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과
개요
요약
적요
개괄
귀결
추정
d라이브러리
"
결론
"(으)로 총 2,137건 검색되었습니다.
에피소드로 알아보는 빅뱅우주론 3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아주 먼 과거에 ‘원시원자’라 불리는, 매우 밀도가 높은 상태에서 터져 나왔다고
결론
을 내렸다. 바로 빅뱅의 아이디어다.1948년 러시아출신의 미국 물리학자 가모프가 빅뱅 초기의 모습을 처음으로 정확하게 기술하는 논문을 발표했다. 유머감각이 풍부했던 가모프는 자신의 대학원생 알퍼와 함께 ... ...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증명했다. 하지만 이후 호킹은 이 사실이 일반상대론의 불완전성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결론
을 내렸다. 다시 말하면 일반상대론은 우주가 어떻게 시작됐는지를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는 말이다. 최근 빅뱅 초기를 설명하기 위해 일반상대론과 양자역학을 결합한 양자중력 이론을 만들려고 ... ...
줄기세포의 새로운 보고 탯줄과 태반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아니라 내배엽, 중배엽 장기까지 형성했다. 성체줄기세포의 고정된 운명을 뒤엎는
결론
이었다. 학계에서는 주입한 세포들에 또다른 세포가 섞여 있었을 것이라며 이 증거를 반박했으나 2001년 미국 예일대의 다이언 그라우즈 박사는 이 논란에 못을 박았다.그녀는 쥐의 골수에서 뽑아낸 줄기세포를 ... ...
남극 일부지역 얼음층 두꺼워져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것인지, 아니면 일시적인 변동일 뿐인지 두갈래 해석을 내놓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해
결론
지을 만큼 남극의 기후변동이 아직 충분히 이해되지 않았다.한편 조긴 박사는“나머지 남극 지역에서는 얼음층이 얇아지기 때문에 로스빙하 지역의 결과를 남극 전체에 확대할 수 없다”고 말했다.남극의 ... ...
바람과의 맨몸 승부 - 첨단사이클의 질주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의미다. 그러니까 2m가 넘는 바퀴를 약 71cm로 줄여도 같은 거리를 움직일 수 있다는
결론
이 나온다.기어는 분명 시대적으로 금속제조술과 기술력, 그리고 엔지니어링이 뒷받침됐기 때문에 가능했다. 그리고 몇번의 변화를 거쳐 1900년에서 1910년 사이에 요즘 자전거와 같은 형태의 안전자전거(safety ... ...
왜 극저온 상태를 얻으려 할까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극저온의 영역을 넓혔다. 이로써 ‘모든 기체는 온도를 내리면 결국 액체가 된다’는
결론
에 이르게 됐다. 또한 오네스는 4K에서 수은의 전기 저항이 사라지는 초전도 현상을 발견한다. 그는 극저온의 세계와 초전도성의 발견으로 1913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다. 우주여행을 위한 생명체 ... ...
과학논술로 미래 내다보는 안목 형성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과연 타당할까 아니면 그릇된 것일까. 동물의 행동에 대한 연구를 통해 문제를 어떻게
결론
내릴 수 있을지를 생각해본다.예시주제 ④ 우주우주로못은 지상에서 작동하는 로봇과는 다른 환경에 접한다. 따라서 우주로봇을 설계할 때 지상로봇과는 달리 특별히 고려하는 점들이 있을 것이다. 예를 ... ...
BT - 생체 혁명 주도하는 전초기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내려지고 있기 때문이다. 보건복지부는 개인별 SNP자료가 국민건강관리에 중요하다고
결론
을 내리고, 전 국민의 SNP 데이터베이스를 마련하기로 결정했다. 이 SNP 조사는 혈액 한방울에서 추출한 DNA 시료를 DNA칩으로 분석하는데, 최근에는 올리고 DNA칩이 등장해 하루에도 수만명의 개인별 유전자 ... ...
토정비결 과학인가 재미인가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의해 인간운명이 정해진다면 60년 후에 같은 운명을 지닌 사람이 또 태어날 수 있다는
결론
이 나온다. 세상이 계속 변해가는 모습을 사주팔자는 전혀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얘기다. 일반인도 손쉽게 볼 수 있어조선 중종 때 역학자인 토정 이지함은 사주팔자를 잘 보았다고 한다. 전해지는 말에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잘 보이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잘 보이는 지점은 목성의 중앙부분을 통과하는 때다.
결론
적으로 대적반이 목성 앞쪽의 60° 영역에 위치할 때, 즉 전체 시간의 1/6 가량만 뚜렷하게 보인다.그렇다면 지금부터 대적반을 볼 수 있는 시각을 계산해보자. 대적반의 위치는 목성 표면에서 위도 -23.3°, 경도 7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