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외국인
d라이브러리
"
외국사람
"(으)로 총 1,779건 검색되었습니다.
신형 김양식구 만든 윤유택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발명으로 성공하기 전까지는 다리 뻗고 편안히 잘 수가 없어요"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기 마련이며 양지 반대편에는 그만큼의 음지도 있다는 세상사의 이치가 발명계라고해서 예외일 수는 없다. 단 한건의 발명으로 순식간에 부와 명예를 거머쥐는 사람도 있지만 그보다는 훨씬 더 많은 이들 ... ...
(3) 땅속에서 썩는 플라스틱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생활에 여러가지 편리함을 주는 플라스틱이지만 사용후 버렸을 때 쉽게 분해되지 않아 심각한 환경오염문제를 야기하고 있다.플라스틱은 오늘날 우리 인류의 문화생활에 없어서는 안될 중요한 소재의 하나로 자리잡았으며 계속 그 응용범위를 넓혀가고 있다. 이러한 플라스틱은 그 우수한 성질로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년 03호
사회 짧은 기간 동안에 여러 곳을 탐사하느라 수고하셨습니다. 그 동안 현장탐사경험이 많지 않아 학생들을 가르치는데 어려움이 많았으리라 생각됩니다. 특히 조류에 관해서는 그동안 우리 교육의 현실이 오직 도감에만 의존해왔던 것이 사실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이번 탐사는 조류 전반에 걸쳐 ... ...
실내공기 약품오염 심각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그 어느 곳보다 청결해야 할 병원의 실내공기가 심하게 오염돼 있다. 포름알데히드 에틸렌 라돈 마취가스 등이 병원을 두려운 장소로 만들고 있는 것이다.최근 실내공기오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커지고 있다. 그도 그럴 것이 일반적으로 도시인은 하루일과중 80%이상을 실내(일반가정 사무실 공 ... ...
발명가가 되는 길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발명에서의 실패는 두 가지 교훈을 준다. 무엇때문에 실패했는지를 알게 해주고, 새로운 시도를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다.스스로 독창적인 사람이 되라독창적인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그들은 스스로가 독창적인 사람이라고 믿고 있다. 그럼 독창성이 없는 사람은 어떤 사람일까? 스스로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초창기 해외두뇌 유치작업은 개발도상국에서 유례없는 성공작이었다. 최근 국내에 들어오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현실은 60년대 KIST의 성공적인 유치전략 덕분일 것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의 설립은 자주적인 기술개발의 터전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그동안 해외에 체류하고 있던 많은 ... ...
교사 스스로 수업형태 개선해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무대와 배우는 바뀌었는지 모르지만 수업의 형태는 40년전 형식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았다. 내가 중·고등학교를 다니던 1950년대, 지구과학교사를 처음 시작했던 70년대 그리고 90년대 초반인 현재는 시간적으로 20년씩의 간격이 있다. 하지만 40년의 세월이 흘렀음에도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과학수 ... ...
21세기 미래기술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2010년이 되면 지능로봇이 인간의 일을 상당부분 대신해줄 것이며, 2020년이 되면 외국어를 공부하지 않아도 아무런 불편이 없게끔 자동통역기가 등장할 것이다. 2030년에는 암치료제가 개발돼 암에 대한 공포가 사라질 것이며 2050년이 되면 에너지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핵융합로가 개발될 것 ... ...
(4) 외국어 열등감 사라질까?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기계번역시스템의 최종 목표는 자동통역이다. 외국어를 배우지 않아도 외국인과 의사소통을 기계가 중간에서 맡아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현재 어휘구사가 다양하지 않은 전문서적을 번역하는 영한(英韓) 일한(日韓) 기계번역시스템이 상품화단계에 있다.기계번역이란 컴퓨터에 의해 하나의 자연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년 01호
현재 한국경제가 부닥치고 있는 어려움의 원인을 기술력의 부진에서 찾는 사람이 많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전은 6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개발계획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과기처와 KIST의 설립, 해외과학자유치, 원자력연구와 대덕연구학원도시구상 등 현재 우리과학기술의 토대는 대부분 이 시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