어 유럽 전체로 퍼져나갔고, 결국 프랑스 학술원의 학자들은 ... ...
- [과학출판사를 만나다 1] 사이언스북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일생동안 가장 재밌게 읽은 과학책을 꼽으라면 수많은 책이 머릿속에 떠오르고 그 중 무엇을 말해야 할지 혼란에 빠진다. 그러나 가장 유명한 과학책을 말해달라고 하면 단번에 ... 대표작인 ‘오래된 연장통’의 저자 전중환 경희대 교수를 초청해 독자와 책에 대해 이야기할 예정이다 ... ...
- [knowledge] 유전자에도 피부색이 있는가 ‘인종의학’ 논란과학동아 l2014년 05호
- 개념에 의문을 제기하고 허구성을 폭로하는 데 앞장서 왔다. 블리스 교수도 “내가 쓴 책 ‘해독된 인종’도 그 전통을 이어가는 과학자들의 이야기”라고 말했다. 과학계가 안팎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과학 발전이 견제와 자성과 함께 이뤄지기를 기대해 본다 ... ...
- 공부의 적➊ 학습장애 공부 못 하는 천재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05호
- 어미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 철자법을 자주 틀리고 글을 짓는 능력이 부족하다.• 책 읽기를 싫어한다.12세~성인• 느리고 힘겹게 읽는다.• 소리 내서 읽어야만 이해할 수 있다.• 자세하게 읽기보다는 대충 읽는 경향이 있다.• 평소 실력과 시험 실력에 차이가 있다.• 설명문의 이해력이나 ... ...
- 세계 최대 사장교 러스키교에서 ∠, △, ⊥를 만나다!수학동아 l2014년 05호
- 헤리곤은 ∠abc, △abc와 같이 소문자를 사용했다. 한편, 헤리곤은 1634년 〈수학 강좌〉책에서 두 직선이 서로 수직임을 나타내는 기호 ⊥를 처음으로 사용하기도 했다.이렇듯 각도, 삼각형, 수직을 표기하기 위해 여러 수학자들이 기호를 만들었지만, 현재 살아남은 건 헤리곤의 기호다. 그는 ∠, △,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