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으)로 총 10,295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더 작고 더 정밀하게! 진짜 정확한 지도에 도전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연구팀은 “이 기술은 앞으로 쇼핑몰, 박물관 등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한 실내 공간 서비스에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정밀한 지도는 도시 바람길을 모의하고, 실시간 기상정보와 결합해 미세먼지 이동 경로를 파악하는 등의 디지털 트윈*에도 활용될 수 있답니다. *용어정리디지털 ... ...
- [가상 인터뷰] 코로나19바이러스는 A형을 좋아해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코로나19바이러스가 좋아하는 혈액형이 있다고?! A형? 내가 A형인데, 도대체 A형을 왜 좋아한다는 거야? 자기소개를 부탁해. 안녕, 난 코로나19바이러스야. 주로 사람의 침 방울로 전파되는 호흡기 바이러스지. 2019년 12월 중국 우한시에서 처음 보고된 후, 지난 3 월까지 세계적으로 1억 명이 넘는 ... ...
- [다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외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개학해도 어과동 독자들을 위해 마이보의 과학 영상 추천은 계속 된다! 이번에 내가 고른 영상이 궁금한 사람 여기여기 모여라! 훗, 어과동 홈페이지 속 어과동 TV에도 쇼킹하고 재밌는 영상들이 올라오고 있으니, 언제든지 놀러 와! 꼭꼭 숨어라 머리카락 보일라! 조회수 : 1.7만 회채널명 : EBS 컬렉션 ... ...
- [IBS×수학동아] 생명의 비밀 파헤치는 수학자-김재경 교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분해되는지’를 실험해봤는데, 2개월 후고토 박사가 예측이 맞았다는 실험 결과를 보내줬다. 이 이메일을 확인하고 너무 좋아서 연구실에서 소리를 질렀던 기억이 난다. 이제 두 번째 예측을 검증해야 하는 어려운 실험만이 남아 있었다. 한국에 돌아와서도 계속된 공동연구의 결말 두 번째 ... ...
-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과학동아 l2021년 07호
- 모래에만 사는 민물고기입니다. 낙동강과 금강 수계에 삽니다. 2016년 낙동강 수계인 내성천에 영주댐이 만들어지면서 모래가 급격히 사라졌습니다. 그런데 금강에서는 얼마 전 세종보의 수문이 열리며 모래가 쌓여 흰수마자 몇 마리가 발견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강의 중상류에 만들어진 ... ...
- 세계 첫 인공수정란 합성, 배아 연구 윤리 규정 바꾸다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지침에 따라 인간 배아를 실험실에서 배양하는 기간을 14일 이상으로 완화할 수 있다는 내용이 담겼다.ISSCR 가이드라인 태스크포스 의장인 로빈 러벌-배지 영국 프랜시스크릭연구소 그룹 리더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기고를 통해 “이번 기준 완화로 인간 배아가 14~28일 사이에 어떻게 발달하는지 ... ...
- [과동 키즈] 쿠키처럼 달콤한 과학 이야기를 당신에게과학동아 l2021년 07호
- 과학자들의 생생한 역사를 담고 있다. 이 이야기를 달콤한 쿠키처럼 즐겁게 전하는 것이 내 소망이다. 앞으로도 과학쿠키를 사랑해주시는 분들과 교육적 가치와 재미를 동시에 담은 영상으로, 때로는 글로, 또 때로는 강연으로 소통하려 한다. 어렸을 적 초대 과학 커뮤니케이터들로부터, ... ...
- [매스미디어] 라켓소년단의 1승의 비결은 경우의 수?!수학동아 l2021년 07호
- 낮은 선수는 3단식을 맡습니다. 2:2 복식 경기 역시 기존의 복식 랭킹을 따라 결정하죠. 국내에서는 이 규칙을 따르지 않아도 돼서 상대의 오더를 예측하고 예측 당하는 쫄깃한 상황이 펼쳐질 수 있습니다.그만큼 전국 꼴찌인 라켓소년단이 1승을 쉽게 거둘 수도 있다는 말이 되겠죠! 과연 해강은 전국 ...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상류 쪽으로 역류하면서 현무암층을 만들었고 화산활동이 끝난 후 강이 현무암을 깎아내 기하학적인 형태를 빚어냈다.북한강은 한강의 지류 중 가장 길이가 길다. 협곡이 많고 하천 유량이 풍부해 과거부터 댐 건설의 최적지로 꼽혔다. 일제강점기 건설된 화천댐, 한국에서 저수용량이 가장 많고 ... ...
- 집사 길들이려면 집사 말 정도는 알아야옹~과학동아 l2021년 07호
- 이런 특성은 그간 개와 인간의 소통을 연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됐습니다. 먹이가 꺼내기 어려운 곳에 있을 때 개는 인간을 바라보며 해결책을 찾는데, 이런 모습은 개의 조상이라 여겨지는 늑대에게선 쉽게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사라 마샬 페시니 오스트리아 빈대 수의대 선임연구원팀은 다 자란 ... ...
이전12612712812913013113213313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