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완성"(으)로 총 3,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물리학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업적은 단순히 학술적인 의미에 그치지 않는다. 파란색 LED가 실용화되면서 빛의 3원색이 완성돼 LED를 조명기기로 쓸 수 있게 됐고, 디스플레이의 백라이트로도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세계 전기 소비량의 4분의 1이 조명에 사용된다는 점에서 LED는 에너지 절약에도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 ...
- [knowledge] 내가 먹은 흑돼지, 정말 토종일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재래닭 중 흑계를 중심으로 유전자를 정밀하게 비교하고 있다”며 “유전자 지도를 완성하면 체계적인 복원과 혈통분석이 가능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재래종과 외래종 결합한 ‘신종 토종’ 개발아쉽게도 우리가 먹는 돼지와 닭의 부모는 대부분 외국에서 사오고 있다. 미국, 영국, 프랑스,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외부 업체와 협력해 미세 패턴을 확대해 표시해주는 앱을 개발할 수 있었다. 이렇게 완성된 복사방해패턴 기술은 최근 한국발명진흥원의 2014년 발명특허대전에서 수상해 그 기술력을 인정받았다.기와장 ‘파던’ 디자이너 스마트폰을 잡다한국조폐공사 기술연구원은 히든QR코드와 복사방해패턴 ... ...
- [life & tech] “2022년, 인간 단백질 지도 완성한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질병과 약의 비밀, 단백질로 푼다“10년 내에 인간의 질병과 약에 대한 커다란 수수께끼를 풀어낼 것입니다.”현장에서 만난 윌리엄 행콕 HUPO 부회장(미국 노스이스턴대 교수)은 “2022년 9월 ‘염색체 기반 인간프로테옴프로젝트(C-HPP)’가 완료되면 인간의 모든 단백질 정보를 확보할 수 있어 질병 ... ...
- [만화뉴스] 수학으로 소설 미리 보기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 행렬에 견주어 보았다. 앞선 5권의 내용에 가장 잘 부합하는 변수를 찾아 수학 모델을 완성한 것이다.이 모델로 연구팀은 아직 나오지 않은 6, 7권에서 등장할 인물의 분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어떤 인물은 예상치 못한 시점에서 등장했고, 어떤 인물은 특정 시점 이후 등장하지 않았다 ... ...
- Part 3. 총성 없는 전쟁, 사이버테러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마디를 서로 다른 기호로 대응시킨다. 그리고 이 기호를 곱셈 꼴로 변환하면 암호가 완성된다. 이 암호는 곱셈의 교환법칙이 성립하지 않아 암호 해독이 어렵다.➌ 양자 암호빛 입자를 이용하는 암호다. 빛 입자(단일광자)는 ‘중첩’이라는 성질에 의해 동시에 0과 1이 될 수 있다. 그런데 이때 ... ...
- [수학뉴스] 에볼라, 의료진 확보가 시급하다수학동아 l2014년 11호
- 분석해 시간이 흐르면서 네 그룹의 인원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예측하는 수학 모델을 완성했다.연구팀은 이 모델을 이용해 조건을 바꿔가며 에볼라 환자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조사했다. 아무런 대처를 하지 않았을 때 에볼라가 어떻게 퍼져나가는지, 의료진이나 약물을 어떻게 배분하고 투입했을 ...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이렇게 완성된 전개도를 3D 프린터에 입력하고 재료를 결정하면 변신하기 전 로봇이 쉽게 완성된다.오리가미 로봇을 만들 때 가장 중요한 점은 기능을 유지한 채로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다. 이를 로봇 연구에 적극 활용하기 위해, 최근에는 국내에서도 오리가미 로봇 연구를 활발하게 진행하고 ... ...
- [career] 한화 사이언스 챌린지 2014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대담한 발상과 끈질긴 탐구 자세가 돋보인 팀에서부터 대학생도 하기 힘든 수준의 완성도 높은 연구를 선보인 팀까지. 이번 ‘사이언스 챌린지’는 ‘미래의 노벨상 과학자를 배출하자’는 취지에 어울리게 성공적으로 마무리됐다.에너지, 바이오, 기후변화·물은 청소년이 쉽게 다룰 수 없는 ... ...
- [과학뉴스] 별만 2억1900만 개 우리은하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지금까지 만들어진 가장 정밀한 우리은하 지도가 탄생했다. 영국 하트포드셔대 거트 바랜트슨 박사팀은 우리은하에 있는 별 2억1900만 개를 지도에 표기해 ‘영국왕립천문학회월간회보’ 온라인판 9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아프리카 서쪽 카나리아 제도의 라 팔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