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금성에서 생명체 흔적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저자로 유명한 칼 세이건은 1960년대 금성 구름에 생명체가 있을 거라는 가설을 제안했고, 이후 여러 후속 가설 연구가 지속돼 왔지요. 독일의 베를린공과대학교 천문학센터에서 금성 대기를 연구하고 있는 이연주 EU연구원은 “아주 오래 전 금성에 바다가 있었을 것이라는 이론이 거의 정설로 ... ...
- [이달의 과학사] 인류를 위해 큰 유산을 남기다, 다이너마이트의 발명가 노벨 탄생!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소송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종하는 동시에 노벨의 친척들을 설득해 불만을 가라앉혔어요. 이후 노벨 재단을 만들어 노벨상 수여 작업을 추진했어요.결국, 첫 번째 노벨상은 1901년 12월 10일, 노벨이 세상을 떠나고 5년이 지나서야 수여될 수 있었어요. X선을 발견한 독일의 물리학자 빌헬름 콘라트 ... ...
- [쇼킹사이언스] 상어의 이빨과 피부가 없어졌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20호
- 해역에서 트롤*을 이용해 낚시를 하던 어부들에게 우연히 잡히며 발견됐어요. 이후 이탈리아 칼리아리대학교 생명환경과학과 안토넬로 물라스 박사팀에 전달되어 연구되었지요.연구진이 관찰한 결과, 이번에 발견된 검은입두툽상어는 피부에서 가장 바깥층인 표피층과 그 아래에 있어야 할 진피층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나열한 것을 말해요. 그중 ‘피보나치 수열’은 첫 번째와 두 번째 수가 1로 시작하고 이후엔 앞선 두 수를 더한 값이에요. 1, 1, 2, 3, 5, 8, 13, 21, 34, 55…로 이어지지요. 이번 시간엔 피보나치 수열을 그리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봐요 ... ...
- [헬라세포] 위대한 유산을 남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일구어낸 업적을 살펴볼까요? 소아마비부터 에이즈까지, 사람을 구하다!1951년 이후 헬라세포는 생물학의 전 분야에서 사용되었어요. 그중 하나는 암 연구예요. 1984년, 바이러스 연구자인 독일의 하랄트 추어 하우젠은 헬라세포에서 ‘인유두종 바이러스 18’의 흔적을 찾았어요. 헨리에타 랙스를 ...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쉿! 보물 숨길 곳이 필요해? 다이얼 금고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자물쇠는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는 가장 오래된 유물로 잘 알려져 있어요. 잠금장치는 이후에도 꾸준히 사용돼 구리에 니켈 등을 섞은 백동 등 다양한 소재의 자물쇠 유물이 발견됐지요.현대에 들면서 과학기술이 발전해 잠금장치의 형태도 점차 진화하고 있어요. 이제는 우리의 몸이 자물쇠를 풀 ... ...
- [헬라세포] 100년 만에 보상받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9호
- 그는 서른 살 무렵 존스홉킨스 병원에서 자궁경부암에 걸렸다는 진단을 받았어요. 이후 암이 온몸으로 번지면서 1951년 10월, 젊은 나이인 31살에 세상을 떠났죠.헬라세포의 이야기는 여기서부터 시작돼요. 헨리에타 랙스를 치료하던 의료진은 그의 암세포 조직을 떼어내어 병원의 세포생물학 ... ...
- [보존과학] 영상에 새 생명을!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문제가 있는 장면 앞, 뒤 프레임에서 문제 없는 부분의 픽셀을 복사해서 덮어줘요. 이후 주변과 색깔, 위치를 미세하게 맞추는 작업을 하면 감쪽같이 먼지가 사라진답니다. ● 인터뷰 "고전 영화가 기억 속에서 사라지지 않도록 발굴하고 복원해요!"_김기호(한국영상자료원 영상복원팀장) Q. ... ...
- [한장의 과학] 바닷속에 아파트가 있다?! 산호의 러브하우스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미로처럼 구불구불한선을 출력한 뒤, 이를 켜켜히 쌓아 산호가 살 공간을 만들었어요. 이후 1125℃에서 굽고, 3종의 산호를 군데군데 붙여 산호 아파트를 완성했지요. 그리고 지난 7월, 산호아파트 128개를 바닷속 아래 40㎡ 면적에 심었지요.산호의 집이 된 타일은 무게가 20kg이 넘을 정도로 무거워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공룡·소행성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8호
- 여기에 착안하여, 우주에서 날아온 소행성의 충돌로 대멸종이 일어났다고 발표했죠. 이후 실제로 멕시코에서 소행성의 충돌 증거인 지름 180km의 ‘칙술룹’ 크레이터가 발견되었답니다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