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연구소"(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SPORTS, ENERGY, VITAMIN, COFFEE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됐다. 김영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뇌과학연구소 책임연구원팀은 타우린이 치매 증상을 치료하는 데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 2014년 12월 12일자에 발표했다. doi:10.1038/srep07467 연구팀은 알츠하이머에 걸린 쥐에게 ... ...
- [TECH] 쥐 소리 알아 듣는 AI ‘딥찍찍’ 동물 소리도 통역이 되나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울음소리를 분석하는 AI ‘딥꼬꼬’도 개발됐다. 웨인 데일리 미국 조지아공대 농업기술연구소 수석연구원이 이끄는 연구팀은 닭의 울음소리 패턴을 분석하는 AI 소프트웨어를 개발해 2014년 12월 국제 신호정보처리학회인 ‘IEEE 세계 신호 및 정보처리 컨퍼런스(Global SIP)’에서 발표했다. 식용 닭은 ... ...
- [폴리매스 프로젝트]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문제를 내주는 백진언 연구원입니다! Q 자기소개 부탁해요! 국가수리과학연구소 백진언 연구원입니다. 저도 어릴 때부터 수학자가 되려고 온라인을 통해 열심히 문제를 풀며 수학 실력을 키웠어요. 폴리매스를 통해 문제를 푸는 재미와 실력을 키울 수 있는 기회를 나눌 수 있어 기쁩니다. ... ...
- [Culture] 새 책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칠 독자도 있을 것이다. 이외에도 ‘페르미 우주망원경’ ‘페르미온’ ‘페르미 연구소’ 등 그의 이름은 여전히 과학계에 살아 있다. 페르미를 대중에게 가장 잘 각인시킨 건 원자폭탄일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그는 인류 역사상 가장 거대하고 비밀스러운 프로젝트인 ‘맨해튼 ... ...
- Part 4. 이종교배 - 네안데르탈인은 사라졌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유전자는 현대인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을까요? 독일 막스플랑크진화인류학연구소의 국제 연구팀은 네안데르탈인의 유전자가 겉모습에도 영향을 미칠지 모른다고 생각하고, 두 인류의 두개골을 비교하기로 했어요. 현생 인류의 두개골이 둥근 모양인 데 비해, 네안데르탈인의 두개골은 앞뒤로 ... ...
- [화보] 바다, 미시, 아름다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자세히 보아야 예쁘다’. ‘풀꽃’의 정의는 ‘이것’에게도 그대로 적용된다. 눈에 보이지 않아 무심히 지나치지만 웬만한 예술 작품에도 뒤지지 않는 식물플랑크톤, 특히 규조류 얘기다. 식물이 광합성을 통해 육상 생태계를 부양하듯, 식물플랑크톤은 광합성을 통해 수중생태계를 부양하는 ... ...
- [이달의 PICK] 귤, 붕어빵, 군고구마...겨울 간식 3대 천왕의 비밀과학동아 l2019년 02호
- 현재 12종이 남아있지만, 시중에 유통되고 있진 않다”고 말했습니다. 하지만 감귤연구소에서 ‘무봉’ ‘윈터프린스’ 등 국산 신품종을 개발하기도 했으니 언젠간 더 맛있는 한국 귤을 먹을 수 있겠지요. 붕어빵 vs. 잉어빵, 반죽의 차이 “아아~ 전국에 풀빵을 사랑하는 동지 여러분 ... ...
- [이달의 PICK] ‘파리협약’ 본고장 파리의 실험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줄이겠다는 계획이다. 지난해 12월 COP24 개최 기간에 독일 환경단체인 저먼워치와 새기후연구소, 국제기후변화대응 네트워크는 ‘기후변화대응 평가지수(CCPI) 2019’를 발표했다. 각국이 기후변화를 저지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를 점수화한 것이다. 스웨덴, 영국, 스위스, 노르웨이, ... ...
- Part 3. FRUIT, BEER, MAKGEOLLI과학동아 l2019년 02호
- ● 09 FRUIT drinks - SNS 스타 아이 노우 ‘IdH’ “두유 노우 IdH?” 얼마 전부터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 ‘갈아만든 IdH’가 숙취 해소에 좋다는 글이 꾸준히 올라오기 시작했다. 특히 해외 애주가들 사이에서 그렇게 인기가 좋다고. ‘갈아만든 IdH’가 대체 무엇인지 폭풍 검색을 했다. 아하, 해 ... ...
- [프리미엄 리포트] ‘디자이너 베이비’의 탄생? 유전자 편집 기술의 명암과학동아 l2019년 02호
- 잘라내거나 교정하는 일이 가능하다. 그런데 최근 앨런 브래들리 영국 웰컴생어연구소 교수팀은 쥐 배아줄기세포와 조혈 전구 세포, 사람의 망막색소상피세포에 크리스퍼 유전자 교정 실험을 한 결과, 예상과 달리 염기쌍 수백~수천 개가 없어지는 현상을 발견했다. 이뿐만 아니라 새로운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