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력
전류
전원
전자
결정적 단계
장편소설
장편물
d라이브러리
"
전기
"(으)로 총 3,958건 검색되었습니다.
투명하게 빛나는 LED 사인보드 ‘루미시스’
과학동아
l
200905
5분의 1밖에 안되며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투명전극은 저항이 작아
전기
전도성이 좋을 뿐 아니라 가시광선 영역(380~770nm)에서 빛투과율이 80%에 이르기 때문에 쇼윈도나 건물 유리창에 설치할 경우 뒤쪽의 시야를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루미시스에 쓰인 투명전극은 입는 컴퓨터나 ... ...
‘빛 패러다임’으로 반도체 한계 돌파
과학동아
l
200905
수 있는 소자를 개발할 계획이다.유선규서울대
전기
공학부를 졸업한 뒤 현재 서울대
전기
·컴퓨터공학부 석박사 통합과정에 다니고 있다. 수치 해석을 통한 광결정 구조 논리소자 설계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 ...
[에너지]상온핵융합, 부활하나?
과학동아
l
200905
모지어-보스 박사는 염화팔라듐 중수(D2O) 용액에 니켈과 금으로 된 전극을 꽂은 뒤
전기
를 흘렸다. 그 결과 중수가 분해되면서 중수소와 산소가 발생했다. 만일 이 과정에서 핵융합이 일어난다면 중수소핵이 융합할 때 고에너지의 중성자가 나와야 한다. 지금까지는 이렇게 나온 중성자를 검출하지 ... ...
석면탤크 얼마나 위험한가?
과학동아
l
200905
동물 섬유처럼 부드럽고 유연한데다 불에 타지 않았기 때문이다. 19세기 후반 들어
전기
가 쓰이고 화학 산업이 발전하자 절연재이자 불연재인 석면이 폭넓게 쓰였다.사실 석면의 유해성은 고대 그리스 시대부터 알려졌다. 당시 석면으로 천을 짜는 일을 하던 노예들이 폐병에 시달렸다는 기록이 남아 ...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05
분야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미래의 과학도들이 도전해야 할 블루오션이다.뛰어난
전기
전도성 만든 양자 홀 효과양자 홀 효과는 이미 노벨과학상 수상자를 두 번이나 배출했다.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폰 클리칭 박사는 양자 홀 효과를 발견한 공로를 인정받아 1985년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했다 ... ...
나노광학
과학동아
l
200905
다양한 분야, 형태로 취업 가능하다.취재 한마디나노광학은 현재 기술적 한계에 도달한
전기
소자 분야를 개척해나갈 것으로 기대되는 유망한 연구 분야다. 광자(photon)가 관여하는 모든 물리계와 응용시스템을 연구하는 이 첨단 과학에 공학도를 꿈꾸는 학생들이 많은 관심을 가지길 바란다 ... ...
우리 몸 작동법-생화학
과학동아
l
200905
세포 속을 빠른 속도로 돌아다니는 미토콘드리아는 이들을 흡수한다. 세포 안의 발
전기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는 영양소와 산소를 화학적으로 변형시켜 아데노신3인산(ATP)이라고 불리는 분자를 내뱉는다. 모든 세포는 ATP를 소모하면서 활동을 유지한다. 하나의 세포에는 1000여 개의 ... ...
만져라, 느껴라! 신나는 터치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0904
피로를 느낄 수도 있다. 정전용량 방식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스크린은 사람의 몸이
전기
를 통한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손가락을 터치스크린에 갖다 대면 전류의 변화가 생기는데, 이를 감지해 위치를 알아 내는 것이다.정전용량 방식은 튼튼하고 화면이 선명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펜과 같은 ... ...
수소연료의 실용화 가능성
과학동아
l
200904
전기
분해하면 양극(+)에서는 산소가, 음극(-)극에서는 수소가 발생한다. 연료전지는 물
전기
분해의 역반응이므로 양극에 산소기체를, 음극에 수소기체를 넣어주면 된다. 각 극에서의 화학반응식과 전체 반응식은 다음과 같다. 양극(+) : 1/2O2+2H++2e- → H2O 음극(-) : H2 → 2H++2e- 전체 : H2+1/2O2 ...
뇌 과학
과학동아
l
200904
기억의 비밀을 풀어낼 수 있는 단서를 발견했다. 그는 바다달팽이의 꼬리 끝에 약한
전기
자극을 반복했을 때 얼마 후 시냅스의 길이가 늘어난 것을 확인했다. 캔들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물의 학습과 기억은 뉴런들의 일정한 연결방식에 의해 일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러한 캔들의 연구 ... ...
이전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다음
공지사항