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용"(으)로 총 15,132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땅에 묻혀있던 하늘이 드러나다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있나요? 동서양의 과학이 융합된 혼천시계를 봐줬으면 좋겠어요. 시계의 동력으로 물을 이용한 건 동양에서 쉽게 볼 수 있는데, 동력을 서양의 자명종 시계와 연결해 썼다는 점이 독특합니다. 또 흠경각 옥루는 자격루에 비해 많이 알려지지 않은 물시계예요. 경복궁과 흠경각이 불타면서 옥루가 ... ...
- [기획] 서핑, 파도의 속도를 예측하라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파도가 다소 약해 스피드가 부족하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송 이사는 “몸무게를 이용해 보드를 누르고 파도의 작은 굴곡을 오르내리는 펌핑 기술로 속력을 끌어올려야 한다”며 “이번에 페레이라 선수의 경우 펌핑으로 파도에 다가선 뒤, 최고점에서 회전하는 ‘탑 턴’ 기술과 안정적인 착지 ... ...
- 기후변화 막는 작은 한 걸음, 탄소중립수학동아 l2021년 09호
- 밥상 탄소 계산기’를 내놓았습니다. 아래의 표를 참고하거나 탄소 발자국 계산기를 이용해 오늘 얼마만큼의 탄소를 만들었는지 계산해보는 건 어떨까요? 국가 단위의 정책에 비하면 탄소 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개개인의 행동은 매우 작아 보입니다. 그래서 ‘나 하나쯤이야 괜찮겠지’라고 ... ...
- [화보]이 밤 끝에 구름 위로 해가 내렸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있어야 하는 규칙이 있다. 조종석 전체를 찍은 사진도 순항 모드로 비행 중 광각렌즈를 이용해 찍은 사진이다. 나는 좌석 끝에 간신히 앉아있었다.이처럼 주로 오토파일럿이 작동될 때 조종석 사진을 찍는 데, 이는 커피를 한 모금 마시거나 비행 계획을 확인하는 데걸리는 시간만큼 매우 짧은 시간이 ... ...
- 플라스틱과의 공존을 꿈꾸는 젊은 기업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품질이 저하된다. 리플라가 제시하는 해결책은 플라스틱을 ‘편식’하는 미생물을 이용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분류된 PP의 순도를 높이기 위해서 PP를 제외하고 모든 플라스틱을 먹는 미생물이 자라는 바이오탱크에 폐플라스틱을 넣는 식이다. 이러면 미생물이 PP 외 다른 플라스틱을 먹어치워 ... ...
- 서울 땅 3m 아래 조선의 금속 유물과 만나다과학동아 l2021년 09호
-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설렌 모습으로 한 시간 넘게 일성정시의의 사용법을 설명하던 이용삼 교수의 모습이 아직도 인상깊게 남아있다.마지막으로 풀어야 할 미스터리가 남아 있었다. 구멍이 뚫린 동판과 컵모양의 유물은 기자간담회 3일 전까지 정체를 파악하지 못했다. 유물에 적힌 ‘一箭(일전 ... ...
- [수학자 가상 인터뷰] NASA의 ‘인간 컴퓨터’ 캐서린 존슨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저를 믿었으니 말이에요. 제 자랑 같지만 저는 다양한 수학 공식을 자유자재로 이용해 정확한 계산을 하는 것으로 NASA에서 이름을 날렸죠. 저를 ‘인간 컴퓨터’라고 부르더라고요. 훗! 프렌드십 7호뿐 아니라 1969년 아폴로 11호가 인류 최초의 달 탐사를 위해 떠났을 때도 제가 계산했어요. Q. 일하는 ... ...
- 우리 모두 인공지능 개발자가 될 수 있어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9호
- 프로그램을 만들어 볼 수 있어요. 복잡한 코딩 언어를 알지 못해도 ‘KT AI 코딩블록’을 이용하면 쉽게 할 수 있지요. 처음이라서 잘모르겠다면 다음 설명을 읽으면서 차근차근 따라 해 봐요. KT AI 코딩블록에서는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등 어렵게만 느껴지는 기술에 대해서도 배울 수 있어요 ... ...
- LIMS 전 세계에 흩어진 지니봇을 내가 조종할 수 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LIMS 클라우드엔 최대 49대까지 지니봇이 서로 연결되지요. 예를 들어, 선생님이 지니봇을 이용해 퀴즈를 냈다고 생각해 볼게요. 선생님이 “지니봇이 오른쪽으로 두 바퀴 회전한 뒤, ‘성공’이라고 말하게 하세요”란 미션을 주면, 각자의 친구들은 지니봇이 명령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코드를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9호
- 눈으로는 볼 수 없는 줄이 꿀렁거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고요? ‘롤링 셔터 효과’를 이용한 이 실험은 튕길 수 있는 줄과 카메라가 달린 스마트폰만 있으면 할 수 있을 정도로 간단하지만, 기사를 쓰기는 쉽지 않았어요. 당시 기사 담당이었던 이창욱 기자가 방사능을 눈으로 확인하는(!) 대단한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