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Intro. 2020 세상을 뒤흔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있다. 앞으로는 3대 주제의 융합과 시너지가 일어나게 된다. 휴대용 전자기기와 IT 기술의
발달
이 융합을 더욱 가속화시킬 것이다.김성환 _ KT종합기술원 기술전략담당 매니저물건끼리 서로 소통하는 시대가 올 것이다. 2020년쯤 되면 지금보다 훨씬 더 많은 사람들이 도시에 살게 될 것이다. ... ...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고려시대로 넘어가면서 품위가 중요해졌다. 조선시대, 특히 후기에는 유흥과 향락이
발달
하면서 기생이 곁눈질을 하는 것처럼 요염한 교태가 아름다움이었다. 시대별로 사상과 문화에 따라 아름다움의 의미가 달라진 것이다. 현대사회에서도 시대에 따라 미인상이 변하고 있다. 1960~1970년대에는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IT산업의 급속한 발전으로 인해 콘텐츠 산업이 빠르게 변하고 있다. 저장, 복제 기술이
발달
하면서 콘텐츠가 너무나 값싼 상품으로 전락했다. 이로 인해 진입 장벽이 낮아진 각종 대중매체의 경쟁이 치열해졌다. 점차 뉴스는 사라지고, 진기한 스토리만 살아남는 시대로 변했다.시시각각으로 ... ...
네안데르탈인 사춘기 빨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발달
하거나 사회의 관습을 배우는 기간도 길어진다”며 “이 덕분에 현생인류의 뇌가 더
발달
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립과학원회보(PNAS)’ 11월 15일자에 실렸다. ❶ 마이크로 X선 장비로 촬영한 네안데르탈인의 치아.파란색은 큰 앞니(중절치), 노란색은 옆 앞니 ... ...
따로 또 같이! 세계의 인종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것을 막아 주는 자연 선글라스다. 피부는 햇빛을 많이 받으면 우리 몸의 신경계를
발달
시키는 물질과 정자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을 파괴한다. 이 때문에 아프리카와 같이 햇빛이 많이 내리쬐는 열대 지역에서는 멜라닌 색소가 많은 검은 피부로 몸을 보호하는 것이다. 반면 뼈를 ... ...
바이오 이종 장기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사람은 10%에 그친다. 고령화 사회가 될수록 이런 현상은 더 심해질 수밖에 없다. 의학의
발달
로 죽는 사람은 줄어드는 반면 장기를 필요로 하는 환자들은 계속 늘기 때문이다. 물론 사람의 몸에 쓸 장기를 꼭 다른 동물에서 얻을 필요는 없다. 기계식 인공장기, 줄기세포 분화, 생체조직공학을 이용한 ... ...
Part 2. 과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수 없다”고 말한다.기가 지나가는 통로인 ‘경락’도 마찬가지다. 해부학이 본격적으로
발달
한 지 무려 수백 년이 지났지만 아직 경락은 발견되지 않았다. 기가 정확히 무엇인지 모 르는 상태에서 기의 통로를 찾아내 진료에 이용한다는 것도 논리적으로 말이 되지 않는다. 유용상 대한의사협회 ... ...
800년 만에 돌아온 고려 시대 보물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벼 줄기에 달린 낟알의 크기는 지금의 것보다 무척 작다. 양 연구사는 “육종 기술이
발달
하면서 쌀알이 통통해졌음을 알 수 있다”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마도 선박에서 찾아낸 곡물의 DNA를 분석해 현재 곡물과 같은 품종인지, 곡물이 어떤 방향으로 개량됐는지 등을 분석할 예정이다.지난해 ... ...
사실과 허구를 구분하려면?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저위도 지역의 열에너지가 시베리아 기단까지 전달되지 않기 때문에 더욱 차갑게
발달
한 시베리아 기단에 의해 평년보다 추운 겨울 날씨가 될 수 있다.물론 기후나 날씨와 연관된 변수가 워낙 다양하기 때문에 태풍이 적게 발생한 것만으로 추운 겨울을 예상하긴 어렵다. 하지만 다양한 관측결과나 ... ...
그 곳에 생명이 있다!
과학동아
l
2010년 11호
있다. 그렇다면 잠을 자지 않고도 몸에 쌓인 피로를 해결하는 특이한 생화학적 원리를
발달
시켰을 것이다.암모니아 마시고 염소로 숨쉬고어떤 행성에 생명체가 있는지를 따질 때면 언제나 물과 산소가 있는지를 먼저 확인한다. 우리가 아는 생명체는 대부분 물과 산소가 없으면 살 수 없기 때문이다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