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식"(으)로 총 2,995건 검색되었습니다.
- 남으면 뚱둥해진다! 열량어린이과학동아 l2011년 11호
- 많은 사람들은 음식을 먹을 때, 맛과 영양을 중요하게 생각해요. 그런데 음식에 얼마나 에너지가 들어 있는지도 아주 중요한 문제랍니다.음식에 들어 있는 ... 같은 간식 적게 먹기탄산음료 적게 먹기아침, 점식, 저녁 꼭 챙겨먹기규칙적으로 꼭 운동하기간식 고를 때 영양표시 꼭 확인하기 ...
- [재미있는 숫자 이야기] 숫자의 좌우 대칭 놀이 11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다시 180°가 되는 시각은 방정식 6x-1/2x=360을 만족시키는 x의 값에서 찾을 수 있다. 이 방정식의 해를 구하면 x=720/11분이다. 즉 시침과 분침이 처음 180°를 이룬 뒤 다시 180°를 이루는 데는 항상 1시간 60/11분이 걸리는 것을 알 수 있다. tip11번째 시간‘11번째 시간(The 11th Hour)’ ...
- 학생이 원하는 대로, 아주대 과학영재교육원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있는 분야의 과학자에게 e메일이나 전화로 인터뷰 허락을 받고 약속된 시간에 찾아가는 식이다. 이 프로그램을 처음 들은 학생들은 대부분 놀라워한다. 언론을 통해 과학자와 연구업적 기사는 많이 봤지만, 본인이 그분들을 직접 만날 수 있을 거라곤 상상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떨리는 마음으로 ... ...
- PART 1. 황당한 이그노벨상, 알고 보면 의미심장해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참여하고 시상식에서 상을 수여하는 만큼, 세계의 주목을 끌기에 충분한 상이다. 시상식은 과학 뮤지컬과 함께 진행되는데, 올해의 주제는‘화학’이었다. 주제에 걸맞게 이그노벨상 수상자에게는 주기율표가 새겨진 나무 상패가 주어졌다.백만장자? 이 나라에선 모두가 조만장자100,000,000,000,000 ... ...
- [수학영재캠프] 가위바위보 효율 높이기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정확히 구하는 것을 포기하고, 대신 C(n)의 크기를 대충이나마 파악할 수 있는 부등식을 구하고자 한다면 그것은그런대로 도전할 만한 문제일 수 있다.조를 나누어 효율 높이기그래서 많은 사람이 가위바위보를 하게 되면 흔히, 몇 개 조로 나누어 가위바위보를 한 후 각 조에서뽑힌 사람들이 다시 ... ...
- PART 2. 노벨상을 부르는 수학의 힘수학동아 l2011년 11호
- 수학적인 기여가 노벨상 수상까지 이어지는 이유는 간단하다. 어떤 현상을 간단한 식으로 나타내거나 수학으로 증명했다는 것은 우리가 자연을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돕고, 확실하게 알게 됐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실험으로 얻은개별적인 결과 값은 큰 힘을 가지지 못하지만 이것이 수학의 ... ...
- 엘리베이터는 언제 올까?수학동아 l2011년 11호
- 데크’라는 기술이 있었다. 엘리베이터 두 대가 한 덩어리처럼 붙어서 움직이는 방식이다. 2개 층을 동시에 운행할 수 있게 되면서 그만큼 효율이 높아졌다. 다만 언제나 함께 움직여야 한다는 점이 아쉬웠다.두 기술은 수직통로 하나에 엘리베이터가 하나만 움직이는 것이 효율적이지 못하다는 ... ...
- Part 1. 이랬다 저랬다 미스터리 양자월드과학동아 l2011년 10호
- 발전 중”양자역학은 1913년 보어의 원자모형에서 1928년 폴 디랙의 상대론적 파동방정식에 이르기까지 원자구조 연구, 즉 원자핵 주변의 전자배치와 상태에 대한 연구를 중심으로 전개됐다. 원자구조에 따라 고유한 스펙트럼선의 파장과 세기가 결정되기 때문에, 이 시기의 양자역학은 원자의 ... ...
- Part 2. 숫자의 마법, 진짜 유망주 찾는 통계과학동아 l2011년 10호
- RC는 다음과 같다.RC = (안타+볼넷)×전체 루타수÷(타수+사사구) = 출루율×장타율×타수이 공식에 따르면 한 팀의 득점력을 높이려면 단순타율 보다 출루율과 장타율이 높아야 한다. 제임스는 안타를 치건, 사사구를 얻어내건 일단 출루하는 것, 즉 타자가 아웃 당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겼다. 2 ... ...
- 1953년 스탠리 밀러의 초기 지구 조건에서 아미노산 합성 실험과학동아 l2011년 10호
- 있다는 말이다. 이 결과는 오늘날 생명체의 기원이 이들 화합물의 조합(구체적으로 어떤 식인지는 모르지만)에서 비롯됨을 시사한다.1969년 호주 빅토리아주 머치슨에 떨어진 무게 100kg짜리 대형 운석은 1953년 밀러의 실험을 다시 부각시켰다.‘머치슨 운석(Muchison meteorite)’이라고 불리는 이 탄소질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