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바깥
외면
표면
겉
바깥면
밖
노천
d라이브러리
"
외부
"(으)로 총 3,180건 검색되었습니다.
염증 줄이는 음식 속 도우미를 찾아라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백혈구 같은 대식세포가
외부
의 적(항원)을 먹어치우는 초기방어 행위를 선천성 면역,
외부
의 적에 대항해 전문 요원(항체)이 나가서 싸우는 방식을 후천성 면역이라고 한다. 한동안 면역학자들은 다양한 항체의 매력에 이끌려 후천성 면역 연구에 집중했다. 그 덕분에 면역학 교재의 90%가 후천성 ... ...
천안함 7분간의 재구성
과학동아
l
2010년 06호
노후한 선체가 지속적으로 일정한 힘을 받다가 어느 순간 선체 재질의 공명주파수와
외부
주파수가 일치하면서 순간적으로 큰 힘이 발생해 배가 부러지는 ‘피로파괴설’도 설 자리를 잃었다. 또 원래 설계에는 없었던 미사일이 탑재되면서 자체 하중을 견디지 못해 ‘전단 파괴’가 일어났다는 ... ...
한의학으로 본 ‘애가 타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간(肝)이라는 글자 자체가 육달월(月)에 방패(干)를 더해 만들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외부
에서 들어오는 안 좋은 기운이란 서양 의학에서 말하는 바이러스와 세균, 독성물질도 해당되지만 사람의 감정을 심하게 흔들어 놓는 스트레스도 포함된다.여기서 ‘애가 타다’가 어떻게 간과 연관되는지 ... ...
레이저 그 탄생을 위한 질주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맞아떨어졌기 때문이다.연구를 계속하던 타운스는 1951년 분자들로 구성된 시스템이
외부
로부터 전자기파를 흡수하면 들뜬 분자들이 흡수한 전자기파와 동일한 파를 발생시킬 수 있다는 점에 착안하게 된다. 여기엔 타운스가 잠깐 일했던 벨연구소에서의 경험이 크게 작용했다. 당시 벨연구소에서는 ... ...
과학으로 파헤친 스타크래프트2 베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온라인 게임 ‘아바(AVA)’의 개발사 레드덕의 홍동균 실장은 “충돌 시스템은 유닛에
외부
자극이 가해질 때 이것의 운동에너지를 계산해 유닛의 동작을 적절하게 생성해 내는 시스템”이라며 “과거에는 유닛이 총을 맞았을 때 맞는 부위에 관계없이 일정한 동작으로 쓰러졌지만 충돌 시스템을 ... ...
한국 최초 식물공장 가동 시작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채소를 공급받을 수 있다. 안 이사는 “현재 무인자동화로 채소를 재배하고 자판기처럼
외부
에서 사람이 버튼을 눌러 채소를 수확하는 소형 식물공장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고 말했다. SF의 한 장면이 현실이 되고 있는 셈이다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판이하게 다르다. 한번 기억된 정보는 변하지 않는다는 현미경 그룹과 기억된 정보는
외부
환경에 따라 끊임없이 변한다는 MRI 그룹의 주장이 팽팽한 대립구도를 이뤘다. 이번 학술대회에 참석한 양 진영의 뇌과학 석학들을 만나 각 진영의 커넥톰 연구방법과 입장을 들어봤다.뇌과학 연구의 ... ...
자연이 빚어낸 서호주 아웃백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국립공원 입구에서 고속도로까지의 거리가 50km 정도밖에 안 되지만, 1980년대 초까지도
외부
에 알려지지 않았을 정도로 오지다. 이 지역은 3억 6000만 년 전만 해도 바닷가였다. 바닷물이 들어차 모래와 자갈의 퇴적물이 쌓이고 사암과 역암 층이 형성돼 지금의 모습을 갖췄다. 벙글벙글의 암석층을 ... ...
폐수에서 전기 얻는 일석이조의 미생물연료전지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전자전달 효소를 이용해 금속산화물을 환원시킨다. 따라서 이런 미생물을 이용하면 굳이
외부
의 전달매개체를 사용하지 않더라도(무매개체) 미생물연료전지를 작동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했다.김 박사팀은 당시 금속염환원세균의 모델 미생물이던 쉬와넬라균(Shewanella)을 이용해 무매개체형 ... ...
1971년 시모어 벤저 교수의 생체시계 돌연변이 초파리 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같은 환경 변화에 대한 반응일까, 아니면 우리 몸이 지니고 있는 리듬일까.예를 들어
외부
와 차단된 건물 내부의 인공조명을 28시간 주기로 점멸할 경우 우리는 곧 하루가 28시간인 생활에 적응해 살아갈 것 같다. 24시간에서 4시간이 더해진다고 해서 별 차이는 없을 것이다. 과연 그럴까.과학자들은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