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6,206건 검색되었습니다.
- [종목1] 스피드스케이팅, 0.1초 단축 위해 찰나의 순간 분석과학동아 l2018년 02호
- 이룬 반면 다른 쪽은 그렇지 않아 빙판에 전달되는 힘의 차이가 생겼고 결과적으로 주행 방향이 틀어진 것이다. 키네틱 체인이 제대로 형성돼야 힘의 손실을 최소로 줄이고 빙판을 미는 힘을 최대로 끌어올릴 수 있다. 야구에서도 타자가 순간적으로 배트를 휘두르는 힘을 키우기 위해서는 키네틱 ... ...
- [번외종목] 스키로봇챌린지, 8봇 8색 도전! 로봇 스키과학동아 l2018년 02호
- 한쪽 다리의 구동기가 위아래로 움직이면 다른 쪽 다리와의 높이 차이가 생기면서 방향 전환이 이뤄지는 원리다. 기문 인식은 두 대의 카메라를 이용해 스테레오 시스템으로 설계했다. 사람의 눈처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카메라를 설치한 뒤 하나의 물체(기문)에 초점을 맞추도록 설정한 ...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수학동아 l2018년 02호
- 수직 방향이 우선적으로 자라나면 기둥 모양이 된다. 연구팀은 얼음 씨앗이 수평과 수직 방향 중 어디로 자라날지 결정하는 변수 Γ★와, 눈결정이 자라나는 영양분이 되는 초기 과냉각수적 u0 등으로 수학 모형을 만들었다. Γ 1일 때는 접시 모양으로 자라나고, Γ≥1일 때는 기둥 모양으로 자라난다. ... ...
- [영재교육원 탐방1]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수학동아 l2018년 02호
- 받아 보면 수학과 SW 과목을 신청하는 학생 수가 많이 늘어나고 있다. 사회 분위기도 그런 방향으로 바뀌고 있는 것이다. 그래서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도 새로운 교육과정을 만들고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수학도 단순 수학이 아니라 다른 분야와 융합된 콘텐츠를 만들려 한다 ... ...
- [과학뉴스] AI로 마음껏 날아다니는 ‘가상 새’과학동아 l2018년 01호
- “가상 비행생명체가 주어진 환경에서 에너지를 적게 소모하면서 안정적으로 원하는 방향으로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한 것”이라며 “실제 존재하지 않거나 멸종된 생명체들의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 결과는 컴퓨터그래픽스 분야 국제학술지 ... ...
- [과학뉴스] 개복치 족보 다시 쓰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또 범프헤드개복치가 다른 개복치와 달리 돌출된 머리, 돌출된 턱, 직사각형의 몸, 방향타로 알려진 지느러미 줄 등의 신체적 특징을 가진 것으로 정리했다. 이번 연구 결과로 1996년 발견 이래 세계에서 가장 무거운 물고기로 기네스북에 등재된 개복치의 종도 개복치에서 범프헤드개복치로 바뀌게 ... ...
- [Origin] 유럽의 ‘빛 공장’에 가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빛의 속도로 빨라지고, 이 전자가 거대한 영구자석이 만든 자기장을 통과하면서 급하게 방향을 꺾으며 아주 강한 전자기파를 낸다. 이를 방사광이라고 한다. 이때 발생하는 방사광은 파장이 수 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매우 짧다. E-XFEL의 경우 0.05nm 수준이다. 이 빛이 세포와 같은 ... ...
- Part 3. 역사의 흐름을 예측한다수학동아 l2018년 01호
- 알 수 없지만 수학을 이용하면 어느정도 예측을 할 수 있고, 그 결과를 참고해 더 옳은 방향으로 가도록 선택할 수 있을 거예요. 수학의 도움을 받으면 미래를 스스로 만들어나갈 수 있겠죠?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수학, 미래를 보다Part 1. 전자화폐 시대가 온다Part 2. 인공지능, 인간 ... ...
- [현장취재] 로봇공학자 데니스 홍을 만나다! 로멜라 로봇 전시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않고, 돌림힘도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으로 걸을 수 있습니다. 사람들에게 나비가 걷는 방향을 알려 주기 위해 이렇게 얼굴도 만들어 줬지요.” 취재에 참가한 이지민 학생은 “이번 취재를 통해 고정관념을 깨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됐다”며, “앞으로 로봇 공학자의 꿈을 이어가는 데 큰 ... ...
- [Future] 뒤로 공중돌기 완벽 성공, 너의 이름은 아틀라스과학동아 l2018년 01호
- 전기모터 방식을 쓰고 있다. 팔다리 관절에 전기모터가 장착돼 있어서 힘을 주거나 방향을 바꿀 수 있는데, 사람만큼 동작이 정교하다는 장점이 있다. 조 선임연구원은 “전기모터 방식은 정교한 작업에는 유리하지만 역동적인 동작을 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강한 힘을 내려면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