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료"(으)로 총 4,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News & Issue] 떠다니는 해양과학연구소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6년 11호
- 6000m까지 내린 뒤 서서히 올리면서 해수를 채취하는 데 성공했다. 박건태 KIOST 해양관측자료실 책임기술원은 “검증시험에서 파악한 문제점들을 바탕으로 장비를 수리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장비의 정확도를 높이기 위해 취항 이후에도 실제 탐사를 하면서 장비 세팅을 계속 해나갈 ... ...
- Part 1. 세계는 지금 초고속열차 경쟁 중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속속 등장하고 있답니다.[▼확대]열차는 가장 친환경적인 교통수단!2014년 유럽환경청의 자료에 따르면 승객 한 사람이 1km를 이동할 때 가장 이산화탄소를 적게 배출하는 교통수단은 바로 열차예요. 버스 68g, 자동차 104g, 비행기 285g에 비해 기차는 겨우 14g의 이산화탄소를 배출한답니다.게다가 ... ...
- [과학뉴스] 할아버지 숲이 지구를 구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1년 반 정도 시간이 지나자 약 740만 개의 기온 변화 자료가 쌓였지요.연구팀이 기온 변화 자료를 분석해 숲의 지형과 함께 비교하자, 오래된 숲의 기온이 나중에 생긴 숲에 비해 2.5℃ 정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어요. 오래된 숲의 큰 나무들이 태양열을 더 잘 막기 때문이지요. 숲에 사는 동물들에게 ... ...
- INTRO. 수학자가 사는 법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연구원), 장승웅(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연구원), 김연응(국가수리과학연구소 연구원)참고 자료 및 논문 : , , , , ‘TED 강연 마이클 닐슨의 개방형 과학’, ‘Density Hales-Jewett and Moser numbers’, ‘Prime Nu ...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 2수학동아 l2016년 10호
- 통계 주제와 모둠원 각자가 맡을 역할을 정한다. 두 번째 수업에서는 미리 조사한 자료를 바탕으로 반으로 자른 전지나 PPT에 통계 포스터를 만든다. 남은 두 수업에서는 모둠별로 통계 포스터를 발표한다. 모둠장이 프로젝트 평가서를 작성한다.학생이 수업 이끄는 비결?많은 학생이 어려워하는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역을 대표하지 못해서라는 응답이 2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산 봉우리의 관측 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표성은 갖추고 있지만, 종의 구분이 없는 것이 문제다. 단풍나무나 은행나무조차 분류하지 않고 관측한다. 미국이나 유럽의 경우, 나무 종별로 군락을 이루게 한 뒤 군락 전체의 단풍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전공 E 교수는 “매년 연구 진행 상황을 보고하는 것 외에도 정부 부처나 국회에서 자료를 요구하는 경우가 너무 많아 연구에 집중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우여곡절 끝에 드디어 5년 동안의 연구를 마쳤다. 학생들과 노력한 끝에 세계 최고는 아니지만 만족스런 성과를 얻었다. 그런데 정부에서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받았다. 집행관이 수거한 반대의견자들은 절대영도 상태로 수감되었고, 그들의 행위는 자료의 일부가 되었다. 전자기 육체에 머무는 외계인들은 규칙을 어겼던 단 한 번의 예외를 철저하게 기록하고 보관했다. 그리고 다음 목적지를 향해 새로운 웜홀을 열고는 태양계에서 사라졌다 ... ...
- [News & Issue] 최후의 날, 공룡에겐 무슨 일이 있었을까과학동아 l2016년 10호
- 2억30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전까지 약 1억7000만 년을 주름잡던 공룡이 한 순간에 사라졌다(일부 살아남은 게 지금의 새다). 이 사건은 많은 사람들의 궁금증을 자아냈지만, 정확한 원인은 아직 아무도 모른다. 과연 6600만 년 전, 공룡에게는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가장 널리 알려진 공룡 멸종 가설은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생태계의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또 하나의 지표는 ‘네트워크’다. 네트워크가 풍부할수록 생태계는 건강하다. 또 개체가 네트워크 안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따라 그 개체의 중요성을 가늠할 수 있다.과학 생태계에서 핵심 인물이라 할 수 있는 노벨상 수상자들은 어떤 연구자 네트워크를 이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