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기
감태
안개
수증기
해의
잡초
잡풀
d라이브러리
"
김
"(으)로 총 1,778건 검색되었습니다.
한 번 영재는 영원한 영재?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시킬 것이며, 누가 가르칠 것인가에 대한 심도깊은 연구가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김
종득 원장은 “유아 영재는 여전히 발달단계에 있으므로 어린이마다 차이가 많이 난다. 따라서 소규모 단위로 어린이들의 특성을 감안한 맞춤형 교육을 실시할 것”을 제안했다. 이에 따라 영재교육을 ... ...
생명의 연결고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내리실 분 계십니까?”“땅, 땅…, 버스~, 오라이~!”1985년 시민자율버스가 등장하면서 사라진 사람들이 있다. 흰 장갑에 조그만 가방. 머리 ... 마련돼 있다.생명이라는 커다란 비밀을 찾아 벽 없는 실험실을 만든 생명공학의 건축가
김
교수. 그가 곧 신약개발이라는 3번째 벽을 넘을 것이다 ... ...
성폭행범 귀에 경 읽기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하지만 처음 이 프로그램에 참여했을 때 성적 망상때문에 구치소까지 오게된 모범생 ‘
김
박사’는 혼자 되뇌였다고 한다. “이제 뭔가 시작되고 있다”고…. 화학적 거세를 도입해 형벌이 무거워지면 연쇄 살인 같은 강력 범죄가 증가할 것이란 우려도 있다. 사진은 화성 연쇄 성폭행 살인 사건을 ... ...
로봇을 통해 휴머니즘 그리고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하는 생각을 해봤어.”태권V시리즈 외에도 우뢰매 시리즈 등 굵직한 SF물을 제작해온
김
감독은 요즘도 과학잡지에서 작품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구한다고 말한다. 미래 기술의 보랏빛 청사진을 그리는 과학 기사와 자연과학 다큐멘터리는 여전히 노 감독의 호기심을 자극한다.창조적인 아이디어와 ... ...
줄어드는 북극해의 얼음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온실가스 농도가 증가하면서 지구 평균 기온이 2℃나 증가했다. 지구온난화 때문에 극지방의 빙하가 녹아내리면서 해수면이 앞으로 1000년 동안 7m나 올라갈 것으로 전망된다. 1932~ 미국의 물리학자 뉴욕 태생 콜럼비아 대학을 졸업한 후 모교의 물리학 교수가 되어 중성미자(中性微子)의 실체에 관 ... ...
기획5. 깊은 바닷속은 잔잔하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도움이 됩니다. 내부파 덕에 물고기가 한곳에 모이면 그 자체가 바로 좋은 어장이죠.”
김
교수가 깊은 바닷물의 움직임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이유다. 상대를 속속들이 알면 제대로 대처할 수 있으니까 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물문맹률 제로에 도전하라 기획1. 물 한 잔 갖고 짜게 ... ...
호박에 줄그어 수박 만든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미팅하기로 한 날. 약속 장소에 들어가기 전에 한 번 더 거울을 보고 화장이 잘 됐나 살펴본다. 친구가 웃으면서 한 마디 한다. “호박에 줄 ... 기억되길 바랍니다.”대학입시 때 1, 2, 3지망 모두 주저 없이 ‘화학과’를 썼다는
김
교수. 머지않아 쿠커비투릴이 그의 열성에 보답하지 않을까 ... ...
1. 줄기세포 희망심기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세계적인 경쟁력을 확보한 줄기세포 연구에 계속 투자할 계획이라고 최근 밝혔다.
김
동욱 교수는 “줄기세포 연구를 후원하는 민간 연구비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합리적인 연구 풍토와 환상을 배제한 차분한 기다림만이 줄기세포에서 진짜 희망을 따줄 것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진화하는 월드와이드웹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로봇과 하루의 일에 대해 수다를 떨다 늦은 밤 잠자리에 든다. ‘디지털 나홀로족’
김
씨의 하루는 결코 먼 훗날을 가정한 가상 시나리오는 아니다. 다음소프트 자연언어철연구소장 이상주 박사는 “사람말을 이해하고 그에 맞는 해결방법이나 해답을 찾는 웹의 등장이 그리 머지않았다”고 ... ...
생명의 기원을 명강의로 푸는 어린왕자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한창이다. 또한 올해 열리는 화학올림피아드 학술위원장으로도 바쁘게 보내고 있다.
김
교수는 1997년 귀국한 후 영재교육센터를 통해 인연을 맺었던 50명의 학생중 10여명이 화학올림피아드에 입상하는 등 화학올림피아드와는 인연이 깊다.생명과 우주의 기원이라는 날개를 단 어린왕자는 오늘도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