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주로"(으)로 총 5,59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생명을 지키는 착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8호
- 그래서 백신 전문 운송 차량으로 운반하지만, 도로 사정이 안 좋은 개발도상국에서는 주로 오토바이를 이용해요. 그러다 보니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어려워 백신이 변질되기 쉽지요.안성훈 교수팀은 오토바이의 발전기와 배터리에 연결해 쓸 수 있는 백신 냉장고를 개발했어요. 백신 냉장고에는 ... ...
- [Issue] ‘알쓸신잡’ 자외선차단제 고르는 법3과학동아 l2017년 08호
- 힌트는 *PA등급과 *SPF지수입니다. 각각 자외선 A, B와 관련 있는 지표지요. 만약 실내에서 주로 생활한다면 SPF지수가 15, PA등급이 +이상이면 충분합니다. 창문을 통해 자외선B, 자외선C가 대부분 걸러지고, 형광등에서 나오는 자외선도 형광등 안쪽에 코팅된 이산화티탄 성분이 산란시키기 때문입니다. ... ...
- Part 1. DNA는 의외로 수다스럽다과학동아 l2017년 08호
- 연구 취지를 밝혔다.범죄 현장에는 범인의 손에 묻은 DNA가 남는다. 손에서 나온 DNA는 주로 입이나 코와 같이 DNA가 많은 부분에서 유래한 것으로, 피부의 피지 샘이나 땀에 포함된 핵산 물질은 DNA를 옮겨주는 유용한 매개체다. 이렇게 묻은 DNA는 생각보다 쉽게 지워지지 않는다. 심지어 옷을 빨아도 ... ...
- [과학뉴스] 형광을 내는 개구리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청개구리(Hypsiboas punctatus)’예요. 이 개구리의 크기는 3cm이고, 새벽이나 밤에 주로 활동해요.자연광에서 물방울무늬 청개구리는 초록과 노란색, 갈색이 뒤섞인 색이에요. 그런데 연구팀은 자외선 손전등을 비추자, 개구리의 몸 색깔이 청색과 초록의 형광을 띠는 것을 발견했어요. 바다에 사는 ... ...
- 세계 보건 위한 백신을 개발하고 보급하는 국제백신연구소(IVI)과학동아 l2017년 07호
- 발생한 발열질환의 주요 원인이며, 인구밀도에 상관없이 어느 지역에서나 아동들이 주로 감염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이 연구를 주도한 국제백신연구소(International Vaccine Institute, 이하 IVI) 연구팀은 의학저널 ‘랜싯글로벌헬스’ 3월호에서 “아프리카 사하라사막 이남의 일부 지역에서는 ... ...
- Part 2. 백신은 정말 옳다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경제성이다. 결핵, 말라리아, 에볼라 같은 백신이 절실히 요구되는 전염병 대부분은 주로 빈곤한 국가에서 문제가 된다. 선진국에 기반을 가진 거대 제약회사들이 회사의 이익만을 고려하면 이러한 질병들에 대한 백신 개발의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 예를 들어, 최근 에볼라가 전 세계적으로 ... ...
- [Future] 건강한 전통? 생존의 문화? 흙 먹는 ‘토식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07호
- 검은 점토 등 매우 다양한 흙을 섭취하고 있었다. 로보 아굴루는 건물과 그릇에 주로 쓰는, 강둑과 습지에서 나온 점토가 주성분이다. 큰 알갱이가 없고 질감이 부드러우며 시고 쓴 맛이 난다. 도시 외곽에서 찾을 수 있는 붉은개미와 흰개미의 집도 많이 먹는 것으로 확인됐다. 건조하고 부드러우며 ... ...
- [Career] 에너지를 생산하는 ‘밥솥’을 만든다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인공지능, 빅데이터 기술도 두루 익혀야 한다.화학공정 최적화해 비용 절감이 교수가 주로 만드는 제품은 에너지다. 인터뷰를 앞두고 찾아본 이 교수의 연구 목록만 보고 사실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인줄 알았다.미세조류를 활용한 바이오에너지 화학공정, 자동차 배기가스를 줄이기 위한 ... ...
- [공룡은 왜?] 사체에서 물고기까지! 육식공룡의 먹잇감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7호
- 사냥을 했을 것이라는 분석이 많아요. 당시 함께 살았던 뿔공룡인 트리케라톱스를 주로 잡아먹었을 거예요. 하지만 달리기 속도가 매우 느린 티라노사우루스가 캥거루쥐처럼 작고 날렵한 포유류를 사냥하기는 어려웠어요. 앞발이 퇴화해서 매우 작기 때문에 벨로키랍토르처럼 사냥감을 발로 ... ...
- [Origin] 그날 에드워드 뭉크는 무엇을 봤을까과학동아 l2017년 07호
- 5℃가 추가로 떨어질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진주구름은 북극과 남극 주위에서 주로 만들어지고, 드물게는 알프스 산맥과 히말라야 산맥의 남쪽에 나타나는 것이죠.진주구름은 1870년 스웨덴에서 처음 관측됐습니다. 노르웨이에서는 크리스티아니아 천문대에서 1871년부터 1880년대까지 자주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