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으)로 총 8,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이돌 수학] 경배하라, 새로운 '수학돌'이 탄생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수학동아 l2020년 02호
- 계산에만 집중했다면 투바투의 ‘9와 4분의 3 승강장에서 너를 기다려’를 들으며 분수 표기별 특징을 곱씹어보자. 마법의 승강장에서 투바투와 만날 수 있도록 말이다 ... ...
- [과학뉴스] 호주를 삼켜버린 사상 최악의 산불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서식지인 뉴사우스웨일스 중북부 해안을 휩쓸고 지나가면서, 이곳에 사는 코알라 수의 3분의 2에 해당하는 8000마리가 목숨을 잃었지요. 코알라는 동작이 느리고 이동을 잘 하지 않기 때문에 그 피해가 더 컸답니다. 현재 호주 산불에서 발생한 화재의 연기가 2000km 떨어진 뉴질랜드 남섬에서도 관측 ...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마포구에 위치한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2019년 1월 설계도면 평가에서 에너지자립률 60%로 분석돼 최초로 3등급을 받았다. 제로카본그린홈도 최근 설계도를 업그레이드해 에너지자립률 106%를 달성했고, 이를 토대로 설계 인증에서 1등급을 획득했다. 서울에너지드림센터는 에너지 단열을 위해 열리는 ... ...
- 얼음에서 잘 미끄러지는 진짜 이유? 피겨스케이팅 속 물리학과학동아 l2020년 02호
- 월 4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X.9. 041025연구팀은 액체층 속에 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의 얼음 조각이 섞여 있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설명했다. 얼음 표면이 물체에 눌리면 nm 크기의 얼음 조각들이 떨어져 나와 물과 섞이고, 그 결과 점도가 순수한 물보다 두 배가량 증가한다는 것이다 ... ...
- AI, 감히 나를 평가해? AI 면접 '찐후기'과학동아 l2020년 02호
- ◇ 안어려워요 | AI 면접 한겨울이 지나가고 다시 한 번 공채(공개채용)의 계절이 왔다. 공채는 자기소개서를 포함한 서류전형부터 필기시험, 토론면접, 최종면접까지 회 ... 많이 찾아내 좋은 과학기사를 더 많이 쓸 수도 있지 않을까? 그러니 AI 면접을 보는 지원자 여러분 모두 힘내시길 ... ...
- [매스미디어]룰도, 심판도 없다...스토브리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하는데, 야구 유망주였다가 불의의 사고를 당한 백영수가 통계학을 배워 드림즈의 전략분석팀에 지원하면서 백승수의 아픈 과거사가 밝혀진다.백승수가 휴머니스트에 가까운 모습을 보여주면서 궁금해지는 점이 있다. 바로 드라마 초반 구단주 대행이 우승 후 팀을 해체하자는 제안을 순순히 ... ...
- [별 헤는 수학] 도플갱어가 소개하는 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수학동아 l2020년 02호
- 활용할 예정이에요. 내가 분류한 데이터로 인공지능을 가르치는 거죠. 왜소은하를 분류하는 인공지능 개발에 도움을 주는 거예요! ④ 과학동아천문대 쿠폰 증정!왜소은하 찾기 시민과학프로젝트에 참여한 수학동아 독자가 폴리매스 홈페이지 선물이 팡팡 게시판에 인증사진을 올리면 추첨을 통해 ... ...
- [천리안 2B호] 위성 본체과학동아 l2020년 02호
- 느낀다”며 “70~80명에 이르는 국내 연구팀이 밤낮 가리지 않고 긴 기간 고생해준 덕분”이라고 말했다. 최 단장은 “천리안 2B호 발사를 마무리짓고 나면 7년 뒤인 2027년에 육지에서 100km 떨어진 지역에서도 LTE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위성을 발사하기 위해 다시 달려갈 것”이라고 밝혔다 ... ...
- [한페이지 뉴스] 진공인데 열에너지가 전달되네?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UC버클리)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100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 두께의 질화규소에 75nm 두께의 금을 코팅한 멤브레인(막) 두 개를 준비하고, 두 막을 진공에서 1200nm 거리에 배치했다. 그리고 막 하나를 가열해 온도가 25도가량 차이나게 만든 뒤, 둘 사이의 거리를 조금씩 ... ...
- ‘아재’들의 미래였던 2020년, 실제 발명된 SF 아이템 Top5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묘사된다. 현실1885년 독일 발생학자 한스 드리슈가 처음으로 성게 배아를 둘로 분리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진 두 마리의 성체를 만들어냈다. 이후 개구리, 도롱뇽, 소 등의 동물이 인공적으로 복제됐다. 그러던 1996년 체세포 핵 이식으로 태어난 최초의 포유류인 복제 양 ‘돌리’가 등장하면서 동물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