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전인자
유전단위
인자
유도자
전승자
DNA
d라이브러리
"
유전자
"(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은 번쩍! 얼굴은 반짝! 과학으로 쓰는 안경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8호
근시인 경우가 많다. 지난해 영국 킹스대학교의 크리스 해먼드 박사는 근시를 일으키는
유전자
를 찾아 내기도 했다. 따라서 텔레비전이나 컴퓨터 등 한 곳을 오래 바라보거나, 어두운 곳에서 책을 보는 습관이 근시를 더 악화시킬 수는 있다. 하지만 오직 그 이유만으로 심각한 근시가 되는 경우는 ... ...
유전자
재조합식품? 그게 뭐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7호
만들 수 있다. 이렇게 생물의
유전자
에 원하는 특성을 가진
유전자
를 끼워 넣는 기술을 ‘
유전자
재조합기술’이라고 한다.*제초제: 잡초를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약제 ... ...
뚝딱뚝딱, 동물도 도구를 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7호
안녕? 난 침팬지 ‘침프’라고 해. 나에겐 한 가지 소원이 있어. 바로 사람이 되는 거야. 왜 사람이 되고 싶냐고? 사람들은 엄청나게 똑똑하잖아. 많은 침 ... 침팬지가 사람처럼 말을 하거나 똑똑해지는 데에는 한두 가지의
유전자
가 아니라 수많은
유전자
가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라는 거죠 ... ...
동물은 우주왕복선을 타고!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5호
유전자
가 변해 독성이 강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우주 살모넬라의 DNA를 분석해 보니
유전자
167개와 단백질 73개가 변해 있었기 때문이다. 미국생명공학회사인 애스트로제네틱스는 이를 이용해 살모넬라 백신을 개발했다. mission5 새끼를 갖지 못하는 쥐지난해 5월 14일 아틀란티스 호는 암컷 쥐 1 ... ...
사랑으로 다시 쓰는 신 애완동물 과학백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4호
지나면 복제 고양이가 태어난다복제하려는 애완동물의 살아 있는 체세포만 있으면 같은
유전자
를 가진 동물을 복제할 수 있어요. 갓 태어난 복제 동물은 체세포를 채취한 애완동물과 똑같은 DNA를 가졌지만, 시간이 흐르고 자라면서 나타나는 모습이나 성격은 달라질 수 있답니다.공일근 (경상대학교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미래의 요리는 우리가 주인공!내가 지금 먹고 있는 요리가 미래 내 자손들의
유전자
를 바꿀 수도 있다는 거잖아. 정말 요리의 힘은 놀라워! 그런데 미래에는 어떤 식재료를 쓰려나…. 지금과 비슷하겠지?얘가 정말 요리사 맞아? 지구가 이렇게 더워지고 있는데 당연히 식재료도 변하지! 앞으로 100년 ... ...
“난 인간과 세균의 중매쟁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같은 양을 먹어도 뚱뚱해졌어요. 날씬한 쥐의 장내세균을 넣으면 역시 날씬해지고요.
유전자
나 생활습관이 아니라 세균 때문에 비만해질 수 있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어요.”성장 속도나 각종 질환도 장내세균의 영향을 받는다는 연구가 나오기 시작했다. 이 교수도 최근 ‘사이언스’에 “초파리의 ... ...
1998년 윌리엄 마틴 교수의 진핵생물 기원의 수소가설 제안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직계인 이들은 세균(미토콘드리아의 조상)을 포획하지도 않았는데 어떻게 이들의
유전자
를 갖게 된 걸까.이 발견을 한 연구자들은 이 진핵생물이 원래는 미토콘드리아를 갖고 있었는데 특수한 환경에서 살다보니 미토콘드리아가 퇴화했다고 설명했다. 특수한 환경이란 기생생활을 의미한다. 따라서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텔로미어의 단축을 지연하는 수단을 갖고 있다. 텔로머라제라는 효소다. 텔로머라제
유전자
가 활성화되면 짧아진 텔로미어를 복구해 노화를 늦출 수 있다.연구자들은 3개월 동안 하루 6시간씩 집중적으로 명상을 한 집단과 명상을 하지 않은 집단의 텔로머라제 활성을 비교했다. 그 결과 명상을 한 ... ...
[knowledge] 한송이 생명을 피우기 위해 지구는 그렇게 뜨거웠나 보다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첫 생명체의 탄생일 것이다. 지난 20~30년간 생명공학이 발달하면서 다양한 생명체들의
유전자
정보를 얻었다. 진화가 덜 된 원시 생명체일수록 뜨거운 환경에서 살고 번식하는 내열(耐熱) 기능이 있다. 쉽게 말해 보통 세포는 40℃ 이상에서는 파괴되거나 활동을 중지한다. 그러나 60℃ 심지어 90℃에서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