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항아리
독
병
오직
유일
포트
다만
d라이브러리
"
단지
"(으)로 총 2,066건 검색되었습니다.
Ⅱ. 묻혀있는 가능성 지오피아를 건설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을 하지 않은 암반공동을 이용한 저장시설을 처음 건설했다. 그리고 67년에 포르부정유
단지
에 3기의 원유 지하공동을 굴착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현재 약1천m3이상의 용량을 갖고 있다. 노르웨이도 석유류 및 가스의 저장으로 위한 약37개 이상의 지하 저장시설을 갖고있다.한편 우리나라의 지하 ... ...
원격진료·재택교육 급진전 화상회의 : 2.집안에 하버드 강의실, 산간벽지에 서울대 병원
과학동아
l
1996년 07호
백령도의 의료진이 공동으로 진료한다.물론 의사가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위해서는
단지
환자의 증상을 듣고 눈으로 확인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한 것이 사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환자가 풍기는 냄세를 맡고 아픈 부위를 만져보는 등 5감을 모두 동원해야 한다. 이 때문에 화상의료는 의사와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하느라고 대학을 그만둬야 했습니다. 일부 해커들은 데이터를 파손한 적도 없는데
단지
드나들었다는 이유만으로 감옥에 갔었고요. 하지만 우리들은 대개 그런 것을 크게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사회가 가하는 부당한 제제에 대한 두려움보다 컴퓨터를 향한 호기심과 열정이 몇배 크니까요 ... ...
먹는 피임약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주사해 피임제로서의 가능성을 시험한 기록도 있다. 후진국 여성에게 임상시험신약은
단지
가능성을 어림잡거나 몇 사람에게 효과가 있다고 해서 판매가 허가되지 않는다. 그런 이유로 1960년에야 경구피임제가 시판됐다. 피임제가 나오기까지 가장 큰 공헌을 한 사람이 매사추세츠 우스터재단의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선생님 강의가 전혀 이해되지 않거나 금방 들었던 내용도 기억하지 못하는 현상이
단지
'신경성' 이 아니라는 말이다. 일부러 기억 잃기도만성피로에 대한 연구는 현재 미국에서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걸프전에 참전했던 미군의 25%가 기억력이 심하게 상실되고, 요통, 두통, 우울증 등 ... ...
희생정신 충만한 아마존 왕국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채 동료들이 먹여주는 꿀을 있는대로 받아 뱃속에 저장하는 것이다. 이 ‘살아있는’ 꿀
단지
들은 부풀대로 부풀어 천근만근 무거운 몸도 마다않고 동료들을 위해 헌신한다.큰 나무에 구멍을 뚫고 사는 유럽의 목수개미(carpenter ants) 중에는 구조가 변화된 머리로 집의 현관문을 막고 보초를 서는 ... ...
4. 세계 최고 수준 지향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만든 것이기 때문에 정부가 주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한국 정부(과기처)는
단지
장소와 일정 예산만을 지원할 뿐이다.그러나 학자들이 순수하게 진행한다는 것은 말처럼 아름답지는 않다. 예산은 계획대로 지급되지 않고, 운영인력 역시 확보가 어렵기 때문이다. 현재 서울대에 임시 ... ...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전산관리자, 연구원 등으로 진출하면서 컴퓨터 발전에 크게 기여하는 사람들도 많다.
단지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에 남보다 더욱 애착을 느끼는 것이 별다르게 보일 뿐이다.문제는 정보파괴를 일삼는 일부 해커들이다. 그들은 순수한 동기를 가진 해커와 따로 구별하기 위해 '대커'(dacker) 또는 ... ...
1. 톱쿼크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쿼크 가족들은 평균수명이 매우 짧아 현재의 물질 중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들은
단지
가속기 실험실에서 생성돼 잠시 살다가 붕괴해서 더 가벼운 쿼크로 되기 때문이다.만약 이들 무거운 쿼크들이 오래 산다면 물질들의 구성은 현재보다 훨씬 복잡해질 것이다. 어찌됐든 기본입자인 톱쿼크가 왜 ... ...
3. 훈련 : 청소년기 명상과 학습 통해 스스로 두뇌 훈련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인해 자신에게 그것이 '반드시' 필요하다고 믿어버리는 경향이 증가된다는 점이다. 이는
단지
두뇌 개발의 측면뿐 아니라 건전한 인격의 형성에도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올 것이 분명하다. 혼자 변화시키는 뇌파음식이나 기구 등 외력(外力)에 의존하지 않고 청소년기에 자신의 두뇌를 개발하는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