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싶은 문제’라는 게시판을 알게됐죠. 문제를 직접 내고 친구들의 풀이를 볼 수 있다는
점
이 재미있어서 활동하다 보니 벌써 2년 넘게 활동하게 됐습니다. Q 문제를 푸는 것과 내는 것 중 어떤 것을 더 좋아하나요?문제 내는 것을 더 좋아해요. 생활 속에서 문제에 대한 아이디어를 많이 얻죠. 이번에 ... ...
[SF 소설] 생명의 노래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희미하게 스며들어오는 햇빛이 눈꺼풀을 간질이자 이새는 눈을 떴다. 잽싸게 이불을 젖히고 일어나 창가로 다가갔다. 커튼을 열자 영상으로만 봤던 풍경이 펼쳐졌다. “후 ... 이새는 시계를 확인하고 신호탄을 공중으로 쏘았다. 얼마 뒤 이새를 찾는 목소리가
점점
가까이 다가왔다. ... ...
코로나19 백신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백신 부작용 사례도 계속 나오고 있지. 백신에 대한 논란이 현재진행형인 만큼 궁금한
점
도 많을 거야. 백신에 대한 궁금증, 여기서 해결해줄게. Q. 백신의 효능은 어떤 의미인가요?백신 효능은 개인이 코로나19에 걸리지 않을 확률이 아니에요. 백신을 주사하지 않았을 때와 비교해 감염자를 얼마나 ... ...
[수학자의 일기] 고트프리트 라이프니츠의 일기 (1646~1716)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지
점
의 거리를 0과 같을 정도로 아주 미세하게 좁혀나갔다. 그랬더니 그래프와 거의 한
점
에서 만나는 직선이 생겼는 데, 이 직선의 기울어진 정도(기울기)가 구하고 싶었던 값이었다.나는 이와 같은 계산 방법이 ‘적분’과 정반대의 관계에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이름하여 ‘미분’. 적분은 곡선의 ... ...
[똥손 박기자의 수학체험실] 정사면체 비누막이 방울방울~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정다면체 중에서 정사면체가 무게중심이 가장 낮아 안전하거든요. 정사면체에선 페르마
점
과 무게중심이 일치해요. 그럼 이제 직접 정사면체를 만들어 볼까요 ... ...
[JOB터뷰] 인공지능 만화가를 탄생시킨 개발자, 이동익 연구원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Q 지금 회사에서도 비슷한 연구를 하시나요? 적대적 신경망 기술을 이용한다는
점
에선 비슷해요. 옛날에는 공장에서 불량품이 나오면 사람이 직접 걸러냈잖아요. 그걸 인공지능으로 자동화시키고 있어요. 그러려면 인공지능에 불량품 이미지를 학습시켜야 하는데, 정상품에 비해 불량품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상의하고 도면을 들여다봤죠. 사진에 담긴 관
점
이 곧 후손이 이 유물을 바라보는 관
점
이라는 생각을 하면 늘 공부할 수밖에 없어요.” 사진 기증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한국에 남겨진 유물 대부분은 박물관 수장고에 잠들어 있다. 큐레이터에게 선택돼 전시되지 않으면 일반인들은 이 유물을 볼 ... ...
작은 인류의 미스터리, 쌓여가는 인류의 다양성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호모 날레디의 가장 큰 의문은 이들이 발견된 흔적이 인위적인 매장의 흔적인가 하는
점
이다. 이런 문화를 설명하기 위해서는 적당한 크기의 두뇌가 동반돼야 한다. 매장 행위는 오랫동안 호모 사피엔스만의 독특한 행위로 여겨져 왔다. 현생인류와 가장 가까운 친척 중 하나인 네안데르탈인이 ... ...
[매스미디어] 샤이니의 숨은 노래로 본 슈퍼문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초
점
까지의 거리가 멀수록 이심률의 값은 커지고 타원은 더 찌그러진다. 중심에서 초
점
까지의 거리가 장반경보다 클 수 없으므로 이심률의 범위는 0≦e ...
[기획] 2021년 아벨상 수상자의 공통
점
은 아들?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지
점
으로도 갈 수 있지요. 그럼 2차원 이상에서의 격자라면 어떨까요? 한
점
에서 다른
점
으로 가는 경로의 가짓수가 더 많아져 효율적인 경로를 찾기 어려워지죠. 로바스 교수는 이처럼 복잡한 격자 문제 중 하나의 답을 얻을 수 있는 LLL 알고리듬을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이를 이용해 전달하려는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